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도와 연해주의 독립운동 연구

 1  간도와 연해주의 독립운동 연구-1
 2  간도와 연해주의 독립운동 연구-2
 3  간도와 연해주의 독립운동 연구-3
 4  간도와 연해주의 독립운동 연구-4
 5  간도와 연해주의 독립운동 연구-5
 6  간도와 연해주의 독립운동 연구-6
 7  간도와 연해주의 독립운동 연구-7
 8  간도와 연해주의 독립운동 연구-8
 9  간도와 연해주의 독립운동 연구-9
 10  간도와 연해주의 독립운동 연구-10
 11  간도와 연해주의 독립운동 연구-11
 12  간도와 연해주의 독립운동 연구-12
 13  간도와 연해주의 독립운동 연구-13
 14  간도와 연해주의 독립운동 연구-14
 15  간도와 연해주의 독립운동 연구-15
 16  간도와 연해주의 독립운동 연구-16
 17  간도와 연해주의 독립운동 연구-17
 18  간도와 연해주의 독립운동 연구-18
 19  간도와 연해주의 독립운동 연구-19
 20  간도와 연해주의 독립운동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간도와 연해주의 독립운동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간도 이주의 배경
2. 서간도 독립운동기지
3. 북간도 독립운동기지
4. 연해주 이주의 배경
5. 이상설
6. 자유시참변
7. 고려인
8. 조선족
9. 참고자료
10. 설문지
본문내용
1. 간도 이주의 배경
간도(間島)는 백두산 북쪽의 만주 지역 일대로, 서간도(압록강,송화강의 상류지방인 백두산 일대)와 동간도(북간도-훈춘,왕청,연길,활룡현 등 포함 지역)로 구분된다. 주로 간도라 하면 우리가 흔히 '연변'이라고 부르는 중국 길림성 동쪽의 연변조선족자치주에 해당하는 지역인 북간도(동간도)를 가리킨다. 지형적으로 볼 때 간도는 남서쪽의 백두산을 주봉으로 장백산맥이 자리하고 남쪽으로는 두만강이 흐르고 있다.
러시아 연해주와 더불어 한민족의 고대 활동무대였던 간도는 조선조 말기에는 새로운 삶을 개척하기 위한 영세민들의 ‘신천지’였다. 나아가 대한제국 시대 일제 침략과 그를 이은 식민지 지배시기에는 국권 회복과 조국광복을 위한 민족해방투쟁의 중심무대가 된 곳이다. 특히 독립운동사에서 큰 줄기를 이루는 서북 간도를 중심으로 한 남․북 만주에서의 한민족해방투쟁사는 이 일대에 형성된 대규모 조선인 사회를 바탕으로 전개될 수 있었다.
만주는 역사적으로나 지리적으로 한국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지역이다. 그러나 청(淸)은 이 지역을 자기들의 조상이 성장한 신성지역이라 하여 금지구역으로 정하였다. 그리하여 1785년에는 봉금령(封禁令)을 내려 한족(韓族) 및 한족(漢族)의 이주를 금지시켰다. 1845년에 이르러 이 봉금령은 비록 표면상으로는 해제되었으나, 청은 사실상 1905년까지 이 지역으로의 이주를 금하였다. 그러나 이후 청조(淸朝)가 쇠퇴하면서 이 같은 금령은 실효를 거두지 못하였다.
한편, 조선에서는 왕조 후기의 삼정의 문란(三政紊亂)으로 관리들의 가렴주구(苛斂誅求)가 심해지자 이에 대항하는 농민들의 봉기가 전국 각지에서 일어났다. 더구나 설상가상으로 1869년~1871년간에 함경도와 평안도 지방을 비롯한 서북지역에 사상 유례가 없는 대흉년까지 들어 기민(飢民)과 아사자(餓死者)가 속출하였다. 이에 농민들의 이농(離農)현상이 심화되어 많은 유민(流民)이 생겨났고, 일부는 화전민(火田民)으로까지 전락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조선 후기의 봉건제 해체 과정에서 몰락한 농민들이 살길을 찾아 이주한 지역이 바로 만주 및 노령지역이었던 것이다.
그러한 때에 마침 중앙 관료인 조중헌(趙重憲)이 함경도에 부임하였다. 그는 지방관헌과 함경부민(咸鏡府民)의 월강(越江)문제에 대한 대책을 논의하던 끝에 그들로 하여금 인수개간원서(引水開墾願書)를 제출케 하고 만주지역으로 이주하는 것을 허용하였다. 그리고 이를 계기로 많은 사람들이 북간도로 이주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조선의 중앙정부와 청국(淸國)사이에 정식 외교적인 합의에 의하여 이루어진 조치는 아니었고, 다만 지방관이 중앙 관료와 논의하여 실시한 잠정적인 편법이었다.
참고문헌
권구훈,「일제의 통감부간도파출소 설치와 성격/한국독립운동사연구」,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제6집, 1992.
김주용, 「北間道의 3·13 항일독립운동과 비밀결사단체/황실학논총」, 한국황실학회, 제5호 , 2001.
김주용,「일제시기 朝鮮銀行의 간도 침투와 역할 : 1910~20년대를 중심으로/한국독립운동사연구」,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제23집, 2004.
양춘식, 「서간도 독립운동과 신흥무관학교」, 연세대 교육대학원, 2006
윤병석, 「한인(조선인)의 간도 이주 개척과 『간도개척사』」, 白山學報, 제79호, 2007.
윤병석, 『한국독립운동의역사 제16권 1910년대 국외항일운동 I - 만주․러시아』,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2009, 3-11면.
윤병석, 『한국독립운동의역사 제16권 1910년대 국외항일운동 I - 만주․러시아』,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2009, 72-98면.
윤병석, 『한국독립운동의역사 제16권 1910년대 국외항일운동 I - 만주․러시아』,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2009, 48-98면.
윤병석, 『한국독립운동의역사 제16권 1910년대 국외항일운동 I - 만주․러시아』,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2009, 101-106면.
채순희, 「헤이그 특사로 파견, 한국문제를 국제정치 문제로 제기하려 노력하다 이상설」,이달의 독립운동가, 2011.
최근갑,「북간도(연변) 조선인 항일독립운동의 원류 : 용정3.13반일운동과 그 기념사업/殉國」, 대한민국순국선열유족회, 통권190호, 2006
최홍빈「북간도독립운동기지 연구 : 한인사회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한국사연구」,한국사연구회, 111. 2000.
황민호, 홍선표. 『한국독립운동의역사 제22권 3·1운동 직후 무장투쟁과 외교활동』,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2008, 155-164면.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