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고산 윤선도

 1  [고전문학] 고산 윤선도-1
 2  [고전문학] 고산 윤선도-2
 3  [고전문학] 고산 윤선도-3
 4  [고전문학] 고산 윤선도-4
 5  [고전문학] 고산 윤선도-5
 6  [고전문학] 고산 윤선도-6
 7  [고전문학] 고산 윤선도-7
 8  [고전문학] 고산 윤선도-8
 9  [고전문학] 고산 윤선도-9
 10  [고전문학] 고산 윤선도-10
 11  [고전문학] 고산 윤선도-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 고산 윤선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우리말의 연금술사

2. 고산의 생애와 그의 시대

3. 격변기가 낳은 자연미의 드높은 경지

4. 시조사의 흐름과 고산


본문내용

2. 고산의 생애와 그의 시대

1)양란과 붕당의 격변기
앞서 말했듯이 윤선도는 17세기 전․중엽을 살다 간 인물이었다. 이 시기를 기념하는 가장 중요한 사건은 임진왜란(1592)과 병자호란(1636)이다. 두 양란은 16세기 후반 이후 차츰 들어나기 시작하던 봉건체제의 틈새와 맞물려 조선을 전기와 후기로 구분 지었다. 고산은 6세 때 임란을 30세 때 병란을 각각 겪었는데, 전자가 고산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는 확인할 바가 없으나, 후자는 그의 생애에 직 ․ 간접적으로 지대한 변화를 몰고 왔다.
그런데 이 시기는 정치적으로 붕당이 가속화되는 시기이기도 했다. 선초의 훈구파와 사림파의 치열한 대결이 사림파의 승리로 일단락되는 선조 년간 이후 이제는 사림 내부의 각 분파들이 권력배분을 둘러싸고 치열한 각축을 벌이게 된 것이다. 당파는 학연에 따라, 조식 ․ 이황을 따르는 영남학파인 동인과 이이 ․ 성혼 문하의 기호학파로 구성된 서인으로 나뉘었는데, 고산이 4세 되던 해에 호남 연고의 동인 다수가 희생되는 ‘정여립의 옥사사건’이 발생하면서 그 대결의 골이 깊어갔다. 이후 동인이 다시 남북으로 나뉘고 반목하던 중 광해군이 등극하자 이이첨, 정인홍을 중심으로 한 북인세력이 정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그러나 광해군의 폐모론, 중립외교 등을 맹렬히 비난하면서 일어난 인조반정 이후 정국의 주도권은 다시 서인에게로 넘어갔고 이 같은 일연의 과정 속에서 사림들의 이산집합이 광범하게 이루어졌다.
이 시기의 주요 쟁점은 크게 예학, 대명의리론, 사회경제정책 등으로 압축된다. 먼저 예학은 16세기 이래 매우 발전된 성리학의 보편적 원리의 실천적 구현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첨예한 문제로 떠올랐고, 대명의리론은 병자호란 이후 동아시아적 국제질서가 급변하는 가운데 부상된 것이다. 경제정책은 지주 전호제의 모순 및 전쟁으로 초토화된 생산력을 극복하기 위해 대두된 것으로, 대동법 ․ 호패법 ․ 양전 등을 둘러싸고 공방이 끊이지 않았다. 이러한 시대적 과제들을 풀어가는 과정에서 각 정파들은 때로는 첨예하게 부딪히기도 했고, 때로는 연합전선을 구축하기도 했다.
고산 역시 이러한 시대적 물결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남인 계열에 속했던 그는 젊은 시절에는 대북파와, 노년에는 서인과의 대결에 적극 투신하였고, 그 과정에서 중앙정계로의 진출과 향리인 해남으로의 운둔을 허다하게 반복하였다.
참고문헌
논문
원용문, 「윤선도의 문학과 경학」, 청람어문교육학회, 1988
강미영, 고산 윤선도 ‘어부사시사’연구, 배달말 학회, 1990
이상원, 의 현실주의적 성격, 안암어문학회, 1995
조성항, 「윤고산(尹孤山)의 자연시(自然詩) 고찰(考察)」, 경복논총, 1999
이종범, 「고산 윤선도의 출처관과 정론」, 대구사학회, 2004

인터넷 사이트
해남 윤씨 고택 '녹우당', http://blog.daum.net/thson68/52998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