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정치] 주일미군과 동북아안보

 1  [국제정치] 주일미군과 동북아안보-1
 2  [국제정치] 주일미군과 동북아안보-2
 3  [국제정치] 주일미군과 동북아안보-3
 4  [국제정치] 주일미군과 동북아안보-4
 5  [국제정치] 주일미군과 동북아안보-5
 6  [국제정치] 주일미군과 동북아안보-6
 7  [국제정치] 주일미군과 동북아안보-7
 8  [국제정치] 주일미군과 동북아안보-8
 9  [국제정치] 주일미군과 동북아안보-9
 10  [국제정치] 주일미군과 동북아안보-10
 11  [국제정치] 주일미군과 동북아안보-11
 12  [국제정치] 주일미군과 동북아안보-12
 13  [국제정치] 주일미군과 동북아안보-13
 14  [국제정치] 주일미군과 동북아안보-14
 15  [국제정치] 주일미군과 동북아안보-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동아시아평화의 의미, 동아시아평화의 인권사상, 동아시아평화의 경제협력, 동아시아평화의 미일패권주의, 동아시아평화의 한미상호방위조약(한국과 미국의 상호방위조약), 동아시아평화의 쟁점, 향후 동아시아평화
  • [미국일본 안보][미일안보][미국일본 안보(미일안보) 변화][주일미군]미국일본 안보(미일안보)의 변화, 미국일본 안보(미일안보)의 정책기조, 미국일본 안보(미일안보)의 입장, 미국일본 안보(미일안보)와 주일미군
  • 한반도 평화 정책을 위한 과제
  • 21세기 바람직한 한미동맹의 방향 - 동맹이론과 한미동맹의 문제점, 자주국방의 허와 실
  • [국제관계] 한, 미 관계 주요 현안-전시작전통제권에대한 논쟁
  • [일본안보정책][평화유지활동]일본안보정책과 평화유지활동, 일본안보정책과 주일미군재편, 일본안보정책과 동북아비핵지대, 일본안보정책과 집단자위권, 일본안보정책과 미일동맹, 일본안보정책과 미일안보조약
  • 동북아(동북아시아) 공동체형성, 동북아(동북아시아) 정세, 동북아(동북아시아) 환경, 동북아(동북아시아) 지역협력, 동북아(동북아시아) 국제교류, 동북아(동북아시아) 갈등, 동북아(동북아시아) 허브국가 분석
  • [정치학] 전시작전통제권의 찬·반 논의
  • [미일동맹]미일동맹체제의 증강, 미일동맹체제와 미일신방위협력, 미일동맹체제와 미일신안보선언, 미일동맹체제와 미일자본협업, 미일동맹체제와 핵전쟁동원체제, 한미일대북공조관계의 사례, 한미일군사동맹과 한반도의 평화통일 분석
  • ■조지 W.부시 정부의 신군사전략과 동북아 안보정책
  • 소개글
    [국제정치] 주일미군과 동북아안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동북아 안보질서에 대한 개관

    2. 주일미군의 역사적 전개
    1) 초기 주일미군의 규모
    2) 주일미군의 점령 정책
    3) 미・일 안보조약
    4) 미・일 방위협력지침(구 가이드라인)
    5) 미・일 안보 공동 선언
    6) 미・일 신방위협력지침 (신 가이드라인)

    3. 탈냉전시기의 주일미군
    1) 탈냉전시기에 주일미군이 가진 전략적 가치

    4. 주일 미군과 동북아 관계
    1) 주일 미군과 미국
    2) 주일미군과 한국
    3) 주일미군과 중국
    4) 주일미군과 러시아

    5. 마치며
    본문내용
    1. 들어가며-동북아 안보질서에 대한 개관
    시대의 흐름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제정치의 패권을 가능하게 해주는 원동력은 아직도 경제력과 군사력이다. 이러한 두 힘과 관련해서 월등한 능력을 갖고 있는 것은 미국이다. 미국 경제는 세계경제에서 3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군사력의 경우에는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의 최첨단 무기체계와 막대한 군사비의 지원을 받고 있다. 이러한 미국의 경제력, 과학기술력, 군사력의 압도적 우위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고 이는 미국의 패권적 지위를 계속적으로 보장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미국의 월등한 경제력과 군사력은 정치, 경제, 지리학적으로 중요한 전략적 위치를 가진 동북아에 있어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미국의 동북아질서 주도에 맞설 수 있는 도전국으로서 현재 미국과 경쟁할 수 있는 국가는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동안 미국 동아시아전략의 핵심적 기둥으로 기능해 온 것은 한・미 동맹과 미・일 동맹이었다. 미국은 이러한 두 개의 양자관계를 연결시켜 한・미・일 3각 공조체제를 구축해 대북 또는 대중전략의 핵심으로 활용해왔다. 그러나 한국을 둘러싼 최근의 안보환경 변화는 기존의 안보 틀에 미묘한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한국은 아직도 한・미동맹을 최우선의 안보전략으로 간주하고 있지만 대북인식과 정책에서 미국과 조금씩 차이가 나타나기도 한다. 그 결과 대북억제를 주목표로 하고 있는 현행의 한・미 안보관계의 성격변화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조심스럽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 보도되고 있는 주한미군의 지역군으로의 역할변경 논의도 이와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번 발표에서 중점적으로 살펴보려고 하는 일본은 미국의 동북아 패권을 적극 지지, 지원하고 있다. 이를 확실하게 보여주는 것이 바로 미・일 방위조약이다. 이 동맹조약에 의거하여 미국은 약 5만 정도의 군대를 일본에 주둔시키고 있으며, 일본 측은 주일 미군의 유지에 필요한 비용의 절반 정도인 연 수십 억 달러를 미국 측에 제공한다. 이 동맹은 일본에 대한 소련의 잠재적 위협에 대처하기 위하여 한국전쟁 중인 1951년에 창설되었다. 이후 일본은 냉전 시에는 미국의 대소 봉쇄정책에 협력함으로써, 탈냉전기에는 대중 관리정책에 협조함으로써 미국의 패권을 후방에서 지원하고 있다. 또한 일본은 미국의 신뢰받는 동맹국으로서 주요한 지역안보 이슈에 미국과 함께 개입하고 있다. 특히 1997년 개정된 미・일 방위협력지침(신 가이드라인)에 의해 일본 주변의 유사사태, 예컨대 한반도 및 대만해협 유사시 미국을 후방 지원한다는 명분으로 개입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되었다.
    이상에서 봤을 때, 미국의 동북아질서 주도는 현실이며, 그 현실의 확실성을 더 강화시켜 주고 있는 것으로 첫째, 전략적 파트너 또는 동맹국으로서 일본의 역할이 있고, 둘째, 여타의 지역대국인 중국과 러시아가 현재로서는 미 패권에 철저하게 저항, 도전할 능력과 의지를 갖고 있지 않다는 현실적 상황이 있다. 그 결과 지역안보의 중요한 현안에서 미국의 리더십 발휘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김일영・조성렬, 주한미군 역사・쟁점・전망, 한울아카데미, 2003
    한국전략문제연구소, 동북아 전략균형 2002, 2002
    김경민, 일본인도 모르는 일본, 자유포럼, 1998
    손종국 외, 동북아론, 학문사, 1997
    한계옥, 일본・일본군 어디로 가려는가, 돌베개, 1994
    김용서 외, 일본정치론, 박영사, 1981
    에바타 켄스케(역 정동윤, 김주환), 일본의 군사 시스템
    조성렬, 21세기 일본의 외교안보전략: 총리자문 “21세기 일본의 구상” 간담회의 외교안보 구상평가, 국제문제 5월호, 2000
    조성렬, 주한미군의 지위와 역할: 과거, 현재, 미래, 1999
    주일미군과 미・일 안보체제의 강화, 군사논단 제 18호, 1999
    윤덕민, 미・일 신안보체제와 동북아 질서, 정책연구 시리즈 97-11, 외교안보연구원, 1998
    김태효, 일본 소극안보정책의 기원, 한국정치학회보 31집 4호, 1997
    서동만, 오키나와 미군기지 문제와 일본 국내정치, 주요국제문제 분석, 1997
    남창희, 탈냉전기 주일미군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정치학회지 30집 3호, 1996
    안병만, 미・일 안보협력관계의 발전과 한국안보에 미치는 영향, 국토통일원, 1977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