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지도 및 교수방법1

 1  교과지도 및 교수방법1-1
 2  교과지도 및 교수방법1-2
 3  교과지도 및 교수방법1-3
 4  교과지도 및 교수방법1-4
 5  교과지도 및 교수방법1-5
 6  교과지도 및 교수방법1-6
 7  교과지도 및 교수방법1-7
 8  교과지도 및 교수방법1-8
 9  교과지도 및 교수방법1-9
 10  교과지도 및 교수방법1-10
 11  교과지도 및 교수방법1-11
 12  교과지도 및 교수방법1-12
 13  교과지도 및 교수방법1-13
 14  교과지도 및 교수방법1-14
 15  교과지도 및 교수방법1-15
 16  교과지도 및 교수방법1-16
 17  교과지도 및 교수방법1-17
 18  교과지도 및 교수방법1-18
 19  교과지도 및 교수방법1-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과지도 및 교수방법1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교육부에 고시된 교육과정에 따라 사회교과는 사회 현상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사회 지식 습득과 사회생활에 필요한 기능을 익히며, 민주 사회 구성원에게 요청되는 가치와 태도를 지님으로써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을 육성하는 교과로 정의된다.
1)교과 성격과 목표
사회교과는 장애 학생이 일상생활에서 올바른 생활습관을 갖추고, 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공동생활의 규범과 규칙을 익히며, 개인의 즐거운 삶을 위해 필요한 공동생활의 규범과 규칙을 익히고 사회적 경험의 폭을 넓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교과다.
사회교과 지도는 지역사회 중심의 교수활동을 통해 실제 현장을 경험하는 기회를 확대하고, 일상생활과 사회생활 영역의 기술을 경험하고 표현하며, 사회에서의 수용 가능한 목표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를 통해 인사하기, 양보하기, 기다리기 등의 사회예절과 교통기관 이용하기, 지역사회시설 이용하기 등 사회성 관련 기술과 도덕관을 자연스럽게 경험하게 한다.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실제 환경 내에서의 활동을 강조하고 학생의 학습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활동을 강조한 교육은 일반학생의 경우에도 중요한 교수-학습 방법이지만 장애 학생의 경우에는 더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 학생이 교실에 가만히 앉아 수업을 듣는 것 보다는 직접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학생들은 가상 놀이를 통해 직접 참여해 봄으로써 자신의 역할을 배우고 어떤 행동이 기대되는지 알 수 있다. 또한 역할활동을 함으로써 다른 사람의 역할을 배우게 되며, 교사의 시범을 보고 그대로 따라해 보며 학습을 하는 것이 기억에 많은 도움이 된다. 그리고 이러한 활동은 가능한 한 일반교육환경에서 직접 참여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생활 중심 교육이 중요한 것은 구조화된 학교환경보다는 직접 경험을 할 수 있는 환경이 학생에게 교육의 기회를 많이 부여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이유로 지역사회 중심의 기능적 교육과정이 강조되고 있다.
-사회 교과 교재 교구 예시
역할 놀이 교구 직업 마스크
2)교수 전략
중도의 장애를 지닌 학생들의 학습 가능성에 대한 교육적 신념이 높아지고 일반 학생들과 함께 교육받는 통합교육이 확산되면서, 이들의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지역사회 중심 교수 전략들은 전통적인 발달론적 모델에서 벗어나, 기능적이고 보다 장애 학생의 실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된 기술들을 가르치고자 하는 생태학적 교육과정이 급속하게 발달하면서 중도장애 학생 교육의 중요한 부분으로 정착되었다.
지체장애 학생의 경우 지역사회에서의 활동은 여러 기술이 연쇄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중도장애 학생들의 완전한 참여는 어려울 수 있으나, 부분참여(partial participation)를 통해 의미 있게 지역사회 기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Baumgart 등(1982)은 이러한 부분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 보조 기기 사용하기, 개인적 보조 제공하기, 기술 계열 수정하기 등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부분참여의 원리는 지체장애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지만 잘못 적용되는 사례도 많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부분참여 원리가 장애 학생을 수동적인 존재로 인식되게 하거나, 생활연령 적합성, 기능적 활동 중심의 교수원리를 망각하게 하는 오류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적절히 적용하도록 유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