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작가론] 윤선도 론

 1  [고전문학작가론] 윤선도 론-1
 2  [고전문학작가론] 윤선도 론-2
 3  [고전문학작가론] 윤선도 론-3
 4  [고전문학작가론] 윤선도 론-4
 5  [고전문학작가론] 윤선도 론-5
 6  [고전문학작가론] 윤선도 론-6
 7  [고전문학작가론] 윤선도 론-7
 8  [고전문학작가론] 윤선도 론-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작가론] 윤선도 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고산의 생애와 그의 시대
2. 고산의 시조문학
1)「산중신곡(山中新曲)」 -자연과의 교감
2)강호미학의 고도한 발현 '어부사시사'
3. 맺음말

본문내용
1. 고산의 생애와 그의 시대 - 붕당정치와 호란의 정치적 격변기 17세기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 1587-1671)는 1587년(선조20) 6월 22일 지금의 대학로 자리인 한성의 연화방(蓮花坊)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해남(海南)이고 자는 약이(約而), 호는 고산(孤山) 또는 해옹(海翁)이다. 그의 가계(家系)중에 주목되는 이로는 고조 어초은(漁樵隱) 효정(孝貞)으로 그가 바로 해남 윤씨의 거대한 물적 기반을 다진 인물이었다. 또, 증조부 구(衢)는 중종때 문과에 급제하여 조광조의 문하(門下)에 있다가 기묘사화로 화를 입은 바 있는 전형적인 사림파의 일원이었다.
그의 유년기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전환점은 그가 8세 때 친부모의 곁을 떠나 숙부 관찰공 유기(惟幾)의 양자로 입양되면서 해남 윤씨 가문의 장손이 되었다는 사실이다. 그는 이로써 종가(宗家)의 재산을 고스란히 물려받게 되었을 뿐 아니라, 남도(南道)의 빼어난 산수를 접하면서 풍부한 감수성을 키워 나갈 수 있었다. 그가 자리 잡았던 해남은 광주․나주로 대표되는 호남과 접맥된 곳이었다. 이 곳은 일찍이 임억령, 박상으로부터 송순, 정철에 이르기까지 빼어난 시인들을 배태(胚胎)한 전통의 예향이었다. 그러므로 그가 입양되었다는 것은 앞으로의 인생을 물질적인 걱정 없이 풍족하게 살 수 있다는 약속이 되었음과 동시에, 고산 특유의 깊은 감수성을 키워나갈 수 있게 해준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