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의미론] 의미와 의미이론

 1  [국어의미론] 의미와 의미이론-1
 2  [국어의미론] 의미와 의미이론-2
 3  [국어의미론] 의미와 의미이론-3
 4  [국어의미론] 의미와 의미이론-4
 5  [국어의미론] 의미와 의미이론-5
 6  [국어의미론] 의미와 의미이론-6
 7  [국어의미론] 의미와 의미이론-7
 8  [국어의미론] 의미와 의미이론-8
 9  [국어의미론] 의미와 의미이론-9
 10  [국어의미론] 의미와 의미이론-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의미론] 의미와 의미이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의미의 여러 학설
2.1. 지시설
2.2. 개념설
2.3. 행동설
2.4. 용법설
2.5. 진리조건설
2.6. 의의관계설

3. 의미의 유형
3.1. 개념적 의미
3.2. 연상적 의미
3.2.1. 내포적 의미
3.2.2. 사회적 의미와 감정적 의미
3.2.3. 반사적 의미와 배열적 의미
3.3. 주제적 의미

4. 언어의 기능
4.1. 제보적 기능과 표현적 기능
4.2. 지령적 기능과 친교적 기능
4.3. 심미적 기능
4.4. 진화론적 관점에서의 언어의 기능

5. 맺음말

본문내용
2.2. 개념설

개념설(conceptual theory)은 양자 사이에 심리적 영상(mental image)이라는 매개체를 내세워서 간접적으로 설명한다. 심리적 영상이란 한 언어표현을 접할 때 우리의 마음이나 정신 속에 떠오르는 관념이나 개념(concept)을 말한다. 어떤 단어나 문장의 의미는 그 표현을 알고 있는 사람의 마음이나 정신 속에서 그 표현과 연합되어 있는 관념 또는 개념이라고 본다.
이와 같이 개념설은 의미를 인간의 마음속에 존재하는 심리적 실체(psychological entity)로 파악하고 있으며, 이러한 견해는 소쉬르(F. de Saussure, 1915 / 1959)의 기호이론과 오그덴 & 리차즈(1923)의 의미의 기본삼각형으로 대표된다.
소쉬르(1915 / 1959 : 65-70)에 따르면, 언어 기호는 기표(記標, signifier[signifiant])와 기의(記義, signified[signifie])의 결합으로 되어 있다. 기표에 대응하는 기의를 의미로 파악하고 있다. 예를 들면 기표인 ‘소’에 대응하는 기의로서 우리는 《牛》와 같은 개념을 상정할 수 있는데, 바로 《牛》가 ‘소’의 의미라는 것이다.
오그덴 & 리차즈(1923 : 11)는 다음 [그림 2]와 같은 의미의 기본 삼각형(basic triangle)을 제시하여 설명하고 있다.


의미 삼각형

위의 그림에서 기호(symbol)는 언어표현으로서 단어나 문장을 가리킨다. 지시물(referent)은 언어표현이 가리키는 실제적인 지시물 또는 대상(object)을 말한다. 그리고 사고 또는 지시(thought or reference)는 개념(concept)을 뜻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언어표현은 기호의 일종이며, 의미란 기호인 언어표현이 그 대상인 지시물을 지시하는(refers to) 작용이다.
위의 그림에서 말하는 ‘기호’와 ‘사고 또는 지시’를 소쉬르의 기호 이론에서 말하는 술어로 바꾸어 보면 각각 ‘기표’와 ‘기의’에 해당한다. 소쉬르의 기호 이론과 의미 삼각형의 두드러진 차이점은, 기호 이론이 언어표현의 의미를 기표와 기의 양자 사이의 관계로 한정함으로써 언어 밖의 실제 세계를 도외시한데 반하여, 의미 삼각형에서는 기호와 개념의 양자와 함께 언어 표현의 실제 대상인 지시물도 설명의 틀 속에 넣음으로써 언어 세계와 언어 외적인 실제 세계의 관계를 고려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면 개념설을 취할 때 얻을 수 있는 이점은 무엇일까? 개념설은 실제적 대상이 없어도 우리가 그 의미를 생각해 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서, ‘도깨비’나 ‘용’ 또는 ‘봉황’과 같은 것은 실제적 대상이 없지만 우리는 그것들에 대해서 분명하게 어떤 영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영상이 바로 그것들의 의미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개념설에도 여러 가지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다(이익환, 1995 : 34-35). 첫째, 개념이나 영상에 대한 개인적인 차이이다. ‘개’에 대해서 모든 사람들이 똑같은 영상만을 갖는 것은 아닐진대 이러한 개인적인 차이를 어떻게 객관적 의미로 처리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동일한 사람이라 하더라도 한 언어표현에 대해서 상황에 따라서는 다른 영상을 떠올릴 수도 있다.
둘째, 영상을 동반하지 않는 단어, 예컨대 영어 단어 ‘and, or, if, then’ 등이나 ‘또, 그러나, 그러니까’와 같은 접속어나, ‘을, 에게, 처럼’과 같은 조사 따위의 의미를 어떻게 파악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그리고 심리적 측면에 의지하는 만큼 실증적인 설명력을 갖는 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