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의 이해 - 조세희에 대해서

 1  문학의 이해 - 조세희에 대해서-1
 2  문학의 이해 - 조세희에 대해서-2
 3  문학의 이해 - 조세희에 대해서-3
 4  문학의 이해 - 조세희에 대해서-4
 5  문학의 이해 - 조세희에 대해서-5
 6  문학의 이해 - 조세희에 대해서-6
 7  문학의 이해 - 조세희에 대해서-7
 8  문학의 이해 - 조세희에 대해서-8
 9  문학의 이해 - 조세희에 대해서-9
 10  문학의 이해 - 조세희에 대해서-10
 11  문학의 이해 - 조세희에 대해서-11
 12  문학의 이해 - 조세희에 대해서-12
 13  문학의 이해 - 조세희에 대해서-13
 14  문학의 이해 - 조세희에 대해서-14
 15  문학의 이해 - 조세희에 대해서-15
 16  문학의 이해 - 조세희에 대해서-16
 17  문학의 이해 - 조세희에 대해서-17
 18  문학의 이해 - 조세희에 대해서-18
 19  문학의 이해 - 조세희에 대해서-19
 20  문학의 이해 - 조세희에 대해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의 이해 - 조세희에 대해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 조세희는 누구인가?
1) 조세희는 누구인가?
조세희는 1942년 8월 20일 경기도 가평에서 출생했다. 어린 시절 그의 집에는 양장본으로 된 세계 문학전집이 있었다. 조세희는 이 책들을 탐독하며 어린 시절을 보냈다. 1953년 서울로 올라온 조세희는 서라벌예대(현 중앙대) 문예 창작과에 들어가, 다니다가 경희대 국문과에 다시 들어갔다. 조세희는 경희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스물 세 살이었던 1965년 신춘문예에 단편 이 당선되면서 문학계에 입문했다. 그러나 조세희의 작가로서의 길은 순탄치 않았다. 조세희의 이 당선되던 해, 그는 어머니를 잃었다. 그리고 69년 결혼과 동시에 가장이 되어 생계를 책임져야 했다. 또 좋은 작품을 쓸 자신도 없었다. 그래서 그는 70년 학생들 수험서인 이라는 잡지를 발행하는 출판사에 취직했다. 순전히 먹고 살기 위해서였다. 조세희는 이런 이유들로 인해 문학에서 멀어져 갔다. 직장생활을 하던 조세희가 문학에 다시 관심을 갖게 된 것은 1973년 무렵이었다. 한 작가로서, 아니 한 시민으로서 주어진 의무를 다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된 조세희는 1974년 10년간 놓았던 펜을 다시 잡았다. 그가 경험한 빈곤층의 핍박받는 생활이 그를 다시 문학의 길로 인도한 것이다.
내가 제일 참을 수 없었던 것은 악이 내놓고 선을 가장하는 것이었다. 악이 자선이 되고 희망이 되고 진실이 되고, 또 정의가 되었다. 내가 개인적으로 선택의 중요성을 느끼기 시작한 것은 이 무렵이었다. 어느날 나는 재개발 지역 동네에 가 당장 거리에 나앉아야 되는 세입자 가족들과 그 집에서의 마지막 식사를 하고 있었다. 그 때 철거반이 철퇴로 대문과 시멘트 담을 쳐부수며 들어왔다. 나는 그들과 싸우고 돌아오다 작은 노트 한 권을 사 주머니에 넣었다.
그는 이렇게 다시 문학을 시작했다. 출판사에 다니며 틈틈이 다방에서 글을 쓰던 그는, 1976년 으로 직장을 옮긴 후에는 근처에 있던 서소문 공원에서 소설을 써나갔다. 틈틈이 나는 시간이라 조세희는 항상 시간에 쫓겨야 했고 회사의 눈치를 봐야 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조세희의 문체는 점점 단문이 되어 갔다. 의 스타카토식 딱딱 끊어지는 문체는 모두 조세희의 소설 창작 여건 때문이었다. 또한 조세희는 당국의 검열을 무사히 통과해야 했다. 자신이 일궈낸 창작물이 온전히 전해져야 한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때문에 조세희는 을 동화처럼, 현실과는 한발 떨어진 꿈처럼 써나갔다. 즉, 사실을 그리되 그 형식과 문체에서 동화적인 냄새를 풍긴 것이다. 서울시 낙원구 행복동이라는 가상의 공간을 만들고 일반인들과는 달리 사회의 약자로 취급받는 난쟁이, 곱추 등을 등장시킨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었다. 에 실린 연작 소설들은 1975년 여러 잡지에 소개 되다가 76년부터는 계간 에 수록 되었다. 수록 초기부터 독자들로부터 관심을 받은 이 소설들은 78년 6월 10일 한 권의 책으로 엮어져 나왔다. 이 작품들은 76년 6개월 동안 8만 4천부를 찍어내는 놀라운 판매 기록을 올렸다. 판매는 계속 지속 되었다. 첫해만큼은 아니었지만 은 1980~1990년대까지 스테디셀러가 되었다.
조세희는 이후 침묵하다 1983년 을 내놓는다. 그리고 85년에는 79년 사북사태 때 찍은 사진 등으로 사진 산문집인 를 내놓았다. 그가 사진기를 산 것은 1979년 사북사태 때다. 당시 그곳의 기록을 남기기 위해 사진 찍는 사람들에게 사북에 가서 그것들을 찍으라고 간청 했으나 거절당하자 조세희는 자신이 직접 사진기를 하나 사들고 그곳의 탄광 노동자들의 모습을 찍었다. 단지 기록 때문이었다. 그 기록의 산물이 이다.
조세희는 앞의 두 창작물 이외에는 80년대에는 침묵했다. 박정희 군부독재가 가고 새로운 시대가 오는 듯한 1980년 전두환에 의해 피로 물들어진 80년 광주의 영향이 깊었기 때문에, 그리고 다시 한번 무산된 희망 때문이었다. 이것은 조세희를 절망 속으로 밀어 넣었고 소설이 무엇을 할 수 있는가?란 고민에 빠져 그는 80년대에 자신의 목소리를 내지 않았다. 그는 1991년 자신의 첫 장편 소설인 집필을 끝마쳤다. 조세희는 80년 광주의 아픈 상처를 그린 이 작품을 마무리 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키득키득 거리면서 80년대를 보냈다. 잘못되면 침묵보다 못한 말로 너스레를 떨기 싫었다. 침묵은 내 방식대로 말에 대한 책임을 지는 행위였다. 그러나 나는 잠자지 않았고 침묵 속에서 치열했다고 자부한다. 이 작품은 침묵 속에서 내가 준비했던 말들의 일부다.
그러나 이 작품은 아직까지 출간되지 않았다. 그가 아직까지도 마무리 작업을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1997년 가을, 조세희는 계간지 을 창간했다. 평상시 느꼈던 한국 사회에 대한 문제의식이 그 출발점이 되었다. 여기에 95년 프랑스 노동자 총 파업과 96년 한국의 노동자 대투쟁을 겪고 느낀, 프랑스와 한국 사회의 격차는 을 창간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아는 이들이 저더러 그래요. 조형 왜 그렇게 힘들게 삽니까, 세상이 바뀌었는데 얼굴 좀 피고 즐기면서 사세요 그 사람들 머리에선 70,80년대가 벌써 화석이 돼 있어요. 그게 지금도 이어지는 형편인데, 벌써 역사를 만들어 버리면 어쩝니까. 군부 독재가 이 땅에 발을 내디뎠을 때 이미 IMF 체제는 시작된 거였어요. 박정희가 한 일이 뭡니까. 외국 자본에 땅 주고 삐쩍 마른 노동자 대준 것뿐이잖아요. 그 노동자들마저 지금은 거리로 쫓겨났고요. 우린 여전히 제 3세계 언저리에서 서성이고 있는 겁니다. 옛것은 여전한데 새것은 자라지 않았어요.
변하지 않았지만 변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 70~80년대를 역사로 인식하는 사람들, 그는 이런 생각을 하는 이들에게 경각심을 주고 싶었다. 아직 세상은 변하지 않았다고 말하고 싶었던 것이다. 그는 이런 작가이다.
2) 우리 조는 왜 이번 주제로 조세희를 선택했을까?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