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관련 영화 및 독서 감상문 도가니

 1  장애관련 영화 및 독서 감상문 도가니-1
 2  장애관련 영화 및 독서 감상문 도가니-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장애관련 영화 및 독서 감상문 도가니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장애관련 영화 및 독서 감상문
2005무진자애학원 그곳에서 벌어진 충격실화
도가니
작가 공지영, 거짓과 맞서 희망을 쓰다!
“진실을 결코 개들에게 던져줄 순 없습니다”
이 영화의 원본을 쓴 작가 공지영은 이 소설을 처음 구상하게 된 것은 어떤 신문기사 한 줄 때문이었다고 한다. 그것은 마지막 선고공판이 있던 날의 법정 풍경을 그린 젊은 인턴기자의 스케치기사였다. 그 마지막 구절은 아마도 "집행유예로 석방되는 그들의 가벼운 형량이 수화로 통역되는 순간 법정은 청각장애인들이 내는 알 수 없는 울부짖음으로 가득 찼다"였다. ‘그 순간 나는 한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그들의 비명소리를 들은 듯했고 가시에 찔린 듯 아파오기 시작했다. 나는 그동안 준비해오던 다른 소설을 더 써나갈 수가 없었다. 그 한 줄의 글이 내 생의 1년, 혹은 그 이상을 그때 이미 점령했던 것이다.’ 라고 공지영은 말했다. 공지영 작가의 말 중에서.
이 영화는 실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책을 원본으로 하여 제작되었다. 도가니라는 영화가 처음 나왔을 때 단지 매체를 통해서 스치듯 본 예고편은 무엇인가 중후한 메시지를 담고 있는 듯했다. 그러다 기회가 되어 극장에서 이 영화를 보게 되었는데 이때 나에겐 엄청난 충격이었다. 이 영화에서 담고 있는 메시지는 우리가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이 일어나고 있고 또한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채 진실이 매장당하고 있는 사태에 대해 세상에 알리고 진실을 지켜내야 하는 의미를 담고 있는 듯 했다. 하지만 거짓과 폭력, 불의 앞에서 분노하기는 쉽지만, 그에 맞서 싸우고, 진실을 밝히고 정의를 실현 하는 것은 쉽지 않다는 것은 누구나 알 것이다. 작가 공지영은 이렇게 비루하고 약한 인간들 중에서도 그 어려운 일을 해낸 사람들 중 하나였다. 실재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인 광주의 모 장애인학교에서 자행된 성폭력 사건 실화를 다룬 이 소설은, 귀먹은 세상이 차갑게 외면한 진실에 대한 이야기이자 거짓과 폭력의 도가니 속에서 한줄기 빛처럼 쏘아 올린 용기와 희망에 대한 감동적 기록이다.
도가니라는 뜻은 붙이를 녹이는 그릇, 단단한 흙이나 흑연 등으로 우묵하게 만든다는 뜻인데 즉 도가니의 속은 엄청 뜨겁다고 하여 흥분의 도가니, 열광의 도가니라고 주로 사용한다. 이처럼 이 작품의 메시지를 도가니라고 표현한 것은 비유적인 의미로 무진의 자애학원이라는 곳에서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이 벌어졌고 이에 광란의 도가니라는 의미에서 작가가 지었다고 한다.
실화를 바탕으로 극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영화와 책 안에서는 인물이 등장한다. 강인호는 아내의 주선으로 남쪽 도시 무진시(霧津市)에 있는 청각장애인학교 ‘자애학원’의 기간제 교사 자리를 얻어 내려가게 된다. 한때 민주화운동의 메카였던 이 도시는 ‘무진’이라는 이름이 암시하듯 늘 지독한 안개에 뒤덮이는 곳이다. 첫날부터 마주친 짙은 안개 속에서, 그리고 청각장애를 가진 아이들과 교사들이 다수인 무섭도록 고요한 학교 분위기에서 그는 불길한 예감을 느낀다. 한 청각장애아 전영수라는 아이가 기차에 치여 죽는 사고가 나도 이를 쉬쉬하는 교장, 행정실장, 교사들, 그리고 무진경찰서 형사 사이에서 강인호는 모종의 침묵의 선이 연결 되어 있음을 감지한다. 부임한 첫날부터 우연히 듣게 된 여자화장실의 비명소리를 신호탄으로 강인호는 점차 거대한 폭력의 실체를 알아가게 되는데 그 뒤에는 남몰래 아이들이 학교안의 교장, 행정실장, 교사들에게 성폭행과 폭행을 당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에 강인호는 맞서서 진실을 밝혀 아이들을 그들로부터 지켜주려 한다. 불의를 보고 참지 못하는 사회단체 간사 서유진과 힘을 합쳐 아이들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마음으로 품어 지켜주려 노력한다. 그러한 과정에서 민수와 민수동생에게 학대를 가한 일로 가해자인 교사를 신고하게 되지만 이에 맞서 돌아온 것은 합의금과 민수의 할머니의 합의. 이를 보고 다시 한 번 상처를 입게 된 민수는 “내가 용서 안했는데, 누가 용서했다고 그래요? 나랑 동생 앞에 와서 무릎 꿇고 빌지도 않았는데 누가요 누가..”라고 수화로 울부짖는다. 이 장면을 보며 이 말로 하지 않는 무언의 대사가 내 마음에 가시를 찌르는 듯 했고 가슴이 무너져 내리는 듯 했다. 영화를 보는 내내 분노가 치밀어 올랐고 저런 연기를 하는 어린 아역 배우들도 혹시나 상처를 받지나 않을까 노심초사 하게 되었는데 이 사실이 모두 실제 상황이고 이보다 더한 것도 겪었다는 사실에 충격적이었다. 결국 아이들은 장애를 가지고 있을지라도 사회적 약자라고 함부로 대해서는 안 될 하나의 인격체이다. 우리가 나서서 지켜주지는 못할망정 아이들에게 평생 지워지지 않을 아픈 상처를 남기고 이를 은폐하려는 사회에 대한 불신을 이 영화에서는 말하려 했다. 결과적으로 이로 인해 다시 한 번 실제 가해자들이 처벌을 받긴 했지만 그때 묻어두었던 진실로 인해 그 사이 얼마나 많은 피해 장애아들이 생겨났을지 모른다. 말도 안 되는 이해할 수 없는 상황이지만 보이지 않는 곳에서 상처 받는 아이들이 생겨나고 있을 것이다. 이를 할 수 있는 한 최선을 다해 극복해내고 아이들을 지켜내는 것이 우리에겐 최선일 것이다.
약자 중에서도 약자인 장애아들의 편에 서서 거짓과 맞서 싸우는 보통 사람들의 분투와 고민이 뜨거운 감동을 안겨주는 작품이었고 이 현실에 대해서,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의 극단적인 이면에 대해서 곰곰이 생각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