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육학] 제 5장 한국어 어휘, 어떻게 가르 칠까

 1  [한국어 교육학] 제 5장 한국어 어휘, 어떻게 가르 칠까-1
 2  [한국어 교육학] 제 5장 한국어 어휘, 어떻게 가르 칠까-2
 3  [한국어 교육학] 제 5장 한국어 어휘, 어떻게 가르 칠까-3
 4  [한국어 교육학] 제 5장 한국어 어휘, 어떻게 가르 칠까-4
 5  [한국어 교육학] 제 5장 한국어 어휘, 어떻게 가르 칠까-5
 6  [한국어 교육학] 제 5장 한국어 어휘, 어떻게 가르 칠까-6
 7  [한국어 교육학] 제 5장 한국어 어휘, 어떻게 가르 칠까-7
 8  [한국어 교육학] 제 5장 한국어 어휘, 어떻게 가르 칠까-8
 9  [한국어 교육학] 제 5장 한국어 어휘, 어떻게 가르 칠까-9
 10  [한국어 교육학] 제 5장 한국어 어휘, 어떻게 가르 칠까-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어 교육학] 제 5장 한국어 어휘, 어떻게 가르 칠까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어휘 , 배워야 하나

2. 어휘란 무엇이며 어떤 것들이 있나

2.1 한국어 교수에서 ‘어휘’란 무엇인가

2.2 단어형성법에 따른 어휘들은 어떤 것들이 있나

2.3 어휘의미 관계에 따른 어휘들은 어떻게 가르칠까

2.4 구로 나타나는 어휘들은 어떻게 가르칠까

3. 어휘, 무엇부터 가르치나

4. 어휘, 어떻게 가르쳐야 하나

5. 어휘야, 놀자
5.1 말하기

5.2 듣기

5.3 읽기

5.4 쓰기

5.5 놀이로 배우는 어휘
본문내용
2.2 단어형성법에 따른 어휘들은 어떤 것들이 있나

한국어의 단어는 실질형태소에 형식형태소가 붙거나 실질형태소끼리 모여 새 단어를 만들게 된다. 한국어의 단어는 만드는 방법에 따라 단일어와 복합어로 구분되며, 복합어는 다시 파생어와 합성어로 나뉜다.

단일어 : 하나의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어. 예)책, 손, 떡, 국, 머리
복합어 : 파생어 : 어근에 접두사나 접미사가 붙어 새 단어를 이루는 것으로 파생된 단어의 품사에 따라 명사파생어, 동사파생어,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파생접사의 위치에 따라 접두파생어와 접미 파생어로 구분된다.
예)접두파생어 - 헛+손질, 드+높다, 풋+과일...
접미파생어 - 선생+님, 멋+쟁이, 국가+적, 공부+하다
합성어: 두 개 이상의 어근이 합하여 한 단어를 이루는 것으로 합성되어 이룬 단어의 품사에 따라 명사합성어, 동사합성어,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합성된 요소의 의미관계에 따라 병렬합성어, 융합합성어로 구분된다.
예) 명사합성어 - 밤낮, 봄비...
동사합성어 - 들어가다, 살펴보다...
병렬합성어 - 남북, 돌다리...
융합합성어 - 밤낮(‘언제나, 항상’의 의미)

2.3 어휘의미 관계에 따른 어휘들은 어떻게 가르칠까
-유의어 : 의미적으로 중첩되거나 포함되는 부분이 있는 두 개 이상의 어휘.
⦊유의어의 유형
1) 외래어가 유입되면서 기존에 있던 고유어의 의미와 중첩 관계를 가지게 되는 경우.
예) 같다/동일하다, 열쇠/키, 시위/데모 등
2) 사회적 변이에 의한 경우. (지역 방언, 사회계층 간 차이)
예) 옥수수/강냉이
3) 성별, 연령의 사용 차이에 의한 경우.
예) 맘마/밥
4) 존비 관계에 의한 경우.
예) 밥/진지, 자다/주무시다
5) 금기에 의한 유의어. (성(性), 죽음, 배설물, 신앙 등에 관련된 것들)
예) 변소/뒷간/화장실, 죽다/돌아가다/숨지다/눈감다/사라지다/입적하다/열반하다
6) 글말/입말 환경에서의 유의어
예) 매우/되게, 서신/편지

✔ 유의어가 모든 상황에서 치환되어 사용되지는 않으므로 각 유의어간의 차이점을 명확 히 제시하여야 한다.
예) 정도의 차이 -시간적인 빈도(자주-종종-때때로-가끔/이따금/더러/간혹-드문드문)
연어 관계의 차이 -좌석을 예약하다, 표를 예매하다

-반의어 : 의미적 반대 또는 무관성을 나타내는 반의성을 보이는 것
⦊반의어의 유형
1) 상보 대립어 : 남자-여자, 참-거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