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술과 문화] 우현 고유섭 생애와 한국 미학

 1  [한국미술과 문화] 우현 고유섭 생애와 한국 미학-1
 2  [한국미술과 문화] 우현 고유섭 생애와 한국 미학-2
 3  [한국미술과 문화] 우현 고유섭 생애와 한국 미학-3
 4  [한국미술과 문화] 우현 고유섭 생애와 한국 미학-4
 5  [한국미술과 문화] 우현 고유섭 생애와 한국 미학-5
 6  [한국미술과 문화] 우현 고유섭 생애와 한국 미학-6
 7  [한국미술과 문화] 우현 고유섭 생애와 한국 미학-7
 8  [한국미술과 문화] 우현 고유섭 생애와 한국 미학-8
 9  [한국미술과 문화] 우현 고유섭 생애와 한국 미학-9
 10  [한국미술과 문화] 우현 고유섭 생애와 한국 미학-10
 11  [한국미술과 문화] 우현 고유섭 생애와 한국 미학-11
 12  [한국미술과 문화] 우현 고유섭 생애와 한국 미학-12
 13  [한국미술과 문화] 우현 고유섭 생애와 한국 미학-13
 14  [한국미술과 문화] 우현 고유섭 생애와 한국 미학-14
 15  [한국미술과 문화] 우현 고유섭 생애와 한국 미학-15
 16  [한국미술과 문화] 우현 고유섭 생애와 한국 미학-16
 17  [한국미술과 문화] 우현 고유섭 생애와 한국 미학-17
 18  [한국미술과 문화] 우현 고유섭 생애와 한국 미학-18
 19  [한국미술과 문화] 우현 고유섭 생애와 한국 미학-19
 20  [한국미술과 문화] 우현 고유섭 생애와 한국 미학-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미술과 문화] 우현 고유섭 생애와 한국 미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한국미학의 선구자, 우현 고유섭


2. 우현 선생이 말하는 한국의 미


3. 아름다운 한국


4. 인천과 문화재
본문내용
2 청화백자매죽문호
이 작품은 중국 원말명초의 청화백자가 조선 왕조에 도입되어 새롭게 발전하는 과정을 잘 보여주는 것으로, 유례가 극히 드문 초기 청화백자 가운데서도 크기나 문양, 청화발색 등 모든 면에서 단연 발군인 최고의 명품으로 꼽히는 항아리이다. 높직한 구연부에 풍만한 어깨, 급히 좁아든 허리, 아래 끝이 안으로 꺾인 두툼한 굽다리 등은 전형적인 조선초기 항아리 형태로 국초의 활력이 반영된 듯 당당하고 힘이 넘친다. 문양은 당시 금값과 맞먹는 귀한 청화안료를 사용해, 어깨와 저부에는 원말명초에 유행한 화려하고 장식적인 연판문대를 돌렸으며, 주문양대에는 매화와 대나무를 구륵법을 사용해 사실적으로 세밀하게 묘사하였는데, 구성이 다소 번잡하고 공간감이 많지 않은 것은 조선화 되기 이전의 초기적인 특징으로 이해된다.

3 청화백자운룡문병
호암미술관에 있는 조선 전기 청화백자 병.
순백의 기면에 암청색의 짙은 청화 안료를 사용하여 몸통 가득 운룡문을 그렸다. 담청색의 백자유를 바닥까지 고르게 시유하고 모래를 받쳐 높은 온도에서 환원 번조한 백자병이다. 작고 아담한 병으로 조선 전기의 전형적인 형태를 하고 있다.
조선 전기에는 극히 드물게 보이는 운룡문으로 필력이 우수하고 청화의 농담(濃淡) 처리가 특출하여 도화서 화원의 솜씨로 여겨진다. 중국 명대의 청화백자 운룡문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으며, 종속 문양대가 없고 굽 표면에 한 줄의 청화선만 돌렸다.
궁중의 연례에 사용된 특별한 술병으로 추정된다. 작품성도 뛰어나지만 청화백자가 조선식으로 변모되는 과정을 잘 보여주는 귀한 자료이다.

4 백자상감연당초문대접
고려 백자의 계통을 이은 작품으로 태토는 석고와 같은 질감이고 기벽은 얇다. 유약에는 부드럽고 세밀한 빙렬이 있으며 얇게 입혀져 있어 고운 비단결 같은 질감을 준다. 대접의 생김새는 중국 명나라 초기(14세기)의 대접과 매우 닮았지만, 상감 기법이나 유의 특징은 대단히 고려적이어서 오히려 14세기의 고려 백사 상감으로 생각될 정도이다.
이런 류의 조선 초기 백자 상감들은 대게 유가 거칠고 상감 솜씨도 날림이 많으며, 굽도리의 마무리도 허술한 데 비해, 이 대접은 아주 정제되어 있으며, 특히 굽다리는 비할데 없이 깔끔하게 마무리되어 있다. 이러한 기명의 파편은 경기도 광주의 주요 관요터에서 아직까지 발견된 예가 없고 대체로 지방의 가마에서 고려의 수법을 그대로 지켜가면서 새 양식을 소
참고문헌
《자료 출처》
◎ 백자
KOREANA: a Quarterly on Korea Art & Culture
(글제목: 간결한 기품이 돋보이는 왕실 그릇 –저자/소속:윤용이-)
「조선 자기의 미」, 김영원(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장)
대전일보 기사, 달빛 머금은 순백의 여유 ‘한국 미의 정수’, 卞祥燮 기자
◎ 불상
우리 문화 바로 알기: http://user.chollian.net/~kdhgadin/2-11.htm
◎ 문화재 사진자료-백자,청자,불상
문화재청, 네이버 백과사전
EnCyber 대한민국 방방곡곡
디지털용인문화대전
네이버-인사이드 경기
원명대 도자기 자료: http://blog.naver.com/artjieun
Pleasure from Emptiness: http://hanulh.cafe24.com/514(용천청자삼족향로)
이창호의 역사교육: chang256.new21.net(물고기무늬장군)
◎ 네이트 검색 – 탑
◎ 구글검색
◎ 네이버검색, 네이버 블로그
◎ 네이버 카페- 동부 캐나다 마케팅 한국미 사진
◎ 인천시립박물관 홈페이지
◎ 인천개항장근대건축전시관 사진자료: http://kkaok.tistory.com/782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