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철학 및 교육사 고려시대의 교육

 1  교육철학 및 교육사 고려시대의 교육-1
 2  교육철학 및 교육사 고려시대의 교육-2
 3  교육철학 및 교육사 고려시대의 교육-3
 4  교육철학 및 교육사 고려시대의 교육-4
 5  교육철학 및 교육사 고려시대의 교육-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철학 및 교육사 고려시대의 교육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교육은 고대에서 현대에 오는 동안 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수방법 등 끊임없이 변화하였다. 교육은 지배층의 통치 이데올로기에 부합해 발전해왔는데 이러한 의미에서 고려는 총체적인 교육의 급변기이다. 정치적으로 이전의 귀족중심의 체제에서 강력한 중앙집권체제와 관료제를 구축하기 위해, 왕실에서는 혁신적인 교육정책의 전환을 꾀한다. 바로 과거제를 도입하여 신분보다는 실력 위주의 관리채용을 시작한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변화한 교육정책은 당초에 의도했던 중앙 집중적인 절대왕권 구축 이외에 부수적으로, 대중의 사고와 의식체계 변화를 일으킨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이러한 의식의 변화가 현재의 우리의 정신세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제 고려의 교육에 대해 알아보자.
1. 시대적 배경
고려는 국초부터 고구려의 옛 땅을 회복하기 위하여 북진정책을 표방하고, 지방 호족 세력을 억제하고 강력한 중앙집권체제를 이룩하려하였다.
고려는 사상면에서는 불교와 유교가 공존했던 시대이다. 즉, 수신(修身)의 도(道)로서는 불교가, 치국(治國)의 도로서는 유교가 지배하였다. 국가는 불교를 장려하여 과거에도 승과를 두었고, 왕실과 귀족들도 이를 숭상하여 호국의 교(敎)로 발전하였다. 대규모의 사찰과 대장경의 간행 등이 있었으나 말기에 와서는 승려의 세속화로 인한 폐단이 컸다.
고려사회는 거듭되는 내란과 외적의 침입으로 정부는 교육에 소홀할 수밖에 없었으므로 관학이 쇠퇴한 반면 뜻있는 선비들이 설립한 사학이 이를 대신했다.
2. 관학
고려 초기의 교육제도는 신라의 제도를 계승하였으나 6대 성종 시대에 와서 새로운 교육제도의 기틀이 잡히기 시작하였다. 태조 13년에 왕이 서경(평양)에 행차하여 비로소 학교를 창립하고, 수재(과거에 급제하지 못한 자) 정악을 명하여 서학박사로 삼았다. 또 별도로 학원을 창립하여 육부의 생도를 모아 가르쳤다. 태조는 건국 초기부터 교육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으나 아직 완비된 것은 아니었다.
1) 국자감
국자감은 고려시대의 대표적 관학이자 당시 최고학부였다. 국자감의 설립 배경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는 유교 군주의 지상과제인 교화 교화란, 국민들을 유교적 이념에 따라 살아가도록 만드는 것으로서, 예부터 학교는 교화의 근원으로 인식됨으로 해서 유교 국가에서는 학교설립이 최우선적 과제였다.
참고문헌

-박의수 강승규 정영수 강선보 저「교육의 역사와 철학」동문사
-정영근 정혜영 이원재 김창환 저「교육학적 사유를 여는 교육의 철학과 역사」문음사
-김효선 안인희 정희숙 저「동양교육 고전의 이해」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정세화 외공 저 「한국교육의 사상적 이해」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