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사회과교육과정의 발달

 1  [교육학] 사회과교육과정의 발달-1
 2  [교육학] 사회과교육과정의 발달-2
 3  [교육학] 사회과교육과정의 발달-3
 4  [교육학] 사회과교육과정의 발달-4
 5  [교육학] 사회과교육과정의 발달-5
 6  [교육학] 사회과교육과정의 발달-6
 7  [교육학] 사회과교육과정의 발달-7
 8  [교육학] 사회과교육과정의 발달-8
 9  [교육학] 사회과교육과정의 발달-9
 10  [교육학] 사회과교육과정의 발달-10
 11  [교육학] 사회과교육과정의 발달-11
 12  [교육학] 사회과교육과정의 발달-12
 13  [교육학] 사회과교육과정의 발달-13
 14  [교육학] 사회과교육과정의 발달-14
 15  [교육학] 사회과교육과정의 발달-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사회과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사회과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의 특징과 학습내용, 사회과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의 운영시간과 운영실제, 사회과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의 수행평가, 사회과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의 방향과 제언
  • [교육학] 사회과교육과정의 발달
  • 역사교육 과정과 교과서 분석
  •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수준별교육과정,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소집단학습과 모둠학습, 초등학교 사회과교육 지식탐구학습, 조사활동학습
  •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교과목표,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수준별교육과정,통일교육,경제교육,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교수학습방법
  • [민주주의 교육론] 교과서 분석과 재구성 -`법과 정치`를 중심으로
  • 사회과(사회수업,사회교육)개념,특징, 사회과(사회수업,사회교육)목표, 사회과(사회수업,사회교육)수업방향,학습내용, 사회과 교수기법,제고방향
  • 사회과 수준별교육과정(수업,학습)운영실제,지도방법, 사회과 수준별교육과정(수업,학습)학습자료,유의점, 사회과 수준별교육과정(수업,학습)내실화방안
  • [사회과][사회교육][사회수업]사회과(사회교육,사회수업)성격,목표,동향, 사회과(사회교육,사회수업)강조점,교수학습방법,개선방향
  • 초등학교 영어과 노래,국어과 부진아,수학과 이러닝,과학과 심화보충 지도자료(교육자료), 초등학교 사회과 수준별,에듀넷,우리들은 1학년 지도자료
  • 소개글
    [교육학] 사회과교육과정의 발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가. 교수 요목기(1946~1954) : 사회과의 성립
    나. 제1차 교육 과정기(교과 과정기, 1954~1963) : 사회과의 시작
    다. 제2차 교육 과정기(1963~1973) : 사회과의 정착
    라. 제3차 교육 과정기(1973~1981) : 사회 과학으로서의 사회과
    마. 제4차 교육 과정기(1981~1987) : 통합의 강화
    바. 제5차 교육 과정기(1987~1992) : 사회과의 성숙
    사. 제6차 교육 과정기(1992~1997) : 통합 사회과의 구축
    아. 제7차 교육 과정기(1997 ~ )
    1. 개정의 기본 방향
    2. 개정 중점
    3. 신․구 교육과정의 비교
    4. 성격
    5. 목표
    6. 교수․학습 방법
    본문내용

    가. 교수 요목기(1946~1954) : 사회과의 성립

    한국의 사회과는 1946년 미군정하에서 미국의 콜로라도 주의 Social studies를 초등학교 교수 요목에 도입함으로써 성립되었다. Social Studies를 ‘사회 생활’로 번역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는 공민, 지리, 역사, 실업을 총합한 교과로서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교양을 내용으로 하였다. ‘사회 생활과’ 교수 요목은 미국 콜로라도 주의 8년 과정을 6년으로 압축한 것으로 교육 목적은 ‘사람과 자연 환경과의 관계를 밝게 인식시켜 사회 생활에 성실 유능한 국민이 되게 함.’이었다.

    이 교수 요목에서는 사회 기능을 중심으로 선정된 주제를 바탕으로 동심원 확대 방법에 따라 내용을 구성하고, 방법으로는 문제 해결 학습을 지향하고 있어 생활 경험형 교육 과정에 접근하고 있다. 또, 지리, 역사, 공민, 직업 등의 여러 영역을 융합한 단원을 구성함으로써 통합 교과로서의 성격을 뚜렷이 하였고, 사회 생활과가 교과의 중심적 위치에 서게 하였다. 또한 이 시기의 사회과는 교과의 지식 체계를 중심으로 영역별 체계가 뚜렷하게 드러났으며, 각 영역별 내용은 사실적 지식을 중학생의 생활 경험에 맞추어 조직하였다. 중학교 교수 요목은 1,2,3학년에 걸쳐 공민, 역사, 지리 영역으로 나뉘어 조직되었으며, 목표도 공민, 역사, 지리로 나누어 진술되어, 이른바 ‘川’ 자형의 배열을 이루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