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사관에 대한 비판

 1  민족사관에 대한 비판-1
 2  민족사관에 대한 비판-2
 3  민족사관에 대한 비판-3
 4  민족사관에 대한 비판-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민족사관에 대한 비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植民史學이란 무엇인가?
2. 民族史學이란 무엇인가?
3. 민족사관 ․ 민족사학에 대한 비판
4. 민족주의 사학과 교과서문제
5. 마치면서
본문내용
1. 植民史學이란 무엇인가?

植民史學을 단적으로 말한다면 “한국에 대한 식민지주의적 또는 제국주의적 지배를 합리화시키기 위하여 한국의 역사를 歪曲⦁變造⦁漏落시키는 율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면 식민사관의 내용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네 가지로 구분될 것이다.
첫째로는, 한국사의 主體를 한국인 또는 한국의 底力으로 보지 않고 외재적 또는 외래적 충격이나 영향을 과대평가함으로써 한국사의 주체적 발전력을 비하한다. 이와 같은 예는 조선왕조의 개국 이후 중국문화에 심취한 사대주의자들에 대한 서술에서 대표적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들의 기본적인 입장은 한국사를 중국의 속국의 역사 또는 주종관계의 성격에서 파악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조 광, 「민족사관과 우리의 학문 -한국사 연구에서 민족사관의 문제-」, 2001.
정영순, 「극동⦁동남아시아 3국 역사교과서 상호 관련내용 분석」, 2002.
박찬흥, 「滿鮮史觀에서의 한국고대사 인식 연구」, 2004.
임재해, 「왜 지금 겨레문화의 뿌리를 주목하는가」, 청원국제샤머니즘세미나, 2006.
이종욱, 「관학파가 만든 민족사에서 우리를 만든 ‘한국사’로」, 『한국고대사탐구』, 2009.
이명화, 「일제총독부 간행 역사교과서와 식민사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성시정, 「민족사학과 탈근대적 역사인식」.
신복룡, 『한국사 새로 보기』, 풀빛, 2001.
하고 싶은 말
민족사관에 대한 비판에 관한 레포트입니다.

좋은 성적 받으세요~ ^^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