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시가론] `정읍사`의 창작시기

 1  [고대시가론] `정읍사`의 창작시기-1
 2  [고대시가론] `정읍사`의 창작시기-2
 3  [고대시가론] `정읍사`의 창작시기-3
 4  [고대시가론] `정읍사`의 창작시기-4
 5  [고대시가론] `정읍사`의 창작시기-5
 6  [고대시가론] `정읍사`의 창작시기-6
 7  [고대시가론] `정읍사`의 창작시기-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대시가론] `정읍사`의 창작시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의 본문과 해석
3. 의 창작시기 추론
3.1. 後腔全 져재의 논점분석을 통한 창작시기 추론
3.2. 백제의 망부석 설화와 의 연관성
3.3. 민요적 성격과 형식을 통한 의 창작시기 추론
4. 결론
본문내용
3.1. 後腔全 져재의 논점분석을 통한 창작시기 추론
後腔全 져재 녀러신고요
- 모든 시장을 다니시나요?

위 구절은 논점이 많은 부분이다. 양주동은 의 후강 "全져재 녀러신고요" 의 ‘全져재’는 ‘全州져재’의 약칭이 틀림없고, 는 백제 때의 원작이 아니고 경덕왕 이후의 소산으로 고려의 노래로 보았다. 양주동, 『古歌箋箭疑』, 『學風』2권 (1949) 재인용
이에 최정여는 일단 全을 뒤로 붙이되 ‘온 저자’로 해석하였다. ‘전주시장’으로 본다면 이런 해석이 나온다. 전주는 하나의 시장이겠는데, 후행하는 ‘녀러신고요’를 ‘다니시나요’로 풀어야 하는 입장에서 볼 때, ‘여러 시장을 다닌다’로 이해하여야지, ‘하나의 시장을 다닌다’로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최철·박재민, 『석주 고려가요』, (2003), pp308~309
여기서 최정여의 ‘온 시장’이 가장 문맥에 부합하는 해석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고려가요설이라는 주장도 있다. 양주동은 의 후강 "全져재 녀러신고요" 의 ‘全져재’는 ‘全州져재’의 약칭이 틀림없고, 는 백제 때의 원작이 아니고 경덕왕 이후의 소산으로 고려의 노래로 보았다. 양주동, 『古歌箋箭疑』, 『學風』2권, (1949) 재인용
양주동은 이것을 ‘전주시장’으로 보았지만, 그것에는 결함이 많다. 전주는 하나의 시장인데, 뒤에 오는 ‘녀러신고요’를 ‘다니시나요’로 해석할 때, ‘여러 시장을 다닌다’로 이해하여야지, ‘(하나의) 전주시장을 다닌다’로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 ‘全’자는 앞에 오는 후강에 속하는 ‘후강전’이란 음악용어이다. 음악 용어로서의 ‘後腔全’설은 후강만이 있고 그에 부속된 ‘소엽’이 결여되었기 때문에 ‘全’자를 붙여 ‘後腔全’이라 했다는 논리는 설득력이 있다.
그리고 음악적 용어에다가, 전주라는 지명이 외자 ‘전’으로 표기도니 예가 아직껏 없었다. 이런 여러 가지 이유로 양주동이 생각한 ‘全’을 전주로 해석한 것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백제에 노래로 불리어 졌다고 볼 때, 음악적 용어로 이해하는 것이 옳다고 보인다.
참고문헌


고문헌
『고려사』「악지」
『삼국사기』

단행본
최철·박재민, 『석주 고려가요』, 이회,, (2003)
성호경, 『고려시대 시가연구』, 태학사, (2006)
김쾌덕, 『고려노래 속가의 사회 배경적 연구』, 국학자료원, (2001)
김쾌덕, 『고려속가의 연구』, 국학자료원, (2006)
서철원, 『한국고전문학의 방법론적 탐색과 소묘』, 역락, (2009)
이도학, 『살아있는 백제사』, 휴머니스트, (2010)
장덕순, 『한국문학사의 쟁점』, 집문당, (1996)

논저
임미선, 「정읍의 창작시기와 전승과정」한국음악연구, (2007)
서철원, 「백제 문화권의 와 고려속요의 기원」, 국어문학, (2008)
서영숙, 「백제권 가요의 존재양상과 전승실태」, 고시가연구, (2000)
이등룡, 「정읍사(井邑詞) 연구 -방법론의 반성-」, 人文科學,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