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비어천가 연구

 1  용비어천가 연구-1
 2  용비어천가 연구-2
 3  용비어천가 연구-3
 4  용비어천가 연구-4
 5  용비어천가 연구-5
 6  용비어천가 연구-6
 7  용비어천가 연구-7
 8  용비어천가 연구-8
 9  용비어천가 연구-9
 10  용비어천가 연구-10
 11  용비어천가 연구-11
 12  용비어천가 연구-12
 13  용비어천가 연구-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용비어천가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연구
목차
Ⅰ. 서론
Ⅱ. 「용비어천가」가 창작된 배경
Ⅲ. 「용비어천가」 구조와 내용
Ⅳ. 「용비어천가」에 드러나는 사상
Ⅴ. 결론
Ⅰ. 서론
「용비어천가」는 조선 초 집현전의 학자들이 세종의 명으로 훈민정음을 반포하기 한 해 전인 1445년에 지어졌다. 훈민정음을 반포하기 전 그 실용성을 시험 삼아 사용하여 지은 것으로, 조선 건국 시조들의 활약상과 조선 왕조의 창건을 기린 樂章이다.
내용 분석음악적 분석·사상적 분석 등 「용비어천가」의 선행 연구는 여러 방면에서 이루어졌다. 본고에서는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용비어천가」를 연구하고자 한다. 먼저 「용비어천가」가 창작된 시대적 배경을 살펴본 후, 「용비어천가」의 내용과 구성을 분석하고, 「용비어천가」에 담긴 사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Ⅱ. 「용비어천가」가 창작된 배경
‘용비어천가’의 ‘龍飛’는 용이 난다는 뜻으로, 이는 영웅이 용덕으로 뜻을 얻어 왕위에 오름을 나타낸다. ‘御天’은 ‘하늘의 바른 길로 나아간다’라는 뜻으로, 일마다 천도와 천명에 맞도록 한다는 의미가 있다. 따라서 ‘용비어천가’는 ‘용이 날아서 하늘의 바른 길로 나아간다는 뜻’이 되고, 용이 날아 왕위에 오르는 것처럼 왕은 하늘을 본받아 백성을 바른 길로 이끈다는 목적이 「용비어천가」에 있음을 알 수 있다. 김세종, 「세종대 「용비어천가」의 창제배경과 음악화 과정 연구」, 『고시가연구』 제24집, 한국고시가문학회, 2009, 4쪽
조선이 건국되기 전 고려 말에는 元의 쇠퇴와 신흥사대부의 등장으로, 기존의 지배 세력이었던 권문세족들의 지위가 동요하던 시기였다. 신흥사대부는 고려 말에 도입된 성리학으로 이념을 무장하여 불교에 기반을 둔 권문세족과 경쟁하며 새로운 지배 세력으로 등장한다.
당시 고려는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 승려 신돈으로 인해 국내가 혼란스러웠다. 고려의 이러한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신흥사대부는 온건파와 급진파 두 노선으로 나뉜다. 정몽주 등 온건파는 고려 왕조를 지속시키면서 혼란스러운 국정을 해결하고자 하고, 정도전과 같은 급진파는 고려를 무너뜨리고 새로운 왕조를 창건할 것을 주장했다. 정도전과 급진파는 정몽주를 피살함으로써 온건파를 누른 후, 위화도 회군으로 권력의 핵심이 된 이성계와 손을 잡는다. 그 후 정도전과 급진파는 고려를 멸망시키고 조선을 건국하여 이성계를 왕으로 추대한다.
역성혁명으로 건국된 조선은 정국이 불안했고, 건국의 정당성을 인정받기 어려웠다. 당시 조선의 건국에 동참한 지식인들도 있었지만, 고려에 대한 충정 등을 이유로 새로 건국된 조선에 등을 돌린 지식인들도 많았다. 고려의 유신들과 백성들은 새로운 왕조에 충성할 마음이 없었고, 집권층은 공신 세력의 분열왕실 내부의 갈등으로 혼란스러웠다. 또, 개국 공신이었던 정도전이 왕자의 난 때 살해당한다. 이러한 정국 불안과 집권 세력의 혼란으로, 태종의 시대에는 집권 세력의 단결과 반대 세력의 포용 여부민심을 안정시키는 것이 정치적인 과제로 대두된다. 박병련 외 4인, 『용비어천가와 세종의 국가 경영』, 한국학중앙연구원, 38쪽
세종은 태종 대의 정치적 과제를 이어받아 을 편찬하고, 장영실로 하여금 측우기를 만들게 하는 등 농업과 관련한 정책을 펴 민심을 안정시키고자 했으며, 나아가 왕조의 기반을 심화시키고자 했다. 세종이 「용비어천가」를 편찬하게 된 의도도 민심 안정과 집권 세력의 안정 등을 통한 왕조의 기반 확대에 있었다.
세종은 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경상도와 전라도 관찰사에게 명을 내려 태조 이성계가 왜구를 대파한 것과 관련한 내력을 그 지역 노인들을 중심으로 파악하여 보고하라 했다. 세종은 고려가 혼란했던 원인을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으로 보았고, 이러한 때에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을 물리친 태조 이성계의 행적을 높이 평가했다. 따라서 세종은 「용비어천가」에 이러한 이성계의 업적을 반영함으로써, 조선 왕실의 활약이 고려 왕조의 말기부터 시작되었음을 보여주고, 이러한 행적이 조선 건국으로 연결되는 역사적인 필연임을 드러내고자 했다. 정두희, 「《龍飛御天歌》의 編纂과 《高麗史》」, 『진단학보』 Vol.- No.67, 진단학회, 1989, 5쪽
이를 위해 경상도·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태조가 왜구를 격파한 내력을 조사한 것이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