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 유가(儒家)사상

 1  (유교) 유가(儒家)사상-1
 2  (유교) 유가(儒家)사상-2
 3  (유교) 유가(儒家)사상-3
 4  (유교) 유가(儒家)사상-4
 5  (유교) 유가(儒家)사상-5
 6  (유교) 유가(儒家)사상-6
 7  (유교) 유가(儒家)사상-7
 8  (유교) 유가(儒家)사상-8
 9  (유교) 유가(儒家)사상-9
 10  (유교) 유가(儒家)사상-10
 11  (유교) 유가(儒家)사상-11
 12  (유교) 유가(儒家)사상-12
 13  (유교) 유가(儒家)사상-13
 14  (유교) 유가(儒家)사상-14
 15  (유교) 유가(儒家)사상-15
 16  (유교) 유가(儒家)사상-16
 17  (유교) 유가(儒家)사상-17
 18  (유교) 유가(儒家)사상-18
 19  (유교) 유가(儒家)사상-19
 20  (유교) 유가(儒家)사상-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유교) 유가(儒家)사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면서

Ⅱ. 본문
1. 유교(유가) 서문

2. 유교 사상의 흐름 [1) 공자 2) 맹자 3) 순자 4) 주자학 5) 양명학]
1) 공자[孔子, BC 551 ~ BC 479]의 사상
2) 맹자[孟子, BC 372?~BC 289?]의 사상
3) 순자[荀子, BC 298?~BC 238?]의 사상
4) 주자학- 주자[朱子, 1130.10.18~1200]
5) 양명학- 왕양명 [王陽明, 1472~1528]

3. 유교와 한국 사회-한국에 끼친 영향을 중심으로
1)윤리관의 형성
2) 가족주의 Ⅰ: 효의 강조
3) 가족주의 Ⅱ: 족보와 종친회
4) 가족주의 Ⅲ: 제사
5) 배움에 대한 열의
6) 그 외의 영향 --정(情), 응석 부리기, 체면 차리기

4. 유교는 종교인가?

5. 기독교 입장에서 본 유교

Ⅲ. 나가면서
본문내용
천(天)은 정신적 질서의 기저(基底)에 있는 가장 근본적인 질서를 의미한다. 따라서 하늘은 사회의 현상적 질서 그 자체임과 동시에 그 기저에 놓여있는 근본적인 질서의 상징으로서도 이해될 것이다. 하늘의 속성이 사람과 분리됨으로써 기(己)를 대상으로 하고 목적으로 하는 수기지학(修己之學)으로서의 유학에 있어서 과제(課題)가 된 것, 즉 방심(放心)을 찾는 것은 하늘의 속성을 인식하고 다시 그것과 일체가 되는 것으로 변모되어 나타난다. 이렇게 하여 사람은 결국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실천적 과제를 짊어지게 되는 것이다.
유학이 안으로 향하여 수기지학으로 확립되는 이유는 하늘의 속성은 인간의 본래성으로서 인간의 내면에 내재한다고 의미하는데 이런 하늘의 속성으로 버려진 나의 방심(放心)은 나의 내면 깊숙이 내면화되어 있는 것이라고 한다.

치인지학(治人之學): 학(學)의 대상이 되는 기(己)에 내재해 있는 천명(天命)의 성(性)을 인식함으로써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실천적 과제를 완수하여 개체를 초월한 전체로서의 인간존재를 실현하는 것이다.
이 입장에서는 일신(一身)의 존속이 무엇보다도 우선이 된다. 인간관계에 있어서 가장 근본적인 관계는 부모와 자녀의 관계이다. 부모에 의하여, 삶 그 자체가 시작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모와 자녀의 관계에 있어서의 이법(理法)의 효(孝)가 인간관계의 윤리 가운데서 가장 근본적인 것으로 등장한다. 즉 효(孝)는 도덕의 근본이고 교육의 출발점이다. 효(孝)의 내용은 몸에 상처를 입히지 않는 것에서 시작하여, 부모의 이름을 명예롭게 하는 것에서 완성된다. 모든 현상은 인간관계 속에서 성립되는데 그 관계를 순조롭게 유지하기 위한 기본적 요건은 우선 관계를 유지하는 주체가 되는 일신(一身)을 존속하는 것이다.
유가의 두 가지 성격을 봤을 때 그 결과, 인간존재의 본질을 만물(萬物)을 일체(一體) 로 하는 신성(神聖)한 것으로 파악하여 적자지심(赤子之心)에서 그 원형(原型)을 설명하는 수기지학(修己之學)으로서의 유학(儒學)은 적자지심(赤子之心:낳은 지 얼마 되지 않은 갓난아이의 마음처럼 거짓이 없는 순진무구한 마음 또는 임금에게 일편단심으로 충성을 다하는 백성의 마음을 뜻한다.)의 회복을 목적으로 하는 복고사상(復古思想)으로서, 내면을 향하여 근원적, 절대적, 종합적, 보편적, 신비적인 것을 탐구하고 소극적인 무위(無爲)의 실천을 추구하는 것이었다. 한편 신체적 요소를 인간존재의 기본적 요건으로 파악하고 그것에 의하여 삶의 모든 현상을 설명하는 치인지학(治人之學)으로서의 유학(儒學)은, 인류의 문명이나 문화는 발전하여 간다고 하는 진보주의적인 사상(思想)으로서, 객관성, 현실성, 상대성, 분석성, 구체성, 과학성을 추구하는 적극적인 作爲와 실천을 요구하는 것이었다. 이 두 요소는 서로 혼촌(混存)하여 있어 어느 한쪽만을 말하면 언어는 단편적이 되고 그 결과 서로 모순되기까지 하는 말들이 양립하게 된다.
이런 의미에서 중용지학(中庸之學)은 『중용(中庸)의 덕(德)은 지극한 것인저』라고 한 공자(孔子)의 말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유학(儒學)에 있어서의 지극요도(至極要道)로서 등장하는 것이다.
「중(中)」의 의미는 주자(朱子)가「불편불의(不偏不倚), 무과불급(無過不及)」라는 풀이한 것처럼 「기울어지지 않고 기대지도 않으며 지나침도 모자람도 없는 것」이다. 용(庸)에 대해서 정이천(程伊川)은 「불이(不易)」, 주자(朱子)는 평상(平常)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이는
참고문헌
1. 1차 자료
- 금장태. 『한국 유교의 이해』. 서울: 민족문화사, 1989.
- 김교빈, 이현구 지음. 『동양철학 에세이』. 서울: 동녘 출판사, 1993.
- 김은수. 『비교 종교학 개론』. 서울: 대한 기독교 서회, 2006.
- 류기종.『기독교와 동양사상』. 서울: 황소와 소나무, 2003.
- 류무상.『성서적 입장에서 본 유교, 불교 그리고 서양철학』. 서울: 심산, 2005.
- 양국영(楊國塋). 『양명학』. 서울: 예문서원, 1994.
- 윤무학. 『순자』.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4.
- 이기동.『기독교와 동양사상』. 서울: 동인서원, 1999.
- 이기동.『동양삼국의 주자학』.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5.
- 최준식.『한국종교이야기』. 서울: 한울, 1995.
- V. A. 루빈. 임철규 역.『중국에서의 개인과 국가』. 서울: 현상과 인식, 1983.
- 칼 토마스 헨리 리 야스퍼스 ; 헨리 리 토마스. 황필호 역.『역사의 주역 다섯 사람: 소크라테스. 佛陀. 공자. 예수. 모하메드』. 서울: 종로서적, 1980.

2. 2차 자료
- 황필호. 「샤머니즘은 종교인가」, 한국종교학회(2000.6.2) 무교분과 발표문.
- 황필호. 「유교는 종교인가」, 『공자학』 제7호(2000.9).
- 『중용』 - 『논어』 - 『맹자』 - 『예기』 재인용

3. 3차 자료
- 두산 백과사전
- 네이버 오픈백과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