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사』 「악지」에 대하여 - 속악정재에 실린 작품을 중심으로

 1  『고려사』 「악지」에 대하여 - 속악정재에 실린 작품을 중심으로-1
 2  『고려사』 「악지」에 대하여 - 속악정재에 실린 작품을 중심으로-2
 3  『고려사』 「악지」에 대하여 - 속악정재에 실린 작품을 중심으로-3
 4  『고려사』 「악지」에 대하여 - 속악정재에 실린 작품을 중심으로-4
 5  『고려사』 「악지」에 대하여 - 속악정재에 실린 작품을 중심으로-5
 6  『고려사』 「악지」에 대하여 - 속악정재에 실린 작품을 중심으로-6
 7  『고려사』 「악지」에 대하여 - 속악정재에 실린 작품을 중심으로-7
 8  『고려사』 「악지」에 대하여 - 속악정재에 실린 작품을 중심으로-8
 9  『고려사』 「악지」에 대하여 - 속악정재에 실린 작품을 중심으로-9
 10  『고려사』 「악지」에 대하여 - 속악정재에 실린 작품을 중심으로-10
 11  『고려사』 「악지」에 대하여 - 속악정재에 실린 작품을 중심으로-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려사』 「악지」에 대하여 - 속악정재에 실린 작품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고려사』 「악지」에 대하여
속악정재에 실린 작품을 중심으로
< 목 차 >
Ⅰ 서론
Ⅱ 본론
1. 『고려사』 「악지」의 구성
1.1. 『고려사』의 구성
1.2. 『고려사』 「악지」의 구성
2. 『고려사』 「악지」의 내용
2.1 아악과 당악의 기술구조와 내용
2.2 속악정재의 기술구조와 작품
Ⅲ 결론
Ⅰ 서론
『고려사』 「악지」란 고려시대의 역사를 기술한 『고려사』 가운데 권70과 권71에 수록된 음악에 관한 기록을 말한다. 『고려사』는 1392년(태종 1)에 고려국사 편찬을 시작으로 여러 번의 개찬을 거쳐 1451년(문종 1)에 완성되었는데, 『고려사』 「악지」는 그 가운데 ‘지(志)’의 24, 25권에 해당한다. 지 권24와 권25에는 각각 아악(雅樂)과 당악(唐樂)·속악(俗樂)에 대한 내용이 실려 있으며, 삼국시대를 비롯하여 고려시대의 음악과 무용을 이해하는 데 귀중한 문헌이다. 본고에서는 『고려사』 「악지」의 구성, 특징 및 내용에 대해 알아보고 두 권 가운데 권25의 속악의 작품에 초점을 맞추어 그 내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고려사』 「악지」의 구성
1.1. 『고려사』의 구성
1451년(문종 1)에 완성된 『고려사』는 목록 2권을 포함해 세가(世家) 46권, 지(志) 39권, 표(表) 2권, 열전(列傳) 50권 등 139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려사』는 「세가」 다음에 「지」를 두었는데, 「지」는 천문(天文), 역(曆), 오행(五行), 지리(地理), 예(禮), 악(樂), 여복(輿腹), 선거(選擧), 백관(百官), 식화(食貨), 병(兵), 형법(刑法) 등의 순서로 기술된 십이지(十二志) 39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는 『원사(元史)』의 분류와 서술체계를 따르고 있는데, 각지의 맨 앞에는 편집자의 총서(總序)가 실려 있다. 이 서는 대개 일반론과 실제 사실에 대한 개설적인 설명으로 되어 있는데, 짧은 글로 고려의 제반제도에 대한 편찬자의 명확한 비판적 인식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에 고려의 제도를 이해하는 기준이 되어 왔다. 이 글들은 하나같이 고려 초기의 치적들을 찬양하는 한편, 후대로 갈수록 이러한 제도가 문란해져 갔음을 지적했다. 편찬자들은 고려의 멸망을 거기서 찾았고 그 시발점을 대체로 무신정권의 등장으로 보았다.
1.2. 『고려사』 「악지」의 구성
『고려사』 의 여섯 번째 「지」로 속칭 「악지」로 불리는 「악」은 제 70권, 71권, 「지」 제24, 25권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한서(漢書)』, 『당서(唐書)』, 『원사(元史)』처럼 예(禮)와 악(樂)을 묶어서 「예악지(禮樂志)」로 하지 않고, 둘을 분리하여 다룸으로써 『송사(宋史)』의 체제를 따르고 있다. 「지」 전반은 『원사(元史)』의 체계를 따르면서도 「악지」만 이렇게 처리한 것은 음악의 중요성을 크게 인식했을 뿐 아니라, 비록 편찬자는 미상이나 고려 음악의 높은 수준을 특별하게 평가한 편찬자의 안목이 작용한 데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악지」의 제일 앞에 붙어 있는 총서를 보면 세 가지의 관점이 드러나 있다. 첫째, “음악은 풍속과 교화를 세우고 공훈과 덕택을 표현하는 것”이라고 했는데 이는 유가의 교화적 음악관을 그대로 표방한 것이다. 또 다른 하나는 공덕을 드러낸다고 하여 군왕을 송찬한 음악을 주로 다룸을 드러냈다. 둘째, 「악지」가 국가의 음악을 다룬 글이며, 그 가운데에서도 아악(雅樂)을 중시한다는 점을 드러내었다. 셋째, 아악을 중시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의 음악으로 아악뿐만 아니라 당악(唐樂), 속악(俗樂)도 사용되었기 때문에 그것들도 함께 다룬다는 관점을 밝힌 것이다. 결국 총서를 통해서 『고려사』 「악지」가 왕화와 풍속에 대한 찬미와 규계를 내용으로 한 국가의 음악을 취급하고자 한 책이라는 것을 천명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실려 있는 내용과 작품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 권24의 악1(樂一)에는 아악(雅樂), 지 권25의 악2(樂二)에는 당악(唐樂), 속악(俗樂), 삼국속악(三國俗樂), 용속악절도(用俗樂節度) 등에 대한 내용이 실려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제71권 악2에는 당악(唐樂)과 속악(俗樂)에 쓰이는 악공, 악기, 곡명, 연주 절차, 곡에 대한 유래와 가사 등을 수록하였고, 신라백제고구려 등 삼국의 속악에 대한 곡명과 유래를 설명하였다. 속악조에 곡의 유래가 실려 있는 신라의 가요로는 등이 있고, 백제의 가요로는 등이 있으며, 고구려의 가요로는 등이 있다. 당악조 첫머리에 있는 곡파(曲破)만(慢) 등 7종은 대곡(大曲)이자 형태상으로는 가무희(歌舞戱)들이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