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승` 함세덕 작품분석

 1  `동승` 함세덕 작품분석-1
 2  `동승` 함세덕 작품분석-2
 3  `동승` 함세덕 작품분석-3
 4  `동승` 함세덕 작품분석-4
 5  `동승` 함세덕 작품분석-5
 6  `동승` 함세덕 작품분석-6
 7  `동승` 함세덕 작품분석-7
 8  `동승` 함세덕 작품분석-8
 9  `동승` 함세덕 작품분석-9
 10  `동승` 함세덕 작품분석-10
 11  `동승` 함세덕 작품분석-11
 12  `동승` 함세덕 작품분석-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승` 함세덕 작품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1)줄거리

2)희곡의 6가지 구성원리에 따른 분석

3)연구문제(강의 도서 296쪽)

3.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줄거리
동리에서 멀리 떨어진 산중의 오래된 절에 사는 14살의 어린 사미승 도념은 자신을 버리고 떠난 어머니를 애타게 그리워하며 살고 있다. 서울에서 죽은 아들의 재를 지내기 위해 내려온 미망인은 이런 도념에게 애틋한 정을 느끼게 되고 결국 수양아들로 삼아 서울로 데려가기 위해 주지 스님에게 청을 하게 된다. 하지만 주지 스님은 도념을 세상에 내보내는 것을 원하지 않아 선뜻 승낙하지 못하고 주저한다. 한편 절 근처에서 덫에 걸린 토끼가 발견되어 주지가 도념에게 이를 추궁하자, 초부가 자신이 했다고 하며 도념 대신 누명을 쓰면서 도념은 위기를 모면한다. 하지만 초부의 아들 인수에 의해 관세음보살상 뒤에서 죽은 토끼가 다시 발견되면서 주지 스님은 도념에게 크게 노하게 된다. 도념은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과 사랑 때문에 토끼를 잡아 어머니의 털목도리를 만들기 위해 그랬다고 말하고 미망인은 동정심에 눈물을 글썽인다. 하지만 이 일을 계기로 주지 스님은 미망인이 도념을 수양아들로 삼겠다는 요청을 거절하게 되고 미망인은 자주 찾아오겠다는 말만 도념에게 남긴 채 절을 떠난다. 도념은 그토록 바라던 절을 떠나 세상으로 나가는 일이 수포로 돌아가자 결국 홀로 절을 떠나게 된다.

2) 희곡의 6가지 구성원리에 따른 분석

①플롯
의 전체적인 플롯은 초부와 도념의 장면에서 다시 초부와 도념의 장면으로 끝을 맺는다. 각 장면에서 거의 매번 등장하는 인물은 도념이므로 이 작품은 도념을 통한 사건이 그 중심을 이룬다. 따라서 도념의 행동무대가 작품의 주된 무대공간이 된다. 인물의 등장과 퇴장에 따라 사건진행이 이루어지고 장면의 도중에 등, 퇴장의 변화가 빈번히 이루어질수록 사건이 급박하게 전개된다. 이야기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흘러가고 있는데 시간의 경우, 지금은 음력 10월임을 추측할 수 있으며, 하루 중 시간으로는 재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봐서 오전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작품 속에서의 자연적 시간의 경과이다. 연극적 시간, 그 중 허구의 시간은 주로 초부가 무대 밖에서 나무를 하는 은폐된 사건에 의해 무대상의 시간 경과가 가시적으로 드러난다. 다시 말해, 동승은 초부가 나무를 해서 산을 내려가기까지의 시간 속에서 진행되는 사건을 담고 있는 것이다.
첫 장면에서 알 수 있는 전사는 도념이 매년 어머니를 기다리고 있다는 사실과 재를 지내게 된 계기와 절과 안대갓집과의 관계이다. 뿐만 아니라 극의 시간과 공간에 대한 정보도 주어져 있다.
참고문헌
*김익두 외 5명,『한국대표희곡강론』, (주)현대문학, 2005
*김문홍,「함세덕 희곡의 극적 구조와 현실 수용 양상」, 국어국문학, 동아대학교, 1992
*한국 극예술 학회 편,「한국 현대 극작가론 3ㅡ함세덕」, 태학사, 1996
*심상교,「함세덕과 천승세 희곡에 나타난 어머니상 연구」,어문학교육, 한국어문교육학회,1999
*오장렬,「함세덕 초기희곡연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김만수,「함세덕」,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