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리건과 나딩스의 배려윤리 중심으로 - 과연 이것만이 진정한 도덕윤리일까

 1  길리건과 나딩스의 배려윤리 중심으로 - 과연 이것만이 진정한 도덕윤리일까-1
 2  길리건과 나딩스의 배려윤리 중심으로 - 과연 이것만이 진정한 도덕윤리일까-2
 3  길리건과 나딩스의 배려윤리 중심으로 - 과연 이것만이 진정한 도덕윤리일까-3
 4  길리건과 나딩스의 배려윤리 중심으로 - 과연 이것만이 진정한 도덕윤리일까-4
 5  길리건과 나딩스의 배려윤리 중심으로 - 과연 이것만이 진정한 도덕윤리일까-5
 6  길리건과 나딩스의 배려윤리 중심으로 - 과연 이것만이 진정한 도덕윤리일까-6
 7  길리건과 나딩스의 배려윤리 중심으로 - 과연 이것만이 진정한 도덕윤리일까-7
 8  길리건과 나딩스의 배려윤리 중심으로 - 과연 이것만이 진정한 도덕윤리일까-8
 9  길리건과 나딩스의 배려윤리 중심으로 - 과연 이것만이 진정한 도덕윤리일까-9
 10  길리건과 나딩스의 배려윤리 중심으로 - 과연 이것만이 진정한 도덕윤리일까-10
 11  길리건과 나딩스의 배려윤리 중심으로 - 과연 이것만이 진정한 도덕윤리일까-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길리건과 나딩스의 배려윤리 중심으로 - 과연 이것만이 진정한 도덕윤리일까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길리건과 나딩스의 “배려윤리” 중심으로
(과연 이것만이 진정한 도덕윤리일까?)
Ⅰ. 서론
1. 배려윤리의 필요성 및 목적
예전에도 마찬가지였겠지만 오늘날에도 도덕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은 없다. 그러나 현재 도덕교육이 잘되고 있다고 말하는 사람은 드물다. 우리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대표적인 문제 중 하나가 도덕적 부재나 윤리적 타락일 것이다. 연일 방송에서는 부정부패에 대한 소식이 끊이지 않고, 교육 현장에 있는 선생님들은 학생이 무섭다고 한다. 우리의 도덕교육은 더 이상 도덕적 인간을 기르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더 무서운 것은 우리에게 당면한 윤리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뾰족한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여러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하여 점차적으로 개선해나가는 방법밖에 없다.
도덕교육에 대한 논쟁은 도덕교육의 목표를 사회화에 둘 것이냐? 아니면 개인의 자율적 판단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도덕적 발달에 초점을 둘 것이냐?로 정리될 수 있다.
사회의 도덕적 목적을 위해 사회질서를 만들어내고자 하는 도덕교육은 사회화를 목표로 한다. 따라서 도덕교육의 구체적 내용은 교통질서를 지키는 것, 자기의 책임을 다하는 것과 같이 규범에 따른 구체적인 행동습관을 길러주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에 비해 개인의 자율성을 신장시키려고 하는 도덕교육은 구체적인 질서로 존재하는 것, 그리고 하나의 유산으로서 전통에 대해 전수하는 역할과 함꼐 그것에 대한 ‘비판적인 사고능력’을 신장시켜주려고 한다.
그렇다면 한국의 도덕교육의 목표와 방향은 어떠했는가? 현대 도덕교육에서는 콜버그(L.Kohlberg)의 인지 도덕 발달론에 기초한 정의 윤리가 지배적으로 작용하였으며, 실제적으로 도덕교육의 내용과 방향을 설정하는 이론적 근거로서 콜버그의 이론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인지발달이론에 기초한 도덕교육은 타인의 권리를 인정해주면서 자신의 권리를 인정할 수 있는 냉철한 이성적인 사람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그로 인해 도덕적 지식은 늘어났지만 타인에 대한 사랑이나 동정, 책임감 등은 경시되면서 이웃 간의 단절과 고립, 인정의 상실, 타인에 대한 배려 부족, 무관심, 소외, 이기주의와 같은 도덕적 문제에 효율적으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기 시작했다.
이론 상황 속에서 콜버그의 동료였던 길리건(C.Gilligan)에 의해 배려윤리가 주창되었다. 길리건은 남성과 여성의 도덕적 경험과 관점을 서로 이질적인 것으로 구분하고 남성의 그것을 “정의적 관점”, 여성의 그것을 “배려의 관점”으로 대조시켜 분석하였다. 이 두 가지는 서로 구분될 뿐만 아니라 동등한 가치를 지닌 대등한 도덕적 목소리로 공존한다는 사실을 경험적인 연구들을 통해서 입증하고자 했고, 배려의 도덕성이 존재한다는 주장을 통해서 여성적인 활동과 여성의 도덕성에 대한 잘못된 평가와 대우를 바로 잡고자 했다.
길리건에 이어 나딩스(N.Noddings)는 배려하고, 배려받고 싶어 하는 것은 모든 인간의 보편적 욕구이며, 이러한 배려를 통해 인간의 생존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관계성이 가장 근원적인 것이고 배려관계를 윤리적 기초이자 도덕적 성취로 규정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나딩스는 배려를 유지하고 강화하고자 하는 윤리적 이상을 고양시키는 것을 모든 교육의 궁극적 목적으로 삼고 이를 여성만의 윤리가 아닌 남녀 모두에게 요청되는 윤리로 간주하였다.
길리간과 나딩스에 의해 주장되는 배려윤리는 타인에 대한 관심과 배려 등의 이타성의 도덕성 책무가 잊혀 가는 오늘날의 윤리적 상황에 대한 적적한 논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과제에서는 배려와 배려윤리의 개념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콜버그의 정의 지향적인 인지발달이론의 한계성으로 인한 대안으로 길리건에서 나딩스로 이어지는 배려윤리 도덕교육의 전개와 특징을 알아보고, 이에 기초한 도덕교육에 대하여 고찰해 본 후, 배려윤리 이론의 한계와 비판점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아울러 오늘날 도덕교육의 새로운 방안으로 거론되고 있는 통합적 접근의 형태들 중 하나인 정의윤리와 배려윤리의 도덕과 통합교육에 대해서 고찰하면서 이 두 가지 윤리가 상호 보완적일 때 보다 나은 도덕교육의 방안이 도출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도덕교육에 대한 새로운 접근에 대해 탐색해보고자 한다.
2. 주요 용어에 대한 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