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탐색

 1  평생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탐색-1
 2  평생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탐색-2
 3  평생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탐색-3
 4  평생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탐색-4
 5  평생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탐색-5
 6  평생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탐색-6
 7  평생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탐색-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평생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탐색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최근 평생교육 분야의 성장과 더불어 평생교육에 대한 학문적인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다양한 학문적 배경, 활동 경험, 실천의 장, 가치관의 교육이념 등을 가진 사람들이 ‘평생교육학’의 우산 밑에 모이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 속에서 평생교육학의 정체성이 무엇인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오혁진, 2009: 275) 평생교육의 학문적 정체성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탐색하고자 한다.
2. 평생교육 개념의 정체성
평생교육학의 정체성과 관련된 문제에는 ‘평생교육’개념 자체로 인한 혼란도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은 필연적으로 최근까지 우리나라 관련 분야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었던 ‘사회교육’개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9년 ‘사회교육법’이 폐기되고 ‘평생교육법’이 제정된 시기를 전후하여 이론과 실천면에서 ‘사회교육’용어가 ‘평생교육’으로 대체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회교육이 평생교육으로 대체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한 학문의 대표적인 용어가 별다른 학문적 검토 없이 기계적으로 대체될 수 있는가는 심각하게 의문을 제기할 만한 문제인 것이다.(한준상,2003:57;한숭희,2009:2) 이와 관련하여 실제 현장에서는 평생교육이 보편화된 이후에도 ‘평생교육’과 별도로 ‘사회교육’에 대한 언급이 관행적으로 계속 사용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학문적인 차원에서도 ‘사회교육학’의 존립가능성을 뒷받침할 만한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 한준상(2003:57)은 평생교육학의 분화와 사회교육학의 체계화가 별도의 학문적인 활동이며 지식생성의 과정임을 보여주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한숭희(2009:7)는 관점으로서의 평생교육과 실천 영역으로서의 사회교육을 구분하고 그에 따른 이론적 접근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에 의하면 사회교육연구가 특정한 실천영역을 다루는 것이라면 평생교육론은 교육
사태를 ‘평생학습의 관점’에서 이해하려는 일종의 선택된 이론체계라고 할 수 있다.(오혁진, 2009: 276)
3. 학문적 정체성의 의미와 개념 정의
일반적으로 학문의 세계에서 개념은 정의(definition)에 의해 표현된다. 개념을 최종적인 언어로 진술해 놓은 것이 곧 정의인 것이다. 따라서 개념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실제적으로 그 개념에 대한 다양한 정의들을 분류하고 해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 개념을 정의하는 방식은 개념을 사용하는 사람의 특정한 의도와 맥락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주의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개념의 정의 방식에는 기술적 정의(記述的 定義), 조작적 정의(操作的 定義),
강령적 정의(綱領的 定義)가 있다.(Scheffler,1960:11-35;이돈희1983:73-74;이홍우1991:11-25)
먼저 기술적 정의란 다른 말로 국어사전식 정의로서 모든 사람들이 특정한 맥락에 관계없이 일상생활에서 동일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정의를 말한다. 개념의 기술적 정의는 일반인에게 누구나 받아들일 수 있는 상식적인 의미를 알려줌으로써 일상생활에서 최소한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데 기여한다. 그러나 사용자의 주관과 사용되는 맥락에 따라 그 구체적인 의미가 다소 다르게 인식될 소지가 있어 엄밀한 학문적인 정의로서는 적절치 못하다고 할 수 있다. 조작적 정의는 다른 말로 약정적 정의(約定的 定義)라고 할 수 있다. 조작적 정의는 특수한 상황에서 그 개념이 갖는 애매모호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극복하기 위해 관계자들이 특수한 의미로 약속하여 사용하는 정의를 말한다. 조작적 정의는 일상생활에서 상식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것과 다르게 과학적으로 엄밀하게 규정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과학적정의의 성격을 가진다. 자연과학은 물론 인간과 사회에 관한 개념도 그것이 과학적 연구에 등장하기 위해서는 조작적으로 정의되지 않으면 안 된다. 예를 들어 지능이 과학적 연구에 유용한 개념이 되기 위해서는 ‘머리 좋은 정도’라는 기술적 정의가 아니라 ‘지능검사의 결과를 규준표에 비추어 판단한 것’이라는 조작적 정의를 사용하는 것이 더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이홍우1991:42) 또한 강령적 정의는 다른 말로 규범적 정의(規範的 定義)라고 할 수 있으며 개념 속에 관계자들이 추구해야 할 가치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의 강령적 정의는 그 안에 교육의 목적을 시사하고 있으며 목표를 결정하고 내용을 선택하며 방법을 기용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인 규칙을 내포한다. 그러므로 강령적 정의는 교육관의 집약된 표현 이라고 할 수 있다. 이돈희1983:93) 많은 경우 교육의 강령적 정의는 현재의 교육현실에 대한 비판적인 문제의식과 대안제시의 성격을 가진다.(이홍우1991:27) 특히 교육철학이나 교육사의 경우 각 시대의 위기상황에서 교육사상가들이 제시한 다양한 교육의 강령적 정의가 많이 다루어진다. 그런데 특정한 강령적 정의가 일반인들에게 많이 받아들여질 때 지배적인 교육적 가치체계가 된다. 그리고 이러한 가치체계가 구체적으로 검증되지 않고 수용 될 때 일종의 슬로건과 같은 성격을 갖게 된다.(Komisar,1961:200) 이러한 세 가지 개념의 방식은 모두 나름대로의 의의를 가지고 있다. 관련 분야에 아직 생소한 초심자들에게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정의가 활용된다. 그리고 관련분야에서 보다 학문적으로 체계화된 연구와 실천을 위해서는 조작적정의가 활용된다. 그런 면에서 학문으로 성립하기 위한 기본적인 정의는 학자들이 서로 공유하는 조작적정의 라고 할 수 있다 한편 강령적 정의는 관련된 연구와 실천의 장에서 한 단계 더 성숙해지기 위한 새로운 문제제기의 결과로 나타난다. 이러한 강령적 정의는 현재의 관점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에 대해 새로운 대안적 관점을 제공함으로써 학문분야에서 새로운 학파를 형성할 수도 있다. 현재 일반교육학의 경우 이와 같은 교육에 관한 세 가지 부류의 정의 방식들이 혼재되어 있다. 이는 평생교육학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평생교육학 분야도 학문적으로 자리를 잡으려면 현재의 평생교육개념을 세 가지 정의 방식에 따라 분류하고 그 각각의 위상을 정립해야 한다. 아직도 ‘평생교육’에 대해 생소한 일반인들의 이해를 얻기 위해 분명한 기술적 정의가 활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평생교육의 학문적인 탐구를 위해서는 모든 전문가들이 공유할만한 합리적인 조작적 정의가 필요하다. 한편 여러 전문가들이 평생교육의 올바른 이념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강령적 정의들도 소중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강령적 정의는 평생교육실천의 이념적인 방향성을 제공해 줄 수 있지만 곧 그 자체가 평생교육학 성립의 기초가 될 수 없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4. “평생교육” 개념의 정의 유형별 학문적 검토
평생교육학의 성립이 결국은 ‘평생교육이란 무엇인가?’ 라는 질문과 더불어 시작된다고 할 때 이 글에서는 평생교육학에 대한 접근방식들을 평생교육의 정의방식과 관련지어 고찰해 보고자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평생교육학의 정체성에 관한 혼미는 결국 ‘평생교육’ 개념의 혼미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개념상의 혼미는 개념을 정의하는 방식의 차이를 이해하지 못
참고문헌
참고문헌
오혁진(2009). 개념 정의 분석을 통한 평생굥규학과 사회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탐색
김신일, 박부권 편(2005). 학습사회의 교육학
이돈희(1985). 교육철학개론
이홍우(1991). 교육의 개념
한숭희(2001b). 평생학습과 학습생태계
한숭희(2006). 평생교육론: 평생학습사회의 교육학
한준상(2001). 학습학
Elias,J.L.andMerriam,S.(1994). Philosophicalfoundationsofadulteducation.Krieger
Publishe
Komisar, B. P.(1961). The logic of slogans. Language and Concepts in
Education.Chicago:RandMcNallyandCompany.19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