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사회] 순암 안정복 연구

 1  [조선후기사회] 순암 안정복 연구-1
 2  [조선후기사회] 순암 안정복 연구-2
 3  [조선후기사회] 순암 안정복 연구-3
 4  [조선후기사회] 순암 안정복 연구-4
 5  [조선후기사회] 순암 안정복 연구-5
 6  [조선후기사회] 순암 안정복 연구-6
 7  [조선후기사회] 순암 안정복 연구-7
 8  [조선후기사회] 순암 안정복 연구-8
 9  [조선후기사회] 순암 안정복 연구-9
 10  [조선후기사회] 순암 안정복 연구-10
 11  [조선후기사회] 순암 안정복 연구-11
 12  [조선후기사회] 순암 안정복 연구-12
 13  [조선후기사회] 순암 안정복 연구-13
 14  [조선후기사회] 순암 안정복 연구-14
 15  [조선후기사회] 순암 안정복 연구-15
 16  [조선후기사회] 순암 안정복 연구-16
 17  [조선후기사회] 순암 안정복 연구-17
 18  [조선후기사회] 순암 안정복 연구-18
 19  [조선후기사회] 순암 안정복 연구-19
 20  [조선후기사회] 순암 안정복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선후기사회] 순암 안정복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序

1. 조선후기 사회의 시대상황
2. 실학의 발생과 그 성격
1) 민본주의(民本主義)
2) 봉건적 신분제도에 대한 비판
3) 지주전호제의 비판
4) 상공업에 대한 적극적인 인식
5) 민족의식(民族意識)
Ⅱ. 本
1. 순암 안 정 복
1) 안정복의 생애
2) 순암의 학통
3) 안정복과 이익의 관계
4) 안정복의 서학에 대한 인식과 비판
5) 현실개혁적․자치적인 지방행정안의 제안
2. 안정복의 주요 저술
1) 동사강목
2) 동사강목 이전의 역사서
3) 순암선생의 주요 저술
Ⅲ. 決
안정복의 실학사상과 현대적 의의
본문내용
임진왜란을 거치고 이어 인조반정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조선사회는 반상의 신분질서가 크게 흔들리는 사회변혁을 거치기 시작했다.
양란의 결과, 농경지가 황폐화되었고 조정에서는 묵은 밭의 개간을 적극 장려했다. 이를 기회로 지배층의 대토지 소유가 가능했다. 따라서 대다수의 농민은 토지를 소유할 수 없게 되었다. 17세기말, 18세기 초에는 논농사의 파종법이 종래의 직파법에서 이앙법 대체됨에 따라 노동력을 줄이고, 이모작이 가능해져 벼의 수확량이 배가되었다. 이런 농업생산력의 발전에 기초하여 상품유통관계가 활발해졌다. 특히 대동법의 시행과 숙종4년부터 시작된 화폐의 유통은 상업을 부활시켰다. 상인들은 시장관계가 성숙되어 있지 않다는 사정을 이용하여 치부했고 상호간 경쟁이 치열해지자 수공업자를 예속함으로써 상인자본의 수공업 지배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화폐경제가 활성화되면서 일부 농민은 생산력의 발전과 상품화폐간의 관계를 적절히 이용하여 부농으로 성장해갔다. 또한 계속되는 재정난으로 시달리던 조정과 화폐의 부족에 허덕이던 양반계층은 납속면천(納粟免賤)과 납전면천(納錢免賤)을 제도적으로 장치했다. 이런 신분제 동요의 직접적 표현이 바로 가렴주구(苛斂誅求)와 수탈의 강화였다. 즉 신분제에 의한 강제와 억압이 무력해지자 봉건적 지배층은 경제적 수탈에 의하여 양인층과 노비층을 구속하려 했던 것이다. 이런 신분제의 동요는 양인층과 노비층의 사회의식에 일정한 변화를 초래했다. 즉, 그들은 이전까지 자명했던 봉건적 신분의 권위나, 그 권위에 바탕한 사회적 억압에 대하여 회의를 품게 되었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順菴先生文集, 順菴叢書, 東史綱目, 安鼎福(黃元九, 新丘文化社, 韓國의
人間像 4, 1965)
∙順菴安鼎福硏究序說(沈#우21俊․鄭#필27謨, 中央大學校人文學硏究 1, 1974).〈黃元九〉
∙安鼎福의 國史觀에 대한 一考察 (정태성, 경희대학교, 1973)
참고사항:학위논문(석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1973
∙安薡福의 史學思想 ; 東史綱目을 中心으로, (정구복, 한일문화교류기금, 1987)
참고사항 : 제2차 韓日合同學術會議
∙安薡福의 史觀과 上古史 認識에 관한 考察, (한영소, 1988)
∙安薡福의 歷史 認識, (변원림, 1976)
∙韓國儒學思想 論文選集(實學思想), (한우근, 1997)
∙韓國實學思想 論文選集(安薡福), (이원순, 1991)
∙順埯 安薡福 硏究 (임종대, 단국대학교 출판부,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