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주민의 남한 드라마 시청현황에 관한 연구(1990년대 말 이후를 중심으로)

 1  북한주민의 남한 드라마 시청현황에 관한 연구(1990년대 말 이후를 중심으로)-1
 2  북한주민의 남한 드라마 시청현황에 관한 연구(1990년대 말 이후를 중심으로)-2
 3  북한주민의 남한 드라마 시청현황에 관한 연구(1990년대 말 이후를 중심으로)-3
 4  북한주민의 남한 드라마 시청현황에 관한 연구(1990년대 말 이후를 중심으로)-4
 5  북한주민의 남한 드라마 시청현황에 관한 연구(1990년대 말 이후를 중심으로)-5
 6  북한주민의 남한 드라마 시청현황에 관한 연구(1990년대 말 이후를 중심으로)-6
 7  북한주민의 남한 드라마 시청현황에 관한 연구(1990년대 말 이후를 중심으로)-7
 8  북한주민의 남한 드라마 시청현황에 관한 연구(1990년대 말 이후를 중심으로)-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북한주민의 남한 드라마 시청현황에 관한 연구(1990년대 말 이후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북한주민의 남한 드라마 시청현황에 관한 연구 (1990년대 말 이후를 중심으로)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
1990년대 후반 북한에서는 심각한 경제난에 의해 식량위기 상황이 발생하였다.
기존의 사회주의체제를 유지하던 중앙배급제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생존을 위한 북한주민들의 행위가 북-중 국경을 중심으로 활발히 이루어졌다. 심각한 식량위기는 북한주민들로 하여금 새로운 생존방식을 모색하게 하였고, 새로운 계층구조를 형성 하였다. 사람마다 살아갈 방식과 업종, 업태를 가지게 되었으며 북-중 국경을 넘나들며 장사를 하는 밀수꾼들이 증가하고 탈북자수도 증가하였다.
경제적 빈궁의 위기를 탈출할 모색하던 중 북-중 국경의 밀수꾼들은 ‘공공연’한 장사를 진행하면서 한국드라마CD를 북한으로 유입시키게 되었다. 남한 드라마나 영화 등의 영상매체가 유입되고, 이를 통해 이른바‘아랫동네’(북한에서 남한을 일컫는 속어)에 관한 정보가 북한주민들 사이에 전파되어 갔다.
시장의 확대는 정보 확산이라는 파급력을 갖고 북한 주민들의 의식변화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한류라 표현될 만큼 남한 영상매체가 인기를 누리고 ‘남한 따라 하기’현상이 지속되면서 의식변화가 촉진되어 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남한 영상매체 시청을 통해 의식 변화가 곧 행동으로 옮겨지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오랜 기간 동안 사회주의 체제의 엄격한 정보통제에서 살아온 북한 주민들에게 남한 영상매체는 외부세계의 문화와 정보를 접할 수 있는 창이 되었다.
또한 영상매체의 유통과정에서 새로운 사회상이 형성되었다는 특징도 있다. 즉, 영상매체라는 상품이 매개체가 되어 사람과 사람 사이의 연계망이 형성된 것이다. 행위자 네트워크이론 (actor-network theory)에서는 상품을 매개로 하는 네트워크의 형성으로 비인간적 물체 역시 이종네트워크를 구성하는데, 중요한 것은 상품을 얼마나 소유했고 이것을 통해 어떻게 네트워크를 형성하느냐가 권력의 크기를 결정지을 수 있다는 점이다. 브루노 라투르 지음, 홍성욱 옮김, 『인간, 사물, 동맹: 행위자네트워크이론과 테크로사이언스』 (서울: 이음, 2010), p42.
북한에서 남한 영상매체(매개체)가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이종네트워크로 기능한다면, 만약 이러한 매개체가 사라지거나 또는 전폭적으로 확대될 경우 인적네트워크는 물론 시스템(체제)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것이다.
제2절 연구목적 및 의의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 주목하여 북한 내에 확산되는 남한여상매체의 유통구조를 살표보는데 목적이 있다.
북한 주민들은 남한인식에 대해 북한당국이 지시하는 세뇌교육으로 주입된 편향된 인식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외부로부터 유입된 정보가 사회적 연결망을 통해 확산되어 개인의 의식변화와 행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곧 체제의 변화를 폭발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외부정보 유입의 구조와 기능분석은 결국 북한체제라는 하나의 구조적 틀 안에서 이를 구성하는 행위자들의 변화가 체제에 어떠한 여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즉, 미시적 측면에서 개인의 행위와 연계망이 거시적 측면의 북한체제 변화에 어떠한 여향을 미치는가의 문제이다.
제2장 연구 방법
제1절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