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상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1  불상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1
 2  불상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2
 3  불상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3
 4  불상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4
 5  불상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5
 6  불상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불상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불상의 개념
3. 불상의 전래
4. 불상의 종류와 구성
4-1. 불상의 종류
4-2. 불상의 구성
5. 불상의 양식과 특징 6. 맺음말
본문내용
4-2. 불상의 구성
- 불상은 보통 불신과 광배, 대좌로 구분.
- 불상의 이름은 재료+상호+자세(석조+비로자나불+좌상=석조비로자나불좌상)순으로 정함.
- 자세의 종류 : 탄생불상, 입상, 와상(열반상), 좌상(결과부좌, 반가좌 등),
- 손의 모습(수인) : 향마촉지인(석가가 깨달음을 얻어 악마를 항복시키는 순간의 환희를 상징 ,지권인(일체의 번뇌를 없애고 부처의 지혜를 얻는다거나, 부처와 중생이 하나임을 상징), 선정인(괄가부좌할 때 취하는 것으로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망념을 버려 움직이지 않고 마음을 모으는 자세)
향마촉지인



지권인

전법륜인

전법륜인
전법륜인

아미타구품인




5. 불상의 양식과 특징
1) 삼국시대
삼국시대의 불상은 대체로 중국 남북조시대의 영향을 받으면서 발전하였다. 고구려의 대표
적인 연가 7년명 금동불입상(539년 또는 599년 추정)은 중국 북조(北朝)의 북위양식을 보여주면서도 예리하고 투박한 조각수법이 잘 나타나 있다. 반면에 백제는 남조(南朝) 특히 양(梁)나라와 깊은 관련에 있는데 부여 군수리의 납석제불좌상이나 서산 마애삼존불상의
따뜻한 미소나 자연스러운 곡선에서 한국적인 인간미와 부드러운 조형감각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고구려, 백제의 불상양식은 뒤늦게 발달하는 신라불상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7세기에 들어서는 수대(隋代)의 새로운 불상양식이 반영되어 경주 배리삼체석불이나 삼화령 미륵
삼존상과 같이 부드러움과 양감이 강조되는 불상양식으로 발전하였다. 특히 반가사유형보살상은 미륵신앙과 결합되어 삼국에서 모두 유행하였으며 국보 제78, 83호와 같은 금동반가상은 그 대표가 되는 걸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삼국시대의 불상은 몸에 비해 머리가 큰 편이며 얼굴에는 은은한 미소가 있고 손과 다리의 조각표현에는 별로 입체감이 두드러지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삼국의 각기 특징있는 불교미술은 일본에도 영향을 주어 호오류지(法隆寺)의 목조관음상이나 고오류지(廣隆寺)의 목조반가사유상과 같은 상에 그 영향이 나타난다. 중국의 경우 5호16국시대→남북조시대→동서위시대→제주시대→수→당시대인데 현존하는 불상이 모두 6세기이후의 것이므로 남북조와 제주시대의 양식이 나타나고 있다. 즉 5세기 중엽의 북위양식은 매우 드물고 북위이후부터 수대에 이르는 양식이 나타난다. 그 공통된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 몸은 살이 빠지고 얼굴은 갸름
② 눈은 은행열매 모양, 입가에 미소
③ 법의는 통견에 가깝고 두꺼움
④ 좌우대칭의 복잡한 옷주름, 양옆에서 고기의 지느러미처럼 좌우로 전개
⑤ 상현좌(裳顯座)형식
⑥ 보살상은 천의자락이 앞에서 X자로 교차
⑦ 3도가 없고 수인은 통인이나 여원인에서 약지와 소지를 구부린 것이 많음

참고문헌
황수영, 『불탑과 불상』, 청목, 1999
진홍섭, 『불상』, 대원사, 1998
웹사이트
사찰서 만나보는 불교미술
- http://www.buddhapia.com/buddhapi/kor/hanbul/culture/art/index.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