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선설과 성악설에 대한 이해와 현실적 의미

 1  성선설과 성악설에 대한 이해와 현실적 의미-1
 2  성선설과 성악설에 대한 이해와 현실적 의미-2
 3  성선설과 성악설에 대한 이해와 현실적 의미-3
 4  성선설과 성악설에 대한 이해와 현실적 의미-4
 5  성선설과 성악설에 대한 이해와 현실적 의미-5
 6  성선설과 성악설에 대한 이해와 현실적 의미-6
 7  성선설과 성악설에 대한 이해와 현실적 의미-7
 8  성선설과 성악설에 대한 이해와 현실적 의미-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성선설과 성악설에 대한 이해와 현실적 의미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성선설과 성악설에 대한
이해와 현실적 의미
1. 성선설의 논리 구조와 의미
성선설은 인간의 본질을 도덕적인 존재로 파악하는 이론으로, 전국 시대 맹자(孟子: 372289.B.C.)에 의해 주장되었다. 맹자는 인간의 본성을 자연적인 본능 부분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맹자는 인간이 동물과 구별되는 미세한 차이를 인의예지(仁義禮智)의 도덕성으로 생각하였다. 맹자는 이 인의예지의 도덕성이 동물에게는 없고, 오직 인간에게만 있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맹자가 말했다. “인간은 모두 남에게 차마하지 못하는 마음이 있다. 선왕이 남에게 차마하지 못하는 마음이 있어서 남에게 차마하지 못하는 정치가 있었다. 남에게 차마하지 못하는 마음으로 남에게 차마하지 못하는 정치를 하면 세상 다스리는 것이 손바닥 위에서 움직이는 것처럼 쉽다. 따라서 남에게 차마하지 못하는 마음이 있다고 말하는 것은 이제 사람들이 갑자기 어린 아이가 우물에 빠지려는 것을 보고 모두 깜짝 놀라 측은하게 여기는 마음이 있게 되는 것이니, 이러한 것은 어린 아이의 부모와 교분을 맺으려는 것이 아니고 고을의 친구들에게 명예를 구하려는 것도 아니며 비난하는 소리를 듣기 싫어해서 그렇게 하는 것도 아니다. 이것으로 말미암아 살펴본다면 측은하게 여기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고, 잘못을 부끄러워하고 미워하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며, 사양하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고,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다.”
※ 인의예지(仁義禮智)
인(仁) : 측은하게 여기는 마음을 인(仁)의 단서로 여김
의(義) : 잘못을 부끄러워하고 미워하는 마음
예(禮) : 사양하는 마음
지(智) :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마음
맹자는 우선 이 사단을 도덕성의 실마리 즉 가능성으로 여기기에, 인간은 항상 자신에게 갖추어진 이 사단을 확충하여 자신이 살고 있는 사회를 밝게 해야 할 것으로 생각했다.
♠ 맹자의 성선설 논리 구조
⑴ 사단 확충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