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교육제도 연구

 1  신라의 교육제도 연구-1
 2  신라의 교육제도 연구-2
 3  신라의 교육제도 연구-3
 4  신라의 교육제도 연구-4
 5  신라의 교육제도 연구-5
 6  신라의 교육제도 연구-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신라의 교육제도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신라의 교육제도가 어떻게 발전되었는가를 살펴볼 때 우선, 신라의 교육제도가 발생하였던 계기가 자생적인 것과 외부의 영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나누어 분석 하는 것이 순서일 듯싶다. 한국 고대의 교육이 외부의 영향이 없이 내부적인 힘으로만 교육제도가 형성되어졌다고 보기는 어렵다. 기록이라는 측면만 고려하더라도, 이두이든 한자든 그 표기가 모두 중국 글이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한국고대 교육이 중국과 깊은 관련이 있었다는 사실을 우리 모두 인정하는 바이다.
중국식 교육제도가 신라교육에 영향을 주었던 시기를 대략 4세기 중엽이후라고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그이 유는 중국과 국결을 맞닿고 있던 고구려가 4세기 중엽부터 중국의 문물을 수용하였던 사실과 연관성이 있기 때문이다. 문헌적인 기록을 중심으로 본다면 신라교육제도가 중국의 영향을 받았던 게 분명하다. 한편 중국의 영향을 받기 이전에 신라 초기 사회가 나름대로 독자적인 형태의 교육제도가 있었다는 연구는 이 분야의 연구자들에 의해 앞으로 밝혀져야 할 부분이다.
Ⅱ.삼국시대의 신라의 교육제도
신라가 지리적으로 백제나 고구려보다 중국과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중국식 교육제도를 뒤늦게 도입하게 되었던 커다란 이유 가운데 하나이다. 다시 말해 신라가 지리적으로 고립되었다는 뜻이다. 이런 까닭에 신라는 나름대로 독특한 교육제도를 오래도록 유지 할 수 있었는지 모른다. 이는 고구려나 백제에 없는 화랑제도를 신라만이 갖고 있었다는 게 좋은 예시일 듯싶다. 그런데 신라의 화랑도 교육은, 신라만이 가졌던 골품제도와 깊은 연관성이 있을 것 같다. 이를 뒷받침하는 것은 「삼국사기」열전에 화랑출신으로 기재되어 있는 김유신, 사다함, 김영윤, 관창. 김홈운 등이 모두 왕족이거나 귀족 출신이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신라에서 지배영역의 확대과정 속에서 각 계층의 지배세력의 편제에서 화랑제도가 활성화 되었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그런데 초기의 신라 화랑제도는 유목에서 왔던 것이 아닌가 싶다. 신라가 한반도의 동남쪽에 치우쳐 위치하였던 터라 고구려나 백제보다 농경문화 발전에 있어서 가장 뒤진 나라가 신라였다는 사실이다. 또 이는 화랑도가 말을 타고 달리면서 휘하에 많은 낭도를 거느렸다는 사실과 맞물리게 문제이다. 또한「남사」의 「신라전」에서 신라의 복을 언급하는 가운데 ‘ 바지를 입고 말을 탔다’는 내용은 시사 하는 바가 크다. 또한 ‘갑옷을 입은 병사와 소와 말 , 돼지 등의 수요도 이와 비슷하였다. 이들은 바다로 둘러싸인 산에 위의 가축을 길러 활을 쏘아 잡아먹기도 하였다.’ 라는 것이 그것이다. 이는 이때까지 신라가 농사보다 유목을 중시하였다고 해석하여도 크게 틀린 주장은 아닐 듯싶다.
그렇다고 신라의 화랑제도가 바로 유목에서 왔다는 주장을 소신 있게 펼치기에는 아직 성급한 감이 있다. 이는 신라의 화랑들이 말 타는 것을 즐겼다는 사실 하나만으로 신라의 화랑제도가 유목의 그것과 연관성이 있다는 주장은 꽤 설득력이 있는 논리다.
또한 위의 주장 외에도 우리가 잘 아는 마립간의 칭호 또한 유목의 그것과 같은 것이다, 이는 신라초기의 왕호가 유목의 그것과 같은 것이라고 해석 하는 게 옳을 듯 싶다.
신라 22대 지중왕은 마립간을 끝으로 유목 군장의 칭호를 ‘왕’으로 고쳐 강력한 군왕체제로 변화시켰던 같다. 따라서 이 같은 현상은 유목적인 형태에서 농경으로 변화는 과정에서 일어났던 현상 가운데 하나라고 해석하고 싶다.
신라가 유목기마적인 성격에서 농경적인 제도로 바뀌는 과정에서 화랑도가 하나의 교육체계로 정립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지중 마립간 이전부터 신라에 화랑도라는 게 존속 되었던 게 틀림없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화랑도의 교육 내용은 지적인 면보다 활동적이고 창의적인 면에 중점을 두었던 것은 그 시대적인 상황에서 볼 때 지극히 당연하다. 따라서 화랑도는 무술의 기포가 되는 칼쓰기, 활쏘기. 창쓰기, 말타기 등을 학습하였을 뿐만 아니라 정서도야에 필요한 시와 춤과 음악도 배웠다.
신라의 화랑을 유목제와 결부시켜 생각하는 이유는 화랑의 교육 가운데 말 타는 이야기가 구체적으로 언급되기 때문이다. 이는 화랑 교육에서 중요한 과목이 말 타고 달리는 것이다 . 그 이유는 신라의 북쪽으로부터는 항상 고구려의 위협을 받고 서쪽으로는 백제를 주축으로 한 연맹체가 끊임없이 신라를 공격해 오는 상황 속에서 신라의 자구책으로 효과적인 대응 방법은 오직 하나 뿐이기 때문이다. 즉 방어와 공략의 한 방편으로 우수한 기마 전법이야말로. 신라가 자신을 지킬 숭 lT는 제일 좋은 자위 방법이었다. 따라서 초기 화랑도의 성격은 유목에서 말 타고 활을 자유자재로 다루면 사냥하였던 집단 이라는 게 틀림없다.
「남사」에 의하면 신라는 ‘문자가 없기 때문에. 나무에 새겨서 이를 증거로 삼았다. (신라와 통하기 위하여 국가는)백제에게 통역을 부탁한 후에 통하였다.’ 라는 말은 시사 하는 바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