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어학 말 달리기만 하는 동물인가

 1  인문어학 말 달리기만 하는 동물인가-1
 2  인문어학 말 달리기만 하는 동물인가-2
 3  인문어학 말 달리기만 하는 동물인가-3
 4  인문어학 말 달리기만 하는 동물인가-4
 5  인문어학 말 달리기만 하는 동물인가-5
 6  인문어학 말 달리기만 하는 동물인가-6
 7  인문어학 말 달리기만 하는 동물인가-7
 8  인문어학 말 달리기만 하는 동물인가-8
 9  인문어학 말 달리기만 하는 동물인가-9
 10  인문어학 말 달리기만 하는 동물인가-10
 11  인문어학 말 달리기만 하는 동물인가-11
 12  인문어학 말 달리기만 하는 동물인가-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어학 말 달리기만 하는 동물인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말, 달리기만 하는 동물인가.
< 목차 >
1. 시작하며
2. 말의 의미
3. 말의 존재 - 상징성
(1) 영험적 존재
(2) 신적 존재
(3) 충의로운 존재
(4) 제의적인 존재
(5) 영혼의 운반자
(6) 위업의 성취나 출세를 돕는 말
(7) 그 외의 상징
4. 말꿈 - 그 吉兆의 의미를 찾아
5. 발표를 준비하면서 깨달은 말의 가치에 대한 특이한 점
6. 마치며
1. 시작하며
회계사인 남자와 외국인 회사에 다니는 여자인 30세의 한 부부는 결혼 3년째로 올해 아이를 가져 내년에 출산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혹시 여자 아이가 태어나면 말띠가 돼 좋지 않다는 부모님들의 말씀도 있고 굳이 나쁘다는 일을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해 임신을 1년 뒤로 미뤘다.”고 말한다. 또한 제왕절개까지 하면서 말띠 여아를 피하려는 어처구니 없는 일까지 벌어지고 있다. 실제로 서울 강남의 모 종합병원 산부인과에는 이달 들어 10일까지 열흘간 제왕절개 수술이 총 40건으로, 11월 한달간 제왕절개 건수 89건의 절반의 수준에 육박하는 증가세를 보였다. 말띠 여아 기피 풍조는 통계상으로도 나타나 통계청에 따르면 말띠해였던 지난 90년 남녀 출생성비는 여자 100명당 남자 116명으로, 85~95년 평균 113.3명에 비해 매우 높았다. 특히 이런 현상은 대졸 이상 고학력자일수록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어 우리 사회의 미신 맹신 풍조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아직 결혼을 하지 않은 미혼 남성들에게는 말띠 여성은 기피대상이 되고 있다. 최근 한 결혼정보회사가 미혼 남성을 대상으로 한 전화설문 결과에서도 말띠 여성 기피풍조가 여실히 드러나는데, 결혼상대자로서 말띠 여성 선호 여부를 묻는 질문에 16.3%가 기피한다고 답한 것이다. 그 이유 역시 “말띠 여성은 기가 세고 드세다.”, “미신이라지만 통념상 안 좋은 것은 피하고 싶다.” “어른들이 싫어한다.”는 등 결코 합리적이지못했다.
( 동아일보 기사 中 )
우리는 흔히 말띠 여성은 기가 드세다고 한다. 역학자들에 의하면 이런 속설은 일본에서 건너온 것에 불과하며 역학상으로도 전혀 근거가 없다고 한다. 띠만 갖고 팔자를 알 수는 없다는 것이다. 국립민속박물관의 학예연구관인 천진기 씨 역시 “일본에서는 말띠해에 태어난 사람은 기질이 세고, 여자가 태어나 시집 가면 남편을 깔고 앉아 기세를 꺾기 때문에 말띠 해에 여자가 태어나는 것을 경원시하는 습속이 예전부터 있었다.”며 “이런 고약한 믿음이 일제 강점기에 우리 나라로 확산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말 그대로 속설일 뿐 근거 없는 미신임은 분명한 것이다.
이렇듯 말은 종종 우리에게 부정적인 모습으로 비추어 지곤 한다. 사실 나 역시 이러한 미신을 적잖이 의식하고 있었음을 시인한다. 그러나 이번 발표를 위해 말에 대한 자료를 조사하고 준비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사실들과 알게 되었고 , 우리의 역사속에서 말이 우리의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미신을 아직도 믿고 있다고요? 끝까지 읽은 다음에 한 번 다시 생각해 보시길 !
2. 말의 의미
우리 나라에서는 말과 관련된 것으로 최초의 그림은 선각시대 암각화로 알려진 경남 울주군 그림이 있다. 또한 1세기경의 청동기시대에 제작된 청동제 마형대구(馬形帶鉤) 그리고 고구려의 벽화에서 볼 수 있는 수렵도와 전쟁과 관련된 씩씩하고 호방한 말을 탄 동적인 그림이 있으며 , 신라의 천마총에서 신마도의 그림도 존재한다. 말을 소재로 한 많은 부장품 역시 존재한다.
부처가 세상을 하직할 때 모든 동물들을 다 불렀는데 열 두 동물만이 하직인사를 하기 위해 모였다. 가장 먼저 도착한 쥐(子)를 이어 소(丑) - 호랑이(寅) - 토끼(卯) - 용(辰) - 뱀(巳) - 말(午) - 양(未) - 원숭이(申) - 닭(酉) - 개(戌) 그리고 가장 나중에 도착한 돼지(亥)이다. 이 도착한 열두마리의 동물을 12지간이라 하는데 , 이 중 말은 12지의 일곱 번째 동물로서 활동적이며 도약적인 이미지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이미지에 걸맞게 우리 일상 생활에서 교통용 , 군사용 , 농경용등으로 널리 이용되었다. 인간이 생활사 속에서 말이 인간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은 민속현상의 다방면에서 말이 등장하고 있음을 예로 들어 입증되어진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