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답사] 서울 시내의 조선시대 교육기관을 찾아서

 1  [문화답사] 서울 시내의 조선시대 교육기관을 찾아서-1
 2  [문화답사] 서울 시내의 조선시대 교육기관을 찾아서-2
 3  [문화답사] 서울 시내의 조선시대 교육기관을 찾아서-3
 4  [문화답사] 서울 시내의 조선시대 교육기관을 찾아서-4
 5  [문화답사] 서울 시내의 조선시대 교육기관을 찾아서-5
 6  [문화답사] 서울 시내의 조선시대 교육기관을 찾아서-6
 7  [문화답사] 서울 시내의 조선시대 교육기관을 찾아서-7
 8  [문화답사] 서울 시내의 조선시대 교육기관을 찾아서-8
 9  [문화답사] 서울 시내의 조선시대 교육기관을 찾아서-9
 10  [문화답사] 서울 시내의 조선시대 교육기관을 찾아서-10
 11  [문화답사] 서울 시내의 조선시대 교육기관을 찾아서-11
 12  [문화답사] 서울 시내의 조선시대 교육기관을 찾아서-12
 13  [문화답사] 서울 시내의 조선시대 교육기관을 찾아서-13
 14  [문화답사] 서울 시내의 조선시대 교육기관을 찾아서-14
 15  [문화답사] 서울 시내의 조선시대 교육기관을 찾아서-15
 16  [문화답사] 서울 시내의 조선시대 교육기관을 찾아서-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화답사] 서울 시내의 조선시대 교육기관을 찾아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주제 선정 동기 및 준비 과정
Ⅱ. 조선의 교육기관
1. 성균관成均館
2. 4부학당(四部學堂)
3. 양천향교
4. 기술교육기관 (사역원과 광혜원)
Ⅲ. 보존 및 개발 방안에 대한 의견
1. 건축 문화재 (성균관과 양천향교)
2. 표석 유적지 (4부학당 및 사역원터, 광혜원터)
Ⅳ. 소감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주제 선정 동기 및 준비 과정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열은 세계 어느 나라보다도 치열하다. 현재 교육기관은 유치원에서부터 초·중·고등학교로 체계적·단계적으로 설립되어있다. 뿐만 아니라 어릴 적부터 조기유학 혹은 대학 및 대학원에서 학사·석사과정을 밟는 것이 거의 보편화가 되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우리나라 사람들의 ‘교육’에 대한 열정과 욕심은 언제부터 생겨난 것일까? 대학교에서 학사 과정을 거치고 있는 우리들은 대학원 혹은 유학 등과 같이 여전히 더 높은 교육에 대한 진로 고민을 갖고 있으며, 때문에 이번 지표조사의 주제를 정하는 과정에 있어서 ‘교육’에 대한 주제에 가장 많은 관심을 쏟게 되었다. 서울에 남아있는 전 시대의 교육기관을 조사해 봄으로써 과거 선조들의 교육은 어떠하였는지 알아볼 수 있는 단서를 찾고자 한다. 더 나아가 우리의 선조들은 어떻게 배우고, 어떤 생각을 가지고 살았는지, 그리고 무엇을 남겼는지 흔적을 통해 과거의 교육을 느껴보고자 한다.
요즘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한 소설을 원작으로 한 드라마를 다양하게 접할 수 있다. 당시 조선 최고의 교육기관이었던 성균관을 배경으로 한 ‘성균관 스캔들’이나, 한국 최초의 서양식 국립의료기관 광혜원을 배경으로 한 ‘제중원’까지 조선시대의 교육기관에 대해서 다룬 것도 여러 개 있었다. 이를 통해서 잘 알지 못했던 대중들도 조선시대 교육기관에 대해 알아가고 관심을 갖게 되는 계기가 되기도 하여 친밀감 형성을 하였다. 우리는 이 점에서 초점을 맞추어 답사지를 선정해보았다.
일단, 조선의 교육기관을 중앙과 지방으로 나누었고, 여기에 기술교육기관을 포함시켰다. 즉 서울중앙의 성균관(成均館)과 4부학당터(史部學堂攄), 지방교육기관이라 할 수 있는 향교(鄕校) 중에서 서울특별시로 편입된 양천향교(陽川鄕校), 그리고 기술교육기관 중 사역원터(司繹院攄) 및 광혜원터(廣惠院攄)를 답사유적지로 정하였다. 대표적인 지방교육인 사원 중에서 서울로 편입된 도봉서원(道峰書院)이 있지만 더 나은 답사 동선을 계획하기위해 답사주제에서는 제외시키기로 하였다.
참고문헌
1. 단행본
- 송병렬, 이병주, 『한자로 풀어보는 우리 문화유산』, (한문교육, 2007).
- 한국 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5 서울』, (돌베개, 2004).
- 국립문화재연구소,『서울·경기도의 향교건축』, (국립문화재연구소, 2000).
- 서울문화사학회, 『서울문화재 나들이』, (수서원, 2002).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서울역사 2000년』,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9)
- 이호진, 『한국 학교건축의 과거와 미래』, (한국교육환경연구원, 2008)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양천구』, (서울특별시, 1997)
- 정승교, 『중등우리교육(향교와 서원, 그곳에서 생각한 우리의 전통)』, (우리교육, 1998), p.89-95
- 박형우, 『제중원:조선 최초의 근대식 병원』, (21세기 북스, 2010)
- 박형우,『제중원』, (몸과 마음, 2002)

2. 온라인 자료
- 성균관 홈페이지 http://www.skkok.com
- 양천향교 홈페이지 http://www.hyanggyo.net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