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통사회교육론] 우리나라 사회과교육의 현실에 대한 성찰

 1  [공통사회교육론] 우리나라 사회과교육의 현실에 대한 성찰-1
 2  [공통사회교육론] 우리나라 사회과교육의 현실에 대한 성찰-2
 3  [공통사회교육론] 우리나라 사회과교육의 현실에 대한 성찰-3
 4  [공통사회교육론] 우리나라 사회과교육의 현실에 대한 성찰-4
 5  [공통사회교육론] 우리나라 사회과교육의 현실에 대한 성찰-5
 6  [공통사회교육론] 우리나라 사회과교육의 현실에 대한 성찰-6
 7  [공통사회교육론] 우리나라 사회과교육의 현실에 대한 성찰-7
 8  [공통사회교육론] 우리나라 사회과교육의 현실에 대한 성찰-8
 9  [공통사회교육론] 우리나라 사회과교육의 현실에 대한 성찰-9
 10  [공통사회교육론] 우리나라 사회과교육의 현실에 대한 성찰-10
 11  [공통사회교육론] 우리나라 사회과교육의 현실에 대한 성찰-11
 12  [공통사회교육론] 우리나라 사회과교육의 현실에 대한 성찰-12
 13  [공통사회교육론] 우리나라 사회과교육의 현실에 대한 성찰-13
 14  [공통사회교육론] 우리나라 사회과교육의 현실에 대한 성찰-14
 15  [공통사회교육론] 우리나라 사회과교육의 현실에 대한 성찰-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공통사회교육론] 우리나라 사회과교육의 현실에 대한 성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序.

本.



1.학생

2.현직 선생님

3. ooo 선생님
본문내용

역사과 분리 독립 주장의 근거 중에 역사과가 추구하는 목표는 지리과와 일사과의 그것과 다르기 때문에 이들과 함께 하는 어렵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역사과 교육의 목표는 ‘민주 시민의 양성’과는 전혀 다른지, 다르다면 선생님께서 생각하시는 역사과 교육의 목표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가] 역사 시간에 사회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생각보다 학생들에게 큰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일반사회 시간에 사회적 평등, 불평등을 설명하는 것보다 역사 시간에 사회적 평등, 불평등을 설명하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이다. 왜냐하면 역사 과목의 내용이 학생들에게 좀 더 친숙하게 다가가고, 감정이입에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역사 과목은 단순히 옛날 사실만을 가르쳐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학생들은 단지 몇 천년전에 일어난 일에는 관심이 없다. 그것이 현실과 어떤 관련이 있고,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깨달을 때에 역사에 관심을 가지기 때문이다. 또한, 그것이 단순히 내용만을 전달하는 수업에 비해서도 효과가 크다.

[나] 역사를 가르치는 과정에서 현재의 사회문제와 연결되는 내용이 나오기는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거와 현재와의 관계를 교육하는 것은 통합사회과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육하는 것이 아니다. 역사 교육의 목표를 위해 교육함으로써 통합사회과교육의 목표가 달성되기도 할 뿐이다.

[다] 수업내용과 관련된 사회문제에 대해서 언급한 적이 있지만, 그것이 ‘통합사회과교육’의 목표에 부합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비전공자가 역사 수업을 하는 것에 대해서(특히 세계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나] 낱낱의 지식은 비전공자도 공부해서 가르칠 수 있겠지만 그 교과 전체 구조를 보는 눈, 신념은 전공자여야 길러질 수 있다고 본다. 비전공자 선생님들은 수업 내용을 재구성하지 못하고 교과서만 따라가는 수업이 된다. 현실적으로 업무 분담 면에서 같은 학년을 전공자와 비전공자가 나누어 맡을 경우, 전공자 역시 비전공자 선생님와 마찰을 일으키지 않기 위해서는 교과서 중심으로 수업해야 하는 상황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