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 아랑전설

 1  [구비문학] 아랑전설-1
 2  [구비문학] 아랑전설-2
 3  [구비문학] 아랑전설-3
 4  [구비문학] 아랑전설-4
 5  [구비문학] 아랑전설-5
 6  [구비문학] 아랑전설-6
 7  [구비문학] 아랑전설-7
 8  [구비문학] 아랑전설-8
 9  [구비문학] 아랑전설-9
 10  [구비문학] 아랑전설-10
 11  [구비문학] 아랑전설-11
 12  [구비문학] 아랑전설-12
 13  [구비문학] 아랑전설-13
 14  [구비문학] 아랑전설-14
 15  [구비문학] 아랑전설-15
 16  [구비문학] 아랑전설-16
 17  [구비문학] 아랑전설-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구비문학] 아랑전설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들어가며

Ⅱ.본문

1.의 변이형

2.의 변이형에 따른 주제 인식의 차이

3. 텍스트 분석

4. 인물 양상

5.의 현대적 변용

6.의 성격

Ⅲ.나오며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구비문학이라는 장르의 특성상 신화 · 전설 · 민담은 구비전승 과정에서 수많은 변형을 겪게 마련이다. 전승자의 주관적인 개입이 가능하며 문헌설화로 고착되기 전까지는 말하는 이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상들이 개입할 수밖에 없다.
전설은 신화와 민담과는 차별성을 갖는다. 1)전승자의 태도 면에서 전승자가 신성하다고는 생각하지 않으나 진실하다고 믿고 실제로 있었던 일이라고 주장하는 이야기라는 점, 2) 시간과 장소 면에서 구체적인 시간과 장소를 제시함으로써 진실성을 뒷받침 한다는 점, 3) 구체적인 증거물이 존재 한다는 점, 4) 주인공은 시대나 지역의 제한을 받는 역사적인 인물이거나 사물 차제가 주인공이 되며, 신화의 주인공보다 왜소하며 얘기치 못한 사건을 성공적으로 극복하지 못하는 성향이 짙다는 점, 5) 전설의 전승은 증거물이 제시되므로 지역적인 범위에 머문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한국설화의 탐구 - 한국설화의 전통적 접근 (강재철 단국대학교 출판부)
.
이러한 전설의 특성을 통해 전설이 신화보다 실재 전승자인 민중들의 삶에 더욱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민담과는 달리 구체적인 증거물이 존재한다는 것은 보편적으로 알려져 있는 민담을 그 지역의 지배적 사상과 결부시켜 민중들에게 더욱 실재성을 갖게 한다는 점에서 전승의도를 파악하는 데에도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설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밀양지역의 을 살펴보고 이 갖는 현대적인 의미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아랑전설’은 널리 알려져 있는 전설이면서도 ‘밀양아랑전설’이란 이름을 가질 정도로 밀양을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유포되어 있는 지역성이 강한 전설이다. 옛날로부터 20세기 까지는 이 유형의 전설이 우리나라 여러 지방에서 구전되어 왔으나 ‘밀양, 영남루, 아랑각“이라는 증거물과 결부되면서 지명전설화 되고 20세기 이후에는 ‘아랑형 전설’ ‘아랑형 전설’이란 1.원귀가 자신의 억울함을 제삼자에게 하소연하여 풀어버리는 이야기, (손진태 [조선민족설화의 연구].1947) , 2.원귀가 공청에 나타나거나 사람의 꿈에 나타나서 신원하는 설화, (김기현 [아랑형 설화고] 1970) 3.“부임 첫날 밤에 죽은 원님 모티브”가 들어있는 설화(최래옥[한국 구비전설의 연구] 1984)를 의미한다.
이라는 명칭이 붙여져 알려지게 된 후에는 완전히 밀양의 지명전설로 고정된 듯하다. 김대숙, [아랑형 전설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1. 15면

‘아랑전설’은 탄탄한 서사적 구성을 가지고 있어 민담으로 전승되기에 알맞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구체적인 증거물들을 가지고 밀양지역에 다수 분포되어 있는데 이는 밀양지역이 과거로부터 유교가 지배적 사상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매우 보수적인 지역이라는 점과 연관 지어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여성의 정절을 최우선적인 덕목으로 보았던 과거 유교적 관점에서 ‘아랑’이라는 존재는 정절의 표상으로 숭상되어 지금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그리고 ‘정절’의 아이콘으로 자리 잡은 ‘아랑’을 통해 밀양지역의 지배계층은 민중들에게 자연스럽게 ‘정절’이라는 덕목을 죽음과 맞바꾸어서라도 지켜야 하는 것으로 사상 깊숙히 밀어 넣었다.
참고문헌
곽정식(1994),「아랑(형)전설」의 구조적 특질, 경성대학교부설향토문화연구소 文化傳統論集 2('94.9) pp.39-51.
김선영(2006), 원귀형 설화의 현대적 변용 연구 :『아랑전설』 『장화홍련전』을 중심으로, 아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형진(1997), 아랑 전설 연구, 啓明大 大學院 석사 학위 논문.
서수경(2005), 한국 귀신담의 구조와 의미에 대한 연구, 원광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石相順(1994), 아랑 전설의 전승에 관한 연구 : 밀양 지방을 중심으로, 慶星大 大學院 석사 학위 논문.
신호성(2007), 문화콘텐츠로서의 , 고려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옥영균(2004), 김영하 소설 「아랑은 왜」의 서술기법 연구, 인제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수미(2007), 아랑 설화의 현대적 변용 연구, 성신여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임지은(2007), 김영하 소설의 전설 수용 양상 연구 :의 소설화를 중심으로, 서강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강재철(2009), [한국설화문학의 탐구 - 한국설화의 전통적 접근] 단국대학교 출판부
조희웅(2008), [이야기 문학 실타래] 글누림
김의숙 이창식 공저(2004), [구비문학이란 무엇인가] 푸른사상
조희웅 조흥우 이선형 공저(2003), [영남 구전자료집vol.3 , vol.8] 박이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