[인권법] 한국내 백인 우월주의

 1  [인권법] 한국내 백인 우월주의-1
 2  [인권법] 한국내 백인 우월주의-2
 3  [인권법] 한국내 백인 우월주의-3
 4  [인권법] 한국내 백인 우월주의-4
 5  [인권법] 한국내 백인 우월주의-5
 6  [인권법] 한국내 백인 우월주의-6
 7  [인권법] 한국내 백인 우월주의-7
 8  [인권법] 한국내 백인 우월주의-8
 9  [인권법] 한국내 백인 우월주의-9
 10  [인권법] 한국내 백인 우월주의-10
 11  [인권법] 한국내 백인 우월주의-11
 12  [인권법] 한국내 백인 우월주의-12
 13  [인권법] 한국내 백인 우월주의-13
 14  [인권법] 한국내 백인 우월주의-14
 15  [인권법] 한국내 백인 우월주의-15
 16  [인권법] 한국내 백인 우월주의-16
 17  [인권법] 한국내 백인 우월주의-17
 18  [인권법] 한국내 백인 우월주의-18
 19  [인권법] 한국내 백인 우월주의-19
 20  [인권법] 한국내 백인 우월주의-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권법] 한국내 백인 우월주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 장 서론


제 2 장 본론

제 1 절 백인우월주의란 무엇인가?

제 2 절 한국 내 백인우월주의의 성립

[1] 개화기시기에 백인우월주의의 형성
[2] 대한민국의 건국과 미국

제 3 절 부적격 원어민 강사의 문제

[1] 왜 이 문제가 논의되어야 하는가?
[2] 사건의 전개

제 3 장 결론
본문내용
제 2 절 대한민국 내 백인 우월주의의 성립

우리나라에서 백인우월주의가 성립된 시기는 크게 두 시기로 나눠볼 수 있다. 먼저 시초로 볼 수 있는 우리나라의 근대 개화기 시기이며 두 번째 시기가 바로 우리나라가 일본에 의한 36년간의 식민통치 이후 우리나라에 독립적인 최초 정부가 수립되는 것이다. 필자는 아래에서 대한민국 내 백인우월주의를 이 두 가지로 나누어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1] 개화기시기에 백인우월주의의 형성

우리나라의 개화기는 흔히 이야기 하는 계몽의 시기로 표현되는 문호개방의 시기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유교문화권으로 중화중심주의 사상을 매우 강하게 가지고 있던 국가였다. 그러나 개화기시기에 들어서자 우리가 정신적으로 우상화하고 중심이라고 생각했던 중국이 힘없이 서양의 강대국에 의해 몰락하는 것을 보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개화를 주장한 개화파 양반들은 서양의 국가들을 배워야 한다는 온건적인 동도서기론 동양의 정신과 서양의 기술을 합하여야 한다는 것으로 비교적 온건한 개화파들에 의해서 주장된 내용이다. 이들은 이미 조선은 중국을 통하여 개화가 된 상태로 이해하고 있었으며 그렇기에 조선을 문명국으로 칭하였다.
과 급진적인 개화파들이 등장하였다. 이런 급진적인 개화파들의 경우 조선은 근대화가 되지 않은 국가이므로 서양의 문명을 수용하여 급진적으로 개화를 하여야 한다고 믿었다. 개화에 대한 이러한 두 가지 관점이 존재하고 있던 시기에 급진개화파를 중심으로 서양과 백인에 대한 우월주의가 자라나고 있었다. 특히 급진개화파 일부가 다윈의 진화론을 사회에 적용시킨 사회진화론 인간의 진화와 마찬가지로 사회역시 발전단계를 가지고 있다는 주장이다. 생물학에서 논의되던 약육강식과 강자생존의 원칙을 사회에 적용한 것이다. 이러한 주장은 제국주의 국가들의 입장을 대변하고 있으며 일제가 우리나라의 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한 이론으로 이용하였다. 일제는 우리나라의 사회가 아직 덜 발달 되었고 그렇기에 우리나라는 일본에 의한 지배를 받아야 한다는 주장을 하였다. 이것은 약육강식의 자연스러운 법칙을 따르는 일일 뿐이고 따라서 이것은 문제될 것이 없다고 믿었다. 실제로 이러한 논리에 수긍한 춘원 이광수, 윤치호 등 개화를 주장했던 자들이 쉽게 변절하기도 하였으며 일본의 지배를 지지하기도 했다.
을 수용함에 따라 백인들의 문명을 배워야 하고 조선에서 발달되어 왔던 유교적인 가치들은 전혀 의미가 없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의식을 가지고 있던 인물로는 윤치호를 들 수 있는데 그는 미국에서 유학생활을 하는 동안 많은 인종차별을 겪었다. 그는 이 과정에서 백인들이 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행동을 용인할 수 있다는 적자생존의 논리에 매료되었다. 이에 사회진화론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백인에게 차별을 당하는 유색인종들에 대해서는 정당하다고 느꼈지만 자신이 백인들로부터
참고문헌

-학술지
[박노자의 한국사] 탐험 연재
박노자, “한국적 근대 만들기 Ⅰ - 인종주의의 또 하나의 얼굴”, 인물과 사상, 인물과 사상사, 제 45호, 2002. 01
〃 , “한국적 근대 만들기 Ⅱ - 우리 사회에 인종주의는 어떻게 정착되었는가”, 인물과 사상, 인물과 사상사, 제 45호, 2002. 02
〃 , “한국적 근대 만들기 Ⅹ - 서구의 침략을 보는 근대 초기 조선인의 눈”, 인물과 사상, 인물과 사상사, 제 55호, 2002. 11
배영수, “백인 우월주의의 기원에 대한 재검토”, 미국학, 제 26호 서울대학교 미국학연구소, 2003
설동훈, “혼혈인의 사회학: 한국인의 위계적 민족성”, 인문연구, 제 52권,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정용화, “한국인의 근대적 자아 형성과 오리엔탈리즘”, 정치사상연구, 제 10집 1호, 2004

- 단행본

김석준, “미군정 시대의 국가와 행정” 이화여자대학교 출반부, 1996.
박노자, “우리가 몰랐던 동아시아 : 근대 망령으로부터의 탈주, 동아시아의 멋진 반란을 위해”, 한겨레, 2007
〃 , “하얀 가면의 제국 : 오리엔탈리즘, 서구중심의 역사를 넘어”, 한겨레 신문사, 2003
폴 C. 테일러 저 강준호 역, “인종”, 서광사, 2006
한국서양사학회 엮음, “서양문명과 인종주의”, 지식산업사, 2002.

- 언론기사

내일신문 2007. 02. 13
노컷뉴스 2008. 01. 04
뉴시스 2007. 10.27
데일리안 2005. 01. 14
〃 2005. 01. 17
세계일보 2008. 05. 11 [영어열병 코리아 시리즈 기사]
〃 2008. 05. 12
〃 2008. 05. 12
〃 2008. 05. 13
중앙일보 2007. 10. 18
쿠키뉴스 2007. 10. 17
파이낸셜 뉴스 2007. 09. 16
〃 2008. 05. 15
한겨례 2008. 02. 17
한겨례 21 2007. 05. 03. 제 658호 - 박노자 교수와의 인터뷰
헤럴드 생생뉴스 2005. 02. 15
YTN 2007. 10. 24

- 인터넷 홈페이지

조선일보 손해용 기자 블로그 http://blog.joins.com/ysohn/ (검색일 2008. 05. 19)
위키피디아 http://wikipedia.org/ (검색일 2008. 05.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