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론] 봉산탈춤

 1  [구비문학론] 봉산탈춤-1
 2  [구비문학론] 봉산탈춤-2
 3  [구비문학론] 봉산탈춤-3
 4  [구비문학론] 봉산탈춤-4
 5  [구비문학론] 봉산탈춤-5
 6  [구비문학론] 봉산탈춤-6
 7  [구비문학론] 봉산탈춤-7
 8  [구비문학론] 봉산탈춤-8
 9  [구비문학론] 봉산탈춤-9
 10  [구비문학론] 봉산탈춤-10
 11  [구비문학론] 봉산탈춤-11
 12  [구비문학론] 봉산탈춤-12
 13  [구비문학론] 봉산탈춤-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구비문학론] 봉산탈춤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봉산탈춤의 변천과정
1-1. 봉산탈춤의 연행배경
1-2. 18세기 이전의 봉산탈춤
1-3. 19세기 이후의 봉산탈춤
2. 봉산탈춤의 마당 구성
3. 봉산탈춤에 드러난 갈등구조
3-1. 노장과 소무의 갈등
3-2. 노장과 취발이의 갈등
3-3. 말뚝이와 양반의 갈등
3-4. 미얄할미와 미얄영감의 갈등
4. 봉산탈춤의 사회적 기능
5. 들여다보기

Ⅲ.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론

가면극은 조선 후기 전국 각지에서 활발하게 연행되었다. 지역에 따라 경기도 지역에서는 산대놀이, 경상도 지역에서는 야류(들놀이)와 오광대, 황해도 지역에서는 탈춤 등으로 명칭에 조금씩 차이가 있기는 하나, 그 내용이나 주제는 조선후기 사회 현실에 대한 민중들의 의식을 반영한 것으로 특히 승려나 양반, 남성의 권력에 대한 비판이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봉산탈춤은 황해도 지역에서 가장 활발히 연행되었던 것으로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다. 봉산탈춤의 연행은 주로 단오날 이루어졌는데, 이 날이 되면 봉산 각지에서 많은 사람들이 모였다고 한다.
조선 후기 성행했던 붕산 탈춤은 일제 식민지 시대에 일시 중단되었다가, 해방 이후에 남북분단에 의해 황해도 지역이 이북지역에 속함으로 이남지역에서의 전승이 단절될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그러던 것이 6.25 전쟁 이후에 월남한 연희자들을 중심으로 봉산탈춤의 연행이 지속될 수 있게 되었다. 이들에 의해 ‘봉산탈춤 보존회’가 결성되어,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하고, 1967에는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는 등 전통문화로서 봉산탈춤의 위상을 한껏 높일 수 있었다. 이러한 노력에 의해 현재까지 봉산탈춤의 연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게 된 것이다.
아래 본문에서는 봉산 탈춤의 연행 배경과 변천 과정을 살피고, 봉산탈춤의 마당 구성에 관해 논의할 것이다. 또한 봉산탈춤에 드러난 다양한 갈등 구조를 살피고 봉산 탈춤의 사회적 기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마지막으로 봉산탈춤 연구 과정에서 발생한 궁금증에 대한 조원들의 토론을 정리하는 것으로 본 연구를 마무리하기로 하겠다.
참고문헌
1. 단행본
국어국문학회, 민요.무가.탈춤 연구, 태학사, 1998.
민속학술자료총서 봉산탈춤 3, 우리마당 터. 2003
박전열, 봉산탈춤, 화산문화, 2001.
2. 논문
김종해, 鳳山탈춤의 原型的 要素에 關한 硏究 .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1990.
민희정, 한.일 가면극의 비교연구 : 봉산탈춤과 노오의 춤의 역할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박문용, 조선후기 탈춤의 생성 배경과 예능적 특성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임세경, 봉산탈춤의 전승 양상. 남도민속연구. 2006
전유오. 봉산탈춤의 민중신학적 이해. 梨花女子大學校, 1987.
조혜림, 봉산탈춤에 나타난 공동체 의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