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탈주민의 직장 이직(移職)과 부적응에 관한 연구

 1  북한이탈주민의 직장 이직(移職)과 부적응에 관한 연구-1
 2  북한이탈주민의 직장 이직(移職)과 부적응에 관한 연구-2
 3  북한이탈주민의 직장 이직(移職)과 부적응에 관한 연구-3
 4  북한이탈주민의 직장 이직(移職)과 부적응에 관한 연구-4
 5  북한이탈주민의 직장 이직(移職)과 부적응에 관한 연구-5
 6  북한이탈주민의 직장 이직(移職)과 부적응에 관한 연구-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북한이탈주민의 직장 이직(移職)과 부적응에 관한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북한이탈주민의 직장 이직(移職)과 부적응에 관한 연구

1. 서 론
1) 연구목적
2) 연구대상 및 방법
2. 이론적 고찰
1) 직장 적응의 개념
2) 직장적응 요인
3. 조사결과 분석
1) 조사대상자 분석
2) 직장 부적응 요인 - 동기요인
3) 직장 부적응 요인 - 능력요인
4) 직장 부적응요인 - 환경요인
4. 북한이탈주민의 사회부적응
1) 사회문화적 측면의 부적응
2) 심리적 측면의 부적응
3) 경제적 측면의 부적응
Ⅳ. 결론
본문내용

1. 서 론
1) 연구목적
북한 이탈주민의 탈북동기의 대부분은 북한체제에 대한 실망, 또는 자유에 대한 목마름 보다는 배고픔과 생활의 궁핍함 등 생존과 직결된 경제적 문제를 주요 배경으로 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또한, 탈북자 대부분은 최초부터 남한을 그들의 최종 정착지로 삼고 탈북하는 경우 또한 많지 않다.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정착은 탈북이주민 그들 자신 뿐만 아니라, 약 2만명에 육박해 가는 그들을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수용하고자 하는 우리 사회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문제라 할 것이다. 자본주의사회인 한국사회와 근본적으로 다른 사회에서 생사(生死)의 갈림길에 내몰릴 정도로 열악한 경제적 어려움 인해 탈북하여 한국사회에 정착한 북한 이탈주민들에 대해 우리 정부는 정부차원에서 소정의 정착을 위한 교육과 함께 일자리를 알선해 주고 있으며, 시민사회 차원에서도 북한이탈주민들의 한국사회 정착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많은 북한이탈주민들은 한국사회 적응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러한 어려움은 가족문제, 청소년문제, 취업문제 등의 사회적 문제들을 점점 더 많이 양산해 내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 정착과정에서의 한국사회에 대한 ‘적응’문제, 특히 ‘직장’에서의 ‘부적응문제’에 주목하고자 한다. ‘직장’은 사회구성원에게 있어 생계를 위한 경제수단 획득의 장이며, 하루의 절반 혹은 그 이상을 다른 구성원들과 함께 보내야 하는 지속적인 재사회화 공간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한 개인의 능력과 사회적 지위에 대한 평가척도로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한국사회에 정착한 북한 이탈주민에게 있어서도 직장은 이미 동일한 의미로 다가올 것이다. 사회주의 계획경제하에서 국가의 배급에 익숙한 그들에게 한국사회는 개인의 경제적 능력이 사람의 질을 좌우하고 있으며, 다른 사람과의 경쟁에서 얼마만큼 우위에 서느냐가 곧 개인의 삶의 질을 좌우하게 되는 자본주의사회에서 직장은 과거와는 전혀 다른 의미로 다가올 수 있다. 그러므로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 정착에 있어서 직장에 대한 적응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는 북한 이탈주민의 한국사회 정착과정을 직장 이직에 대한 문제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기존 직장에서 새로운 직장으로 옮겨가는 동기는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개인의 욕구를 실현하기 위해 자신이 원하는 곳을 직장을 옮기는 것과 자신의 의사와는 달리 새로운 직장으로 옮길 수 밖에 없는 것은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북한이탈주민의 직장 이직은 그들의 여러 가지 배경을 고려할 때, 직장에 대한 ‘적응’문제에서 기인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 정착 이후 직장이직 경험이 있는 북한이탈주민의 이직 원인과 배경을 ‘부적응’의 측면에서 접근해 보고, 직장 부적응 요인으로서 어떠한 것들이 작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유형화 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연구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실증적인 조사를 기초로 하였다. 조사방법은 직장 이직의 원인을 직장 부적응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하며, 직장 부적응 문제에 대한 보다 자세하고 심층적인 결과를 얻기 위하여 면접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조사대상자는 한국사회에 정착한 이후 최소 1회 이상 직장을 이직한 경험이 있는 북한이탈주민으로 선정하였는데, 본 연구의 성격 및 시간적 제약으로 인해 조사대상자는 4명으로 제한하였다. 대상자 선정시 성별을 고려하여 남성과 여성을 각각 2명씩 선정하였으며, 연령대 또한 20대부터 50대까지 고루 분포될 수 있도록 선정하였으며, 조사대상자들의 직종을 한 분야에 집중되지 않도록 고려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