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연구 주요 저작 - 한국 공산주의 운동사 2 해방 후 편 - 조선인민공화국의 출현, 남한내에서의 공산주의 출현

 1  북한연구 주요 저작 - 한국 공산주의 운동사 2 해방 후 편 - 조선인민공화국의 출현, 남한내에서의 공산주의 출현-1
 2  북한연구 주요 저작 - 한국 공산주의 운동사 2 해방 후 편 - 조선인민공화국의 출현, 남한내에서의 공산주의 출현-2
 3  북한연구 주요 저작 - 한국 공산주의 운동사 2 해방 후 편 - 조선인민공화국의 출현, 남한내에서의 공산주의 출현-3
 4  북한연구 주요 저작 - 한국 공산주의 운동사 2 해방 후 편 - 조선인민공화국의 출현, 남한내에서의 공산주의 출현-4
 5  북한연구 주요 저작 - 한국 공산주의 운동사 2 해방 후 편 - 조선인민공화국의 출현, 남한내에서의 공산주의 출현-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북한연구 주요 저작 - 한국 공산주의 운동사 2 해방 후 편 - 조선인민공화국의 출현, 남한내에서의 공산주의 출현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국 공산주의 운동사 2 : 해방 후 편〕
1. 주요내용 및 논지 요약
한국 공산주의 운동사 Ⅰ은 식민지시대 편으로
제 1장 한국공산주의의 기원에서는 시베리아에서의 한인 급진주의, 중국과 만주에서의 한국 공산주의, 소련과의 협상, 분열의 심화와 코민테른의 간섭, 아시아 공산주의 운동의 파종, 자유시 사변과 그 영향, 모스코바의 극동‘피압박인민’대회, 파벌투쟁의 심화, 지령에 의한 화해, 국내의 공산주의, 초기 국면의 개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2장 시련의 시기에서는 계속된 파벌투쟁, 제 2차 조선공산당과 그 와해, 제 3차 조선공산당, 제 4차 조선공산당과 당의 해체, 코민테른, 안내자와 개 혁자, 민족주의, 공산주의, 협동전선, 국제노선의 좌경화와 그 반향, 협동전선의 해체, 프롤레타리아 문예운동, 제 1새대 한국공산주의들의 사회경제적 배경, 실패와 그 근본원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3장 노동자, 농민, 유격대에서는 1925년 이후 만주에서의 한인 공산주의운동, 중국에서의 한인 공산주의자들의 활동, 소련의 역할, 일본내의 급진적 한국인들, 1928년 이후 국내의 공산주의, 김일성의 등장, 1945년 이전의 한국공산주의에 대한 몇가지의 관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 공산주의 운동사 Ⅱ는 1945~1953년의 해방후 편으로서
제 4장 미 군정기의 한국공산주의는 조선인민공화국의 출현, 남한내에서의 공산주의 출현, 미국의 초기정책과 한국의 좌익, 공산당의 강령, 파벌투쟁, 당과 외곽단체의 강화, 경쟁적 합작공세, 남한 공산당내부의 투쟁, 남로당의 조직구조, 남로당과 미군정간의 격증하는 충돌, 공산폭동과 군부반란에 대한 평가로 전개하고 있다.
제 5장 소련후견하의 북한공산주의는 북한 공산주의자들의 권력참여, 김일성의 등장, 민족주의자들에 대한 탄압, 새 공산국가의 구조와 정책, 북한에서의 통일전선운동, 북조선 노동당의 창립, 해방이후 1년간의 주요 흐름, 조선민족주의인민공화국의 수립, ‘국내파’에 대한 탄압, 소련대 미국순으로 구성하여 전개하고 있다.
제 6장 한국전쟁과 북한에서는 공산주의자의 정치적 통합과 재편, 군사력의 강화와 전쟁의 발발,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 3차 전원회의, 제 4차 전원회의와 그 여파, 전시의 주요 문제, 정전과 박헌영일파의 숙청, 정전무렵의 북한 순으로 기술하고 있다.
1945. 8. 14일 일본천황의 항복메시지를 전해들은 정무총감 엔도 류우사쿠는 서울에 있는 저명한 한국민족주의자 몇 명을 초빙하여 치안유지의 책임을 맡기기로 하였는데, 그 세 사람은 여운형, 안재홍, 송진우였다.
여운형은 남경의 진룽대학을 졸업하고 1919년 베르사이유 강화회의에 김규식을 파견하여 정치적 명성을 얻은 후 여러 국제회의의 대표로서, 한국민족주의의 대변자로서, 중국에서는 급진적인 한인단의 열성적인 일꾼으로서 공산주의운동내부에서 공산주의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활약해 왔었다.
안재홍은 와세다대학을 졸업하고 한국 YMCA 에 근무했으며 서울 중앙학교 학감을 지냈고, 그 후 조선일보와 시대일보 등 민족지의 사장을 역임하였다. 민족주의의 대의를 지지해 온 그는 3.1운동에 가담하여 3년간 복역하였으며, 나중에 신간회의 주요 간부로 활동하였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