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과학 한국 근대 역사학의 성립

 1  인문과학 한국 근대 역사학의 성립-1
 2  인문과학 한국 근대 역사학의 성립-2
 3  인문과학 한국 근대 역사학의 성립-3
 4  인문과학 한국 근대 역사학의 성립-4
 5  인문과학 한국 근대 역사학의 성립-5
 6  인문과학 한국 근대 역사학의 성립-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과학 한국 근대 역사학의 성립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국 근대 역사학의 성립
- 목 차 -
I. 식민지 시기 한국 역사학의 의의 및 발달과정
II. 한말의 역사학
III. 민족주의사학
IV. 사회경제사학
V. 조선학 운동
VI. 신민족주의 사학
I. 식민지 시기 한국 역사학의 의의 및 발달과정 이 장의 내용을 서술하기 위해서 다음의 논문을 참조하였다. 강만길, 「일제시대의 반식민자학론」, 『한국사학사의 연구』, 을유문화사, 1985.
의의
① 연구 및 서술 방법에 있어서 근대사학적 방법을 발전시킴.
② 식민사학의 침략주의 史論에 적극적으로 반대했음.
※ 반식민사학론의 확립이야말로 식민지 시기의 우리 역사학이 당면한 가장 중요한 과제였던 것이며, 그것을 확립해 나가는 과정이 곧 우리 근대사학의 발달과정이었다.
식민지 시기 우리 역사학의 발달과정
① 민족주의사학 : 애국계몽운동기에 태동한 근대사학을 계승하여 사대주의적 역사관, 충군 애국주의적 역사관을 극복하는 한편 식민사학론이 만들어 놓은 이른바 ‘일선동조론’이나 ‘만선사관’ 및 고대 사회에서의 조선반도 식민지론 등에 대항하는 사론을 적극적으로 세웠음. ② 사회경제사학 : 식민사학이 강조한 ‘정체후진성론’, ‘조선특수사관’등을 극복하고 민족사의 세계사적 발전론을 제시하였음.
③ 신민족주의사학 : 식민지 시기의 말기에 식민 지배의 종언과 민족사의 새로운 전개를 전망하면서 민족주의사학과 사회경제사학의 발전적상승적 합치를 기도하면서 태동된 사론으로 생각됨.
II. 韓末의 역사학 이 장의 내용을 서술하기 위해서 다음의 논문을 참조하였다. 이만열, 「민족사학」, 『한국사22-민족운동의 전개』, 국사편찬위원회, 1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