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산문교육] 소설교육의 제재 선정 -최신 소설을 중심으로

 1  [현대산문교육] 소설교육의 제재 선정 -최신 소설을 중심으로-1
 2  [현대산문교육] 소설교육의 제재 선정 -최신 소설을 중심으로-2
 3  [현대산문교육] 소설교육의 제재 선정 -최신 소설을 중심으로-3
 4  [현대산문교육] 소설교육의 제재 선정 -최신 소설을 중심으로-4
 5  [현대산문교육] 소설교육의 제재 선정 -최신 소설을 중심으로-5
 6  [현대산문교육] 소설교육의 제재 선정 -최신 소설을 중심으로-6
 7  [현대산문교육] 소설교육의 제재 선정 -최신 소설을 중심으로-7
 8  [현대산문교육] 소설교육의 제재 선정 -최신 소설을 중심으로-8
 9  [현대산문교육] 소설교육의 제재 선정 -최신 소설을 중심으로-9
 10  [현대산문교육] 소설교육의 제재 선정 -최신 소설을 중심으로-10
 11  [현대산문교육] 소설교육의 제재 선정 -최신 소설을 중심으로-11
 12  [현대산문교육] 소설교육의 제재 선정 -최신 소설을 중심으로-12
 13  [현대산문교육] 소설교육의 제재 선정 -최신 소설을 중심으로-13
 14  [현대산문교육] 소설교육의 제재 선정 -최신 소설을 중심으로-14
 15  [현대산문교육] 소설교육의 제재 선정 -최신 소설을 중심으로-15
 16  [현대산문교육] 소설교육의 제재 선정 -최신 소설을 중심으로-16
 17  [현대산문교육] 소설교육의 제재 선정 -최신 소설을 중심으로-17
 18  [현대산문교육] 소설교육의 제재 선정 -최신 소설을 중심으로-18
 19  [현대산문교육] 소설교육의 제재 선정 -최신 소설을 중심으로-19
 20  [현대산문교육] 소설교육의 제재 선정 -최신 소설을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산문교육] 소설교육의 제재 선정 -최신 소설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01 교과서 현황 및 문제점
02 최신소설의 정의
03 중학교·고등학교 제재
04 결론 및 한계
본문내용
국어 교과서의 현대소설 수록 현황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1990~2000년대 작품 수록하기 시작
그러나 비율상으로 볼 때 여전히 일제강점기, 한국전쟁기, 산업화 시기의 작품이 다수
시대적 배경이 작품의 제재 및 주제의식에 주요한 영향을 끼치는 소설들이 많음
예: 현진건 「운수 좋은 날」, 최인훈 「광장」, 김승옥 「서울, 1964년 겨울」

제재 선정 문제점
① 제재의 다양성을 담보하지 못함
→ 여전히 특정 작가들의 특정 작품만이 다수
② 여성 작가의 작품 부족
→ 20%에 못 미침
내용적 측면에서도 ‘여성’의 시각을 충분히 드러내주는 글은 극히 일부

③ 작품의 길이 유형 및 수록 방식
→ 단편 소설이 선호됨 (50% 이상
→ 중 · 장편 소설을 접할 기회가 적음
→ 생략된 부분의 줄거리 없이 작품의 일부분만 발췌하는 경우 (약 40%)
학습자가 전체적 이해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

④ 학습자들에게 어필하는 현대적인 요소나
실생활과 연결된 소재의 부재
→ 공감 없는 기계적인 이해를 강요당함 →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현대소설 탐구 활동을 증진시키지 못함
* 국어과 교육과정 목표 (2007)
“국어 현상에 흥미를 가지고 탐구하는 태도를 갖춰서 국어 발전과 문화 창조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주목해서 볼 제재 선정의 문제점
① 다양성, ④ 흥미에 초점을 맞춘 논의 진행
→ 학생들의 흥미를 끄는 ‘최신’의 제재들이 필요함을 시사


최신 소설을 다루는 의의
문학 정전은 사후 논의를 통해 수정과 첨삭이 가능한 ‘텍스트’로서 존재
:전통의 소산만을 문학 정전으로 인정하지는 않음
→텍스트들의 평가와 해석에 있어서의 자의성에 대한 도전
교과서가 지녔던 편향에 대한 반성적 재구성


문학 정전은 사후 논의를 통해 수정과 첨삭이 가능한 ‘텍스트’로서 존재
:전통의 소산만을 문학 정전으로 인정하지는 않음
→텍스트들의 평가와 해석에 있어서의 자의성에 대한 도전
교과서가 지녔던 편향에 대한 반성적 재구성


몰입 독서 및 경험의 확장 가능성
일제강점기, 한국전쟁기, 산업화시대
학습자의 경험으로는 쉽게 장면을 떠올리거나 정서에 공감하지 못함
당시 사회 분위기나 특별한 배경 설명 없이 자신의 경험에 비춰 몰입 독서가 가능
경험의 지평이 간접적으로 확장되는 정도도 실제 삶과 유사한 최신작품을 통해 더 효과적일 가능성

문학교육의 기대효과는 즉각적인 반응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이후 사회인으로서도 문학을 향유하는 사람이 되기를 기대함
미래의 잠재적 교육 효과도 고려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