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화]담화 주제, 담화와 담화표지, 담화와 교수담화, 담화와 교실담화, 담화와 등위접속문, 담화와 담화윤리학, 담화와 탁상담화, 담화 연구사례

 1  [담화]담화 주제, 담화와 담화표지, 담화와 교수담화, 담화와 교실담화, 담화와 등위접속문, 담화와 담화윤리학, 담화와 탁상담화, 담화 연구사례-1
 2  [담화]담화 주제, 담화와 담화표지, 담화와 교수담화, 담화와 교실담화, 담화와 등위접속문, 담화와 담화윤리학, 담화와 탁상담화, 담화 연구사례-2
 3  [담화]담화 주제, 담화와 담화표지, 담화와 교수담화, 담화와 교실담화, 담화와 등위접속문, 담화와 담화윤리학, 담화와 탁상담화, 담화 연구사례-3
 4  [담화]담화 주제, 담화와 담화표지, 담화와 교수담화, 담화와 교실담화, 담화와 등위접속문, 담화와 담화윤리학, 담화와 탁상담화, 담화 연구사례-4
 5  [담화]담화 주제, 담화와 담화표지, 담화와 교수담화, 담화와 교실담화, 담화와 등위접속문, 담화와 담화윤리학, 담화와 탁상담화, 담화 연구사례-5
 6  [담화]담화 주제, 담화와 담화표지, 담화와 교수담화, 담화와 교실담화, 담화와 등위접속문, 담화와 담화윤리학, 담화와 탁상담화, 담화 연구사례-6
 7  [담화]담화 주제, 담화와 담화표지, 담화와 교수담화, 담화와 교실담화, 담화와 등위접속문, 담화와 담화윤리학, 담화와 탁상담화, 담화 연구사례-7
 8  [담화]담화 주제, 담화와 담화표지, 담화와 교수담화, 담화와 교실담화, 담화와 등위접속문, 담화와 담화윤리학, 담화와 탁상담화, 담화 연구사례-8
 9  [담화]담화 주제, 담화와 담화표지, 담화와 교수담화, 담화와 교실담화, 담화와 등위접속문, 담화와 담화윤리학, 담화와 탁상담화, 담화 연구사례-9
 10  [담화]담화 주제, 담화와 담화표지, 담화와 교수담화, 담화와 교실담화, 담화와 등위접속문, 담화와 담화윤리학, 담화와 탁상담화, 담화 연구사례-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담화]담화 주제, 담화와 담화표지, 담화와 교수담화, 담화와 교실담화, 담화와 등위접속문, 담화와 담화윤리학, 담화와 탁상담화, 담화 연구사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담화의 주제

Ⅱ. 담화와 담화표지

Ⅲ. 담화와 교수담화

Ⅳ. 담화와 교실담화

Ⅴ. 담화와 등위접속문

Ⅵ. 담화와 담화윤리학

Ⅶ. 담화와 탁상담화

Ⅷ. 담화의 연구 사례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담화의 주제

‘담화 주제’는 국어교육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주제’ 개념에 해당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담화·텍스트 언어학 등에서 ‘topic’이나 ‘theme’을 ‘주제’라고 번역 차용하기도 하나, 이들은 각각 ‘문장 화제, 담화 화제’, ‘문장 주제, 담화 주제’로 구분됨을 밝혔다. 특히 문장 화제가 갖는 ‘대하여성(aboutness)’은 담화 화제에도 확대 적용될 수 있는 특성이라는 점과, 담화 화제의 확인이 주제 파악에 유용하기는 하나 완전한 것이 못 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기존의 ‘주제 구조’ 혹은 ‘주제 전개’ 이론은 엄격한 의미에서 모두 ‘화제 구조’에 해당하기 때문에, ‘담화 주제’에 대한 체계적 논의가 필요하다.
주제라는 용어가 얼마나 다의적으로 사용되는가는 다음과 같은 사전적 정의를 통해서도 단적으로 드러난다.
① 주장되는 제목이나 문제
② 사상이나 예술 작품의 으뜸이 되는 제재나 중심 사상
③ 어떤 음악의 중심이 되는 가락
이러한 주제의 사전적 정의는 주제가 ‘제목, 제재, 중심 사상’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이는 일상적인 주제 개념과도 일치하고 있다. 즉, 다음 예에서 주제는 ‘화제, 제재’의 의미에 가깝게 쓰이고 있음을 보여 준다.

(1) 정초 음식의 주제는 역시 흰떡이다.(국어 중 3-2)
(2) 나는 ‘외가’라는 주제의 수필을 청탁받고 무엇을 쓸 것인가 고민 중이다.
(국어 중 2-1)

그러나 국어교육 영역에서 주제는 일반적으로 ‘중심내용 혹은 중심 생각(main idea)’으로 정의되고 있다. ‘주제(theme)란 덩이글의 내용을 통합시키는 중심 의미’라는 정의가 바로 대표적인 예가 될 것이다. 그런데 주제를 ‘중심내용’이라거나 ‘중심 생각’이라고 설명하는 경우, 각각의 관점의 차이를 드러내 준다. 즉, 이 둘은 각각 ‘글의 중심내용’, ‘필자의 중심 생각’으로 좀더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 김익원, 사상속의 사상, 서울 : 성광문화사, 1985
▷ 김태엽, 국어 담화표지의 유형과 담화표지되기, 우리말글 19, 우리말글학회, 2000
▷ 김상희, 국어과 수업담화 분석을 통한 교수 전략 연구-말하기·듣기, 언어영역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 서경희·홍종화, 이게 바로 그거야 - 원근지시에서 태도지시로, 담화와 인지 6-2, 담화인지언어학회, 1999
▷ 장석진, 통합 문법론: 담화와 화용,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4
▷ 콜버그, 김봉소·김민남 역, 도덕발달의 철학, 교육과학사,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