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문화 이해 독서보고서

 1  세계 문화 이해 독서보고서-1
 2  세계 문화 이해 독서보고서-2
 3  세계 문화 이해 독서보고서-3
 4  세계 문화 이해 독서보고서-4
 5  세계 문화 이해 독서보고서-5
 6  세계 문화 이해 독서보고서-6
 7  세계 문화 이해 독서보고서-7
 8  세계 문화 이해 독서보고서-8
 9  세계 문화 이해 독서보고서-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레포트 > 독후감
  • 2015.03.29
  • 9페이지 / hwp
  • 1,200원
  • 36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세계 문화 이해 독서보고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세계 문화 이해
마틴 J.개논, 최윤희 역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서론 _ cultural metaphor
타문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그 나라만의 대표성을 띠는 하나의 틀과 문화적인 상징체계가 존재한다면 우리는 그 문화에 보다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문화 메타포란 바로 그러한 상징체계이자 국가적 틀을 말한다. 메타포는 특정 사회의 현상을 기술하고 이해하는 바탕이 되며 결코 고정관념이 아니다. 우리는 메타포를 통해서 그 사회가 가지는 중요한 현상과 문화적인 관행을 발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국가적 특수성에 주목할 수 있다. 비교적 쉽고 간결하면서도 선명하게 기억될 수 있는 메타포의 이점 때문에 다양한 학자들은 타문화 분석을 위한 모형과 문화가치차원을 들어 타문화 이해에 대한 다양한 접근법을 제시해왔다. 하지만 각 문화를 어떤 일반적인 기준과 차원적 분류로써의 접근 방식은 타문화 이해를 위한 전반적인 시각에는 도움이 되지만 다양한 현상을 좀 더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목적에는 한계가 있다. 이렇듯, 메타포 자체가 각 사회에서 발견되는 모든 현실을 포함할 수는 없지만 문화 메타포라는 것은 분명 한 나라의 다양한 문화적 양상을 이해하고 나아가 이문화적인 측면에서 보편성과 특수성을 동시에 비교. 고찰해볼 수 있는 효율적인 묘사방법임에 틀림없다.
다양한 국가의 문화를 좀 더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한 차원적 접근의 4단계 모형이 있다. 첫 번째 단계는 그 나라의 일반적 지향성을 파악하기 위해 과정vs목표 지향과 감정 표현의 개방성에 초점을 둔다. 두 번째는 좀 더 구체적인 정보를 위한 권력 격차와 개인주의vs집단주의의 차이를 통해 문화. 경제적 측면에서의 비즈니스 관계에 대한 집단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세 번째는 문화 일반성 또는 문화 일반적 차원을 바탕으로 다양하게 분화되는 특수 문화에 주목하며, 네 번째 단계에서는 한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문화 메타포를 차용한다. 이러한 차원적 접근법을 바탕으로 다양한 국가문화와 메타포를 통해 개인과 집단 간의 다양한 사회적 현상들을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해 보도록 하겠다.
1. 권위 서열 문화
권위서열 문화는 집단주의 성향이 강하며 권력의 격차가 매우 크게 나타나는 사회다. 상사와 부하 직원 간의 관계가 일방향적인 시장가격 문화와 달리, 담당 업무의 기능을 초월하여 상호 간의 지켜야 할 일정한 책무가 있다. 이러한 권위서열 문화 현상은 특히 일본, 태국과 같은 국가에서 뚜렷하게 나타나며 폴란드와 브라질에서도 일정한 형태로 나타난다.
태국의 왕실
일본의 정원
인도의 시바춤
베두인 보석과
사우디아라비아
태국 문화를 상징하는 핵심적 이미지는 왕실로 대표되는데 푸미폰 국왕의 통치적 성격을 살펴보면 그의 강력하고도 효율적인 통치가 곧 태국을 하나의 국가로 뭉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태국은 수직적 집단주의가 강조되는 권위서열 문화이지만 경제적 문화의 교차점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에 의해 느슨한 통치의 본질을 중시한다. 이러한 극단의 공존은 태국 사회의 모순과 긴장을 의미하기도 한다. ‘자유의 땅’으로 일컫는 태국은 타국에 의한 정복이 한 번도 없었던 유일한 국가라는 역사적 사실로 자유와 평등이 그들 문화의 주요한 구성 요인이 되었다. 태국인의 생활양식은 소승불교의 영향을 받아 감정 절제와 미소, 긍정적인 사고를 가진다. 이 같은 태국의 사상은 미국과 동일한 듯 보지만 성과 지향주의와 내적 통제가 이루어지는 미국의 가치관과는 확연히 구별되며 ‘타이 왕국’이라는 말은 ‘자유의 땅’이 가지고 있는 본질적 특징을 나타내는 핵심적인 메타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