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교육과정] 사회과교육과정변천

 1  [사회과교육과정] 사회과교육과정변천-1
 2  [사회과교육과정] 사회과교육과정변천-2
 3  [사회과교육과정] 사회과교육과정변천-3
 4  [사회과교육과정] 사회과교육과정변천-4
 5  [사회과교육과정] 사회과교육과정변천-5
 6  [사회과교육과정] 사회과교육과정변천-6
 7  [사회과교육과정] 사회과교육과정변천-7
 8  [사회과교육과정] 사회과교육과정변천-8
 9  [사회과교육과정] 사회과교육과정변천-9
 10  [사회과교육과정] 사회과교육과정변천-10
 11  [사회과교육과정] 사회과교육과정변천-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중학교][중등][사회과교육][사회과]중학교(중등) 사회교육(사회과)의 교육과정변천과 목표, 중학교(중등) 사회교육(사회과)의 실태와 내용체계, 중학교(중등) 사회교육(사회과)의 교과서와 수준별학습, 중학교(중등) 사회교육(사회과)의 교육방법 분석
  • 사회과교육과정(사회교육과정)성격,특징, 사회과교육과정(사회교육과정)목표,편제, 사회과교육과정(사회교육과정)교과서, 사회과교육과정 교수학습방법
  •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교과목표,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수준별교육과정,통일교육,경제교육,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교수학습방법
  • [사회교육과정][사회과교육과정]사회교육과정(사회과교육과정)특징,목표,성격,변천, 사회교육과정(사회과교육과정)개정중점,내용선정,교수학습방법
  • 개정중점,개정내용, 사회과교육과정(사회교육과정)교수학습방법,제언 분석
  • [사회과교육과정] 사회과교육과정변천
  • [사회과 수준별교육과정]사회과 수준별교육과정(수업, 학습) 개념과 목표, 사회과 수준별교육과정(수업, 학습) 내용체계와 교수학습, 사회과 수준별교육과정(수업, 학습) 운영내용과 운영실제, 사회과 수준별교육과정(수업, 학습) 개선방향
  •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의 성립배경과 변천과정
  • [학문과신앙] 한국 교육제도 및 입시 문제점의 기독교적인 대안
  • [교과교육론] 사회과 교육
  • 소개글
    [사회과교육과정] 사회과교육과정변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수요목기(1946-1954)
    2. 제 1차 교육과정(1954-1963) : 교과중심 교육 과정기
    3. 제 2차 교육과정(1963-1973): 사회과의 정착기
    4 . 제 3차 교육과정(1973-1980): 사회과의 토착화 시기
    5. 제 4차 교육과정(1981-1987): 사회과의 성숙기
    6. 제 5차 교육과정(1987-1992): 사회과의 성숙기, 통합과 지역화의 강조
    7. 제 6차 교육과정(1992-1999): 사회과의 본질 구현기
    8. 제 7차 교육과정(2000- )
    - 제 7차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은 무엇인가? -
    -7차 교육과정을 통해 사회과는 학생들에게 무엇을 심어주고자 하는가?-
    -7차 교육과정 내용-
    본문내용


    1. 교수요목기(1946-1954)

    한국의 사회과는 1946년의 교수요목기에 성립되었다. 사회과는, 8. 15 해방 이후 미군정청이 1946년 12월 교수요목에서 사회생활과라는 교과목 설치하게 됨으로써 출발한다. 사회생활과는 미국의 social studies를 번역한 것으로 "공민, 지리, 역사, 직업을 종합하여 구성한 민주시민의 육성을 위한 교과"라는 뜻을 지닌다. 당시 편수관들이 공민, 지리, 역사의 분리원칙에 입각하여 편제를 논의하고 있을 때, 미국의 콜로라도 덴버시 출신 앤더슨 대위의 [통합교과]로 하자는 의견을 놓고 논의한 결과 덴버시의 안을 따르기로 원칙을 세우고 종합형으로 결정하게 되었다. 그때, social studies를 무엇이라고 번역할 것인가를 놓고 논의한 결과 사회연구, 사회공부, 사회생활의 명칭 중 사회생활로 낙찰되어 [사회생활]과가 성립되게 되었다. ‘사회생활과’ 교수요목은 미국 콜로라도 주의 8년 과정을 6년으로 압축한 것이었고, 교육 목적은 ‘사람과 자연 환경과의 관계를 밝게 인식시켜 사회생활에 성실 유능한 국민이 되게 함.’이었다. 이 교수요목 에서는 사회 기능을 중심으로 선정된 주제를 바탕으로 동심원 확대 방법에 따라 내용을 구성하고, 방법으로는 문제 해결 학습을 지향하고 있어 생활 경험형 교육 과정에 접근하고 있다. 또, 지리, 역사, 공민, 직업 등의 여러 영역을 융합한 단원을 구성함으로써 통합 교과로서의 성격을 뚜렷이 하였고, 사회생활과가 교과의 중핵적 위치에 서게 하였다. 교수요목기의 전반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교과는 분과주의 채택하여 체계적 지도, 지력배양에 중점, 교과지도내용을 상세히 표시하고 기초능력배양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애국애족의 교육을 강화하며 , 일제잔재를 정신면에서나 생활 면에서나 시급히 제거하는 데 노력하였음을 알 수 있다. 전제 교과 중 사회과 교과의 내용은 아동중심의 교육과정에 따라 성립되었으며, 교과내용은 동심원 구조로 이루어졌고, 문제해결 학습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리고 초․중등학교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