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성과 실천성(배려윤리)

 1  도덕성과 실천성(배려윤리)-1
 2  도덕성과 실천성(배려윤리)-2
 3  도덕성과 실천성(배려윤리)-3
 4  도덕성과 실천성(배려윤리)-4
 5  도덕성과 실천성(배려윤리)-5
 6  도덕성과 실천성(배려윤리)-6
 7  도덕성과 실천성(배려윤리)-7
 8  도덕성과 실천성(배려윤리)-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도덕성과 실천성(배려윤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도덕성과 실천성

Ⅰ. 서론 1.문제제기
Ⅱ. 본론
1. 사례
EBS 다큐프라임 아이의 사생활 도덕성
①사회적 표정 실험 ②사진 찢기 실험
2. 배려윤리
①배려윤리의 의미와 특징
②배려윤리의 맥락성
③자연적 배려와 윤리적 배려의 구분
④정의 윤리와 배려 윤리 비교
Ⅲ. 결론 1. 배려윤리 교육
Ⅰ. 서론
1. 문제제기
사회는 여전히 범죄와 비도덕적인 인간의 행위가 끊이지 않고 일어나고 있다. 도덕교육을 행하고 있는 학교 내에서도 폭력, 왕따, 도난과 같은 비도덕적인 행위들을 차단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교과서 내에서 도덕적인 교훈과 이론들을 가르치고 있지만, 도덕은 전혀 예측하지 않은 상황에서 온다. 여기에서 나는 실천성과 결여된 도덕교육을 배려 윤리학자들의 입장에서 비판해보고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해 보려 한다.
전통윤리학은 일반적인 도덕적 원리나 규칙에 기초한 행위를 도덕발달의 완성으로 본다. 이에 배려윤리학은 전통윤리학이 지나치게 추상성과 보편성만을 강조함으로써 도덕적 판단이 요구되는 구체적 상황이나 행위자의 특수성을 등한시한다는 점에 대해서 비판하고 있다.
EBS와 서울대에서 공동연구한 도덕성의 요소와 관련된 그림을 살펴보자.

위의 그림에서도 알 수 있듯이 도덕성의 요소들은 생각과 행동이 일치 될 때에만 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배려윤리학자들은 전통윤리학에서 강조한 도덕적 원리나 규칙에 의거한 도덕 판단은 도덕적 행동과의 상관관계가 낮다고 보고 연결과 관계의 중요성을 통해 실천의 교육방법을 중요하게 여겼다. 또한 이성과 감정을 분리하여 이성을 더욱 중시하였던 전통윤리학과 달리, 배려윤리는 감정이나 정서를 이성과 함께 도덕성의 요소로 인식하고, 감정과 정서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내가 배려윤리학을 살펴보고자 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요즘 감정지수라는 말이 교육적 용어로 주목받고 있는데, 아무리 여러 해에 걸쳐 도덕적 상황과 이론에 대해서 이야기해주고 "이런 상황에서는 이런 행동이 옳은 거야."라는 식의 교육을 한다해도 이성적으로 생각만 할 뿐 상대방을 진심으로 이해하고 공감하면서 실천하는 능력을 길러내는 교육은 되지 못한다. 하지만 감정지수가 부족한 아이들에게 배려윤리학은 이타적 감정을 도덕성의 중요한 요인으로 보기 때문에 배려를 통해 공감 능력도 길러낼 수 있는 이론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배려윤리를 주장하는 현대 페미니스트들 중에서 특히 노딩스의 입장을 중심으로 배려 교육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Ⅱ. 본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