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와문학] 소설 `DMZ`와 영화`공동경비구역JSA` 비교연구

 1  [영화와문학] 소설 `DMZ`와 영화`공동경비구역JSA` 비교연구-1
 2  [영화와문학] 소설 `DMZ`와 영화`공동경비구역JSA` 비교연구-2
 3  [영화와문학] 소설 `DMZ`와 영화`공동경비구역JSA` 비교연구-3
 4  [영화와문학] 소설 `DMZ`와 영화`공동경비구역JSA` 비교연구-4
 5  [영화와문학] 소설 `DMZ`와 영화`공동경비구역JSA` 비교연구-5
 6  [영화와문학] 소설 `DMZ`와 영화`공동경비구역JSA` 비교연구-6
 7  [영화와문학] 소설 `DMZ`와 영화`공동경비구역JSA` 비교연구-7
 8  [영화와문학] 소설 `DMZ`와 영화`공동경비구역JSA` 비교연구-8
 9  [영화와문학] 소설 `DMZ`와 영화`공동경비구역JSA` 비교연구-9
 10  [영화와문학] 소설 `DMZ`와 영화`공동경비구역JSA` 비교연구-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영화와문학] 소설 `DMZ`와 영화`공동경비구역JSA` 비교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의 작품 소개
① 작가 소개
② 줄거리
③ 서사구조 분석

(2) 의 소개
① 감독 소개
② 줄거리

(3) 등장인물 소개

(4) 와 의 비교
① 작가와 감독의 의도 비교
② 주제 비교
③ 시점 비교
④ 구성
⑤ 등장인물
⑥ 내용

(5) 영화의 성공요인
① 외재적 요인
② 내재적 요인

(6) 영화화의 의의

(7) 소설장르가 영화장르로 탈바꿈하면서 갖는 한계

3.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리처드슨은 “영화는 겉으로 보기에 전례가 없는 예술처럼 보이지만, 사실 문학은 영화에 너무 많은 것을 기여했으며, 문학이야말로 가장 중요하고 으뜸가는 시각 예술이다.”라고 단언하였다. 로버트 리처드슨, 이형식 옮김, [영화와 문학], 동문선, 2000, 18쪽(Robert Richardon, Literature and Film, Indian University Press, 1969)
그러나 이제는 단순하게 문학을 고급적인 장르로, 영화를 저급한 장르로 치부하고 문학의 우위성만을 주장하고 있을 수는 없다. 오히려 소설과 영화가 모두 서사 양식에 속한다고 보고, 서사론적 방법으로 두 장르의 차별성과 영향 관계를 따져보면서 소설과 영화의 공존 가능성을 모색해보자.
그 일환으로 우리 조는 박찬욱 감독의 와 이 텍스트의 원작 소설인 박상연의 (믿음사, 1997)를 비교해 보려고 한다.

2. 본론
(1) 의 작품 소개
① 작가 소개
작가 박상연은 1972년에 서울에서 태어났다. 그는 중앙대 영어학과 졸업하였고, 대표작품으로는 가 있으며, 현재 하이틴 로맨틱 소설가로 활동을 하고 있다.

② 줄거리
박상연의 소설 는 크게 두 가지 이야기로 나누어져 있다. 하나는 판문점 북측 초소에서 일어난 살인 사건이고, 다른 하나는 사건 조사를 책임진 중립국감독위 소속의 장교가 간직한 가족사 이야기이다. 북쪽 가-1 초소에서 벌어진 남한 김수혁 상병에 의한 북한 병사 총기 난사 사건에 대해 작가는 수사책임자인 중립국감독위 베르사미 소령을 통해 추리기법으로 사건을 서술하는데, 이 인물은 단순한 화자가 아니라 이야기의 또 다른 한 축을 맡고 있다. 화자인 ‘나’는 스위스태생의 지그 베르사미 소령. 중립국 감독위원회에 파견되어 판문점에서 근무한다. 에스또네가 또 다른 이름인 그는 스위스에서 태어나 그 나라가 국적이지만 브라질에서 성장하여 교육을 받고 그곳 여성과 결혼했다. 제 3의, 거의 불려지지 않는, 아버지가 처음으로 붙여준 이름이 이강민이다. 그가 이처럼 세 개의 이름을 가진 것은 한국인 아버지 탓이다. 아버지 이연우는 남로당 출신으로서 철저한 빨갱이였고, 남로당의 일원으로 월북하여 한국전쟁 때 인민군 소좌로 참전하고 낙동강 전투에서 포로가 된다. 거제도포로수용소에서 맹렬한 공산 포로의 선두에 섰던 그는 어처구니없게 반공 포로였던 동생을 조건 반사처럼 죽이고 만다. 그 후 동생을 죽인 죄책감과, 전후 북한에서 행해진 박헌영을 비롯한 남로당 숙청에 따른 불안감으로 제3국 인도를 거쳐 브라질에 살다가 브라질 주재 스위스 여기자를 만나 결혼하게 되고 그 사이에서 주인공인 베르사미 소령이 태어나게 된다. 하지만 가족의 행복은 오래가지 못한 체 아버지에게 심하게 혼나가며 강제적으로 한국말을 배워야했고, 술만 먹으면 자신과 어머니에게 행하는 아버지의 폭력으로 아버지에 대한 증오와 더불어 아버지의 애증의 상대인 아버지가 태어난 나라 조선에 대한 반감을 쌓으며 살아온다. 그 후 어머니의 고향 스위스로 돌아가 대학을 마치고 스위스 군에 들어가게
참고문헌
조정래 , 다매체 시대의 문학2 : 소설과 영화의 서사론적 비교연구 -소설 와 영화 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연구학회 , 2002.
http://www.cyberjsa.com/mistery/html1.html
http://kctpi.re.kr/magazine01-frame.htm?num=1191
http://www.joycine.com/myschool/m_search/view_article.asp?id=9377
http://www.donga.com/docs/magazine/new_donga/200011/nd2000110520.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