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정서법] 한국어의 지역방언 -유성음, 어두음 경음화, 청자 대우법을 중심으로

 1  [국어정서법] 한국어의 지역방언 -유성음, 어두음 경음화, 청자 대우법을 중심으로-1
 2  [국어정서법] 한국어의 지역방언 -유성음, 어두음 경음화, 청자 대우법을 중심으로-2
 3  [국어정서법] 한국어의 지역방언 -유성음, 어두음 경음화, 청자 대우법을 중심으로-3
 4  [국어정서법] 한국어의 지역방언 -유성음, 어두음 경음화, 청자 대우법을 중심으로-4
 5  [국어정서법] 한국어의 지역방언 -유성음, 어두음 경음화, 청자 대우법을 중심으로-5
 6  [국어정서법] 한국어의 지역방언 -유성음, 어두음 경음화, 청자 대우법을 중심으로-6
 7  [국어정서법] 한국어의 지역방언 -유성음, 어두음 경음화, 청자 대우법을 중심으로-7
 8  [국어정서법] 한국어의 지역방언 -유성음, 어두음 경음화, 청자 대우법을 중심으로-8
 9  [국어정서법] 한국어의 지역방언 -유성음, 어두음 경음화, 청자 대우법을 중심으로-9
 10  [국어정서법] 한국어의 지역방언 -유성음, 어두음 경음화, 청자 대우법을 중심으로-10
 11  [국어정서법] 한국어의 지역방언 -유성음, 어두음 경음화, 청자 대우법을 중심으로-11
 12  [국어정서법] 한국어의 지역방언 -유성음, 어두음 경음화, 청자 대우법을 중심으로-12
 13  [국어정서법] 한국어의 지역방언 -유성음, 어두음 경음화, 청자 대우법을 중심으로-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정서법] 한국어의 지역방언 -유성음, 어두음 경음화, 청자 대우법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차례
1. 서론
1.1. 주제 선정이유 (청자 대우법)
2. 본론
2.1. 방언의 지역구분
2.2. 각 지역 방언의 특성
2.2.1. 유성음
2.2.2. 어두음 경음화
2.2.3. 청자 대우법
3. 결론
3.1. 한국어 방언연구의 의의
3.2. 한계 및 개선방안
3.3. 느낀점

본문내용

2.2.2.2. 충청도 방언

충청도 방언에서는 두음의 경음화 현상이 전라도, 경상도 방언에 비하여 훨씬 미약하게 나타난다.
예) 도랑[또랑], 곰보[꼼보], 밟다[발따]와 같이 겹받침 ‘ㄻ’ 뒤에 자음이 이어지면 ‘ㄹ’만이 발음된다.

2.2.2.3. 강원도 방언

강원도 방언에서는 경상도, 전라도, 함경도, 충청도 다음으로 어두음의 경음화 현상이 강 하게 실현된다.
예) 도깨비[또깨비], 소주[쏘주], 시래기[씨래기], 두꺼비[뚜꺼비]

2.2.2.4. 전라도 방언

전라도 방언의 어두음 경음화 현상은 전라북도보다 전라남도에서 더 널리 나타나 있다.
예)가지[까지], 강냉이[깡냉이], 두부[뚜부], 비둘기[삐들기], 병아리[삥아리], 개미[깨미], 삭인다[싹훈다], 굵다[꿁다], 굽히다[꿉히다], 굽다[꿉다], 닦다[딲다], 두껍다[뚜껍다], 갑갑하다[깝깝허다].

2.2.2.5. 경상도 방언

경상도 방언은 전라도 방언과 같이 어두음 경음화하는 현상이 강하게 나타난다.
예) 번개[뻔개], 바둑[빠닥], 사위[싸위], 고등어[꼬등어], 가지[까지]


참고문헌
※ 참 고 문 헌

국립국어원편, 『방언이야기』, 태학사, 2007.
「방언기호1」, 『민속학술자료총서』, 도서출판 우리마당 터, 2005.
「방언영남2」, 『민속학술자료총서』, 도서출판 우리마당 터, 2005.
「방언영남3」, 『민속학술자료총서』, 도서출판 우리마당 터, 2005.
이기갑 저, 『국어방언문법』, 태학사, 2003.
이익섭, 『국어학개설』, 학연사, 2010.
이주행, 『한국어 사회방언과 지역 방언의 이해』, 한국문화사, 2005.


※ 참 고 논 문

이기갑, , ⟪민속학술자료총서 - 방언 호남 1⟫, 우리마당 터, 2005.
논문 李敦柱, ,⟪민속학술자료총서 - 방언 호남 1⟫, 우리마당 터,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