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교육론] 교과서(소단원) 재구성하기

 1  [국어교육론] 교과서(소단원) 재구성하기-1
 2  [국어교육론] 교과서(소단원) 재구성하기-2
 3  [국어교육론] 교과서(소단원) 재구성하기-3
 4  [국어교육론] 교과서(소단원) 재구성하기-4
 5  [국어교육론] 교과서(소단원) 재구성하기-5
 6  [국어교육론] 교과서(소단원) 재구성하기-6
 7  [국어교육론] 교과서(소단원) 재구성하기-7
 8  [국어교육론] 교과서(소단원) 재구성하기-8
 9  [국어교육론] 교과서(소단원) 재구성하기-9
 10  [국어교육론] 교과서(소단원) 재구성하기-10
 11  [국어교육론] 교과서(소단원) 재구성하기-11
 12  [국어교육론] 교과서(소단원) 재구성하기-12
 13  [국어교육론] 교과서(소단원) 재구성하기-13
 14  [국어교육론] 교과서(소단원) 재구성하기-14
 15  [국어교육론] 교과서(소단원) 재구성하기-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교육론] 교과서(소단원) 재구성하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서 론
1.1 교과서 재구성의 필요성
1.2 재구성 범위 및 방법
1.3 말하기 ․ 듣기 교육의 방향

2. 본 론
2.1 7차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현행 교과서에 대한 비판적 검토
2.2 현행 교과서 분석 및 7차 교육과정 반영 정도 확인
2.3 7차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현행 교과서 수정
2.4 2007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현행 교과서 재구성
2.5 현행 교과서와 재구성한 부분 비교

3.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3 말하기 ․ 듣기 교육의 방향
사람들은 깨어 있는 대부분의 시간을 듣고 말하면서 보내고 있고, 말하기와 듣기를 잘하고 싶어 한다. 그런데 대부분의 사람들이 여러 사람 앞에 나서서 말하기를 어려워할 뿐만 아니라 일상에서도 듣기와 말하기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토로한다. 우리는 왜 그렇게 많은 시간 교육을 받았는데도 왜 말하기와 듣기 능력은 개선되지 않을까?
그 이유는 첫째, 어려서부터 배우고 일상생활에서 사용해 온 말하기와 듣기는 별도로 배울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이다. 둘째, 말하기와 듣기가 중요하다고 여기는 사람도 제대로 교육 받을 기회가 없기 때문이다. 현재 한국 사회 성인들의 경우에는 듣기와 말하기를 체계적으로 교육 받은 경험이 거의 없다. 셋째, 교육을 하려고 해도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고 배워야 하는지 체계적으로 안내하는 실제 훈련을 위한 교재가 없기 때문이다. 이창덕, 임칠성, 심영택, 원진숙, 박재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라 새롭게 집필한 화법 교육론』, 역락, 2010, 머리말

1,2차 교육과정 시기에는 생활 중심 교육과정으로 말하기와 듣기가 설정되었지만 제대로 말하기와 듣기교육을 실시할 별도의 교과서도 정식 수업 시간도 없었다. 3차, 4차 교육과정세서는 학문중심 교육과정으로 구성되는 바람에 경험을 중시한 1차, 2차보다 오히려 말하기와 듣기가 위축되었지만 5차부터는 ‘말하기ㆍ듣기’가 정식 과목으로 설정되고, 교과서도 편찬되고 수업시간도 확보되면서 비약적 발전을 이루었다. 국어과 안에서도 말하기와 듣기가 중요역역으로 인정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화법(말하기ㆍ듣기)의 연구와 교육의 실상을 보면 재대로 화법교육을 뒷받침하기에는 미진한 점이 많고 아쉬운 구석이 많고도 넓다. 이창덕, 「국어교육 연구의 새로운 방향 : 새로운 화법 교육 연구의 방향과 과제」, 한국어교육학회, 2007, p55-56

화법 교육이 살아있는 화법 교육이 되려면, 가르치는 교사들이 왜, 무엇을 가지고 화법 교육을 해야 하는지 분명히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 화법 교육은 화법 관련 지식과 기능 교육하는 것이라는 고정 관념을 벗어나면 국어 화법 교육 방법은 참으로 다양해 질 수 있고, 영역별 통합과 도덕과 사회과와 통합한 수업 방법도 여러 가지 구안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언어 체계 지식과 사용 지식과 기능과 전략 교육을 완전히 버릴 필요는 없지만, 삶의 질적 개선과 인간 품격의 실현이라는 실천 측면에서 보면 현재보다 더 다양한 질적 개선과 인간 품격의 실현이라는 실천 측면에서 보면 현재보다 더 다양한 수업 방법이 구안 될 수 있고, 각 방법을 수업으로 실해하기 위한 실제 교육 자료들이 더 많이 개발되고, 보급되어야 할 것이다. 이창덕, 「국어교육 연구의 새로운 방향 : 새로운 화법 교육 연구의 방향과 과제」, 한국어교육학회, 2007, p81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07년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2.국어⌟ 교육과학기술부 2008
교육인적자원부 ⌜2007년 개정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2007
교육인적자원부 ⌜7차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1997
최미숙 등 저 ⌜국어 교육의 이해 : 국어 교육의 미래를 모색하는 열여섯 가지 이야기⌟ 사회평론 2008
편집부 저 ⌜제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2(국어)⌟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1
이창덕, 임칠성 등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라 새롭게 집필한 화법 교육론』, 역락, 2010
이창덕, 「국어교육 연구의 새로운 방향 : 새로운 화법 교육 연구의 방향과 과제」, 한국어교육학회,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