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외교] 한국 및 중국 대학생들의 정치신뢰 차이에 대한 요인 분석

 1  [정치외교] 한국 및 중국 대학생들의 정치신뢰 차이에 대한 요인 분석-1
 2  [정치외교] 한국 및 중국 대학생들의 정치신뢰 차이에 대한 요인 분석-2
 3  [정치외교] 한국 및 중국 대학생들의 정치신뢰 차이에 대한 요인 분석-3
 4  [정치외교] 한국 및 중국 대학생들의 정치신뢰 차이에 대한 요인 분석-4
 5  [정치외교] 한국 및 중국 대학생들의 정치신뢰 차이에 대한 요인 분석-5
 6  [정치외교] 한국 및 중국 대학생들의 정치신뢰 차이에 대한 요인 분석-6
 7  [정치외교] 한국 및 중국 대학생들의 정치신뢰 차이에 대한 요인 분석-7
 8  [정치외교] 한국 및 중국 대학생들의 정치신뢰 차이에 대한 요인 분석-8
 9  [정치외교] 한국 및 중국 대학생들의 정치신뢰 차이에 대한 요인 분석-9
 10  [정치외교] 한국 및 중국 대학생들의 정치신뢰 차이에 대한 요인 분석-10
 11  [정치외교] 한국 및 중국 대학생들의 정치신뢰 차이에 대한 요인 분석-11
 12  [정치외교] 한국 및 중국 대학생들의 정치신뢰 차이에 대한 요인 분석-12
 13  [정치외교] 한국 및 중국 대학생들의 정치신뢰 차이에 대한 요인 분석-13
 14  [정치외교] 한국 및 중국 대학생들의 정치신뢰 차이에 대한 요인 분석-14
 15  [정치외교] 한국 및 중국 대학생들의 정치신뢰 차이에 대한 요인 분석-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정치외교] 한국 및 중국 대학생들의 정치신뢰 차이에 대한 요인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Ⅰ. 서 론
Ⅱ. 이론 및 가설 검토
1. 대인 신뢰와 정부 신뢰

2. 지역적·경제적 배경과 정부신뢰

3. 미디어의 종류 및 노출 정도와 정부신뢰

4. 행정 서비스와 정부신뢰

5. 샘플링

Ⅲ. 설문조사를 통한 가설검증
Ⅳ. 결 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4. 행정 서비스와 정부신뢰

Gamson은 정부신뢰의 대상을 공직자, 정권의 정치제도, 정권의 공공철학, 그리고 정치공동체 등 네 가지로 분류하고 이것들을 계층적 수준으로 이룬다고 한다(Gamson. W. A., 1968). 이 4가지 중에서 계층적 수준의 처음에 해당하는 '공직자'가 제일 기본적이며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왜냐하면 처음의 수준에서 시작하여 정부의 신뢰에 대한 태도가 일반화 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관료인 공무원의 역할은 선진국처럼 제도화가 잘 구비되지 않은 국가에서는 더욱 중요해 진다. 그들은 제도가 자기들에게 불리하거나 불편하다고 여기면 언제든지 형식적으로 내용적으로 수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신뢰에는 신뢰하는 단위 즉 신뢰자와 신뢰받는 단위 즉 피신뢰자가 있는데, 여기서 정부란 입법, 사법, 행정을 포괄하지만, 일반적으로 국가에서 정부는 행정부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공직을 차지하고 정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공무원들의 모습이 시민들에게는 정부의 모습으로 다가갈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행정 및 공무원이 국민에게 유의하도록 행정을 수행하고 전문능력을 배양하기 위해서 열심히 노력해야 국민의 신뢰가 높아진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이헌수, 1999).

가설 5 : 행정서비스에 대한 시민의 만족도는 정부에 대한 신뢰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리고 중국 대학생과 한국 대학생들의 공공기관 및 공공시설에 대한 만족도에 대한 차이가 정부에 대한 신뢰도의 차이의 요인으로
참고문헌
■ 참고문헌

 김춘식. (2010). 미디어 이용, 미디어 선거정보의 중요성 인식 및 미디어 역할에 대한 평가가가 정치에 대한 부정적 감정과 정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언론과학연구」, 10(3) : 157~190.
 박희봉 외 2명. (2003). 우리나라 정부신뢰 특성 및 영향 요인분석. 「한국행정학보」, 37(3): 47.
 이강형. (2005). 정치참여에 대한 미디어 이용, 정치적 냉소주의 및 정치 효능감의 영향. 「미디어와 유권자: 미디어의 영향에 관한 이론적 접근」(127~157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이재호. (2006). 중국에서 꽌시가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2(2) : 363~381.
 이헌수. (1999). 국민의 행정 신뢰에 관한 분석. 「한국행정학보」, 33(2) : 37~56.

 Brehm, John & Wendy Rahn. (1997). 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3): 999-1023.
 Gamson. W. A. (1968). A power and discontent. Homewood: The dorsey Press.
 Levi, M. (1996). Social and unsocial capital. Politics and Society. 24: 45-55.
 McAllister. (1999). The Economic Performance of Governments. in Norris, Pippa(ed.), Critical Citizens: Global support for democratic government.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 Primkleton, B. E., & Austin, E. W. (2002). Exploring relationships among media use frequency, perceived media importance, and media satisfaction in political disaffection and efficacy. Mass Communication & Society, 5(2), 141~163.
 Putnam, Robert D. (1993a). Making Democracy Work: 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Brady. (1995). Cambridge,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and London, England: Harvard University Press.
 Zukin, c. (1981). Mass communication and public opinion. In D. D. Nimmo & K. R. Sanders (Eds.), Handbook of political communication (pp. 359~390). Beverly hills, CA: sage.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