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봉산탈춤 해학과 웃음-사회적인 측면 분석

 1  조선후기 봉산탈춤 해학과 웃음-사회적인 측면 분석-1
 2  조선후기 봉산탈춤 해학과 웃음-사회적인 측면 분석-2
 3  조선후기 봉산탈춤 해학과 웃음-사회적인 측면 분석-3
 4  조선후기 봉산탈춤 해학과 웃음-사회적인 측면 분석-4
 5  조선후기 봉산탈춤 해학과 웃음-사회적인 측면 분석-5
 6  조선후기 봉산탈춤 해학과 웃음-사회적인 측면 분석-6
 7  조선후기 봉산탈춤 해학과 웃음-사회적인 측면 분석-7
 8  조선후기 봉산탈춤 해학과 웃음-사회적인 측면 분석-8
 9  조선후기 봉산탈춤 해학과 웃음-사회적인 측면 분석-9
 10  조선후기 봉산탈춤 해학과 웃음-사회적인 측면 분석-10
 11  조선후기 봉산탈춤 해학과 웃음-사회적인 측면 분석-11
 12  조선후기 봉산탈춤 해학과 웃음-사회적인 측면 분석-12
 13  조선후기 봉산탈춤 해학과 웃음-사회적인 측면 분석-13
 14  조선후기 봉산탈춤 해학과 웃음-사회적인 측면 분석-14
 15  조선후기 봉산탈춤 해학과 웃음-사회적인 측면 분석-15
 16  조선후기 봉산탈춤 해학과 웃음-사회적인 측면 분석-16
 17  조선후기 봉산탈춤 해학과 웃음-사회적인 측면 분석-17
 18  조선후기 봉산탈춤 해학과 웃음-사회적인 측면 분석-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선후기 봉산탈춤 해학과 웃음-사회적인 측면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서론

2. 연희배경

3. 풍자와 해학의 의미

4. 과장 분석(줄거리)

제 1과장: 사상좌춤

제 2과장: 팔목중춤

제 3과장: 사당춤

제 4과장: 노장춤

제 5과장: 사자춤

제 6과장: 양반춤

제 7과장: 미얄춤

4. 과장 중 해학과 풍자 분석

4.1. 노장과장

4.1.1. 노장춤 대목

4.1.2. 노장을 찾으로 가는 대목

4.1.3. 신장수 춤 대목

4.1.4. 취발이 대목

4.2. 양반과장

4.3. 미얄과장

5. 결론


본문내용
4. 과장 분석(줄거리)

제 1과장: 사상좌춤

상좌 넷이 사방신(四方神)에게 배례하는 내용으로 연희자가 공연을 잘 마칠 수 있게 해달라는 기원을 담고 있다. 또한 탈춤 놀이의 시작을 알리고, 관객의 안녕과 복을 빌어 놀이판을 정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 2과장: 팔목중춤

제 1경은 목중춤으로 여덟 명의 목중이 등장하여 차례로 자신의 승려 생활을 파계한다. 그 다음 제 2경은 법고놀이(또는 버꾸놀이)로 목중들이 등장해 미리 준비한 법고를 가지고 익살과 재담으로 법고놀이를 하는 내용이다.

제 3과장: 사당춤

사당이 거사의 등에 업혀 등장하고, 거사가 사당을 뒤따르며 추태를 부린 뒤 질탕하게 놀다가 전원 퇴장하는 내용이다. 이때 거사들이 홀애비 거사를 내쫓는 장면에서 장고, 북, 소고를 치며 서도소리를 부른다.

제 4과장: 노장춤

제 1경은 노장춤으로 불도에 정진하던 노장이 소무의 미색에 반해 파계를 한다. 그 후 제 2경은 신장수춤으로 소무를 위해서 노장이 소무(小巫)의 신을 외상으로 사자, 신발값을 받으려고 신장수가 원숭이를 보냈다가 장작전으로 오라는 노장의 편지에 장작찜을 당할까봐 두려워한다. 제 3경은 취발이춤으로 취발이가 대결을 통해 노장에게서 소무를 빼앗고, 살림을 차려 아이를 낳는다.

제 5과장: 사자춤

여덟 목중과 취발이, 노장 모두가 승려의 신분을 파계하고 세상사 쾌락에 전념하자 부처님이 노하여 사자를 보내 이들을 잡아먹게 한다. 이에 모두 회계하고 잘못을 빌자 사자는 용서하고 화해의 춤을 춘다.

제 6과장: 양반춤

하인 말뚝이와 양반 3형제의 재담을 내용으로 양반들의 실생활상과 사회의 온갖 비리를 해학과 풍자로 고발한다. 이 때 양반 3형제는 전통 있는 양반이 아니라 돈으로 사서 얻은 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