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 교육론] 고려가요 교육의 현안과 교육방안

 1  [고전시가 교육론] 고려가요 교육의 현안과 교육방안-1
 2  [고전시가 교육론] 고려가요 교육의 현안과 교육방안-2
 3  [고전시가 교육론] 고려가요 교육의 현안과 교육방안-3
 4  [고전시가 교육론] 고려가요 교육의 현안과 교육방안-4
 5  [고전시가 교육론] 고려가요 교육의 현안과 교육방안-5
 6  [고전시가 교육론] 고려가요 교육의 현안과 교육방안-6
 7  [고전시가 교육론] 고려가요 교육의 현안과 교육방안-7
 8  [고전시가 교육론] 고려가요 교육의 현안과 교육방안-8
 9  [고전시가 교육론] 고려가요 교육의 현안과 교육방안-9
 10  [고전시가 교육론] 고려가요 교육의 현안과 교육방안-10
 11  [고전시가 교육론] 고려가요 교육의 현안과 교육방안-11
 12  [고전시가 교육론] 고려가요 교육의 현안과 교육방안-12
 13  [고전시가 교육론] 고려가요 교육의 현안과 교육방안-13
 14  [고전시가 교육론] 고려가요 교육의 현안과 교육방안-14
 15  [고전시가 교육론] 고려가요 교육의 현안과 교육방안-15
 16  [고전시가 교육론] 고려가요 교육의 현안과 교육방안-16
 17  [고전시가 교육론] 고려가요 교육의 현안과 교육방안-17
 18  [고전시가 교육론] 고려가요 교육의 현안과 교육방안-18
 19  [고전시가 교육론] 고려가요 교육의 현안과 교육방안-19
 20  [고전시가 교육론] 고려가요 교육의 현안과 교육방안-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 교육론] 고려가요 교육의 현안과 교육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고려가요의 교육 실태 조사
1. 1. 학생 설문조사
1. 1. 1. 설문조사의 목적
1. 1. 2. 설문조사의 결과
1. 1. 3. 설문조사의 분석
1. 2. 교사 인터뷰

2. 고려가요 교육의 현안
2. 1. 교과서 제재 분석
2. 1. 1. 수록 작품과 경향
가.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국민 기본 공통 과목)
나. 심화 선택 과목
2. 1. 2. 학습활동 분석
가. 청산별곡
나. 동동
2. 2. 시사점 및 현안

3. 제재 선정의 기준
3. 1. 문학 교육 제재 선정의 기준 검토
3. 2. 고려가요 제재 선정의 기준
3. 2. 1. 고려가요의 특수성을 담지하는가
가. 민요와 궁중악의 양면성
나. 남녀상열지사
다. 반복 구조 - 연장체와 후렴구
3. 2. 2. 문학 교육의 목표에 부합하는가 - 학습자 측면을 중심으로
가. 흥미와 이해도
나. 창의적, 비판적 접근 - 해석상의 다양성 문제
3. 3. 기준에 따른 제재 검토
3. 3. 1. 작품 선정 - 「청산별곡」, 「쌍화점」, 「동동」
가.「청산별곡」의 교육 내용
나.「쌍화점」의 교육 내용
다. 「동동」의 교육 내용

4. 고려가요의 교수-학습 과정안
4.1 ‘쌍화점’의 교수-학습 과정안

5. 참고문헌

본문내용
3. 제재 선정의 기준


3. 1. 문학 교육 제재 선정의 기준 검토

여기서는 고려가요 중 어떤 작품을 교육의 장으로 가져올 것인가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고 실제로 작품을 선정하고자 한다. 먼저 문학 교육에 있어 제재 선정 기준에 대한 논의를 간략히 살펴본 후 이를 참조하여 고려가요 교육을 위한 제재 선정의 기준을 마련하도록 하겠다.
유영희(2003)에서는 7차 교육과정에 기반한 교과서 문학 제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교과서 문학 제재 수용의 바람직한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문화적 문식성 저자는 박인기(2002)의 논의를 가져와, ‘교육받은 사람들의 공동체(또는 뉴미디어에 의해서 커뮤니티화되는 현대인들)에 의해 공유되는 ’텍스트 해석의 구조‘를 아는 것까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문화적 문식성의 외연을 제시하면서 작품 선정에 대한 세부 기준이 구체화되어야 한다고 말한다.(유영희, 2003:35)
을 기를 수 있는 작품이어야 하고 둘째, 감동을 주는 작품이어야 하며 셋째, 다의적 독서가 가능한 작품이어야 하고 넷째 초인지 학습을 유도하는 것이어야 한다 유영희, 「교과서 문학 제재의 수용 양상 및 특성」, 『문학교육학』제 11호, 한국문학교육학회, 2003.
. 그러나 막상 논문에서는 이 각각의 기준에 대한 상세한 논의는 생략하고 있어 일반적인 지침 이상의 함의를 갖지는 못하고 있다. 다만 학습자의 정서에 공명할 수 있는 작품이어야 한다는 점(감동), 해석의 다양성이 이해와 감상의 중심에 있어야 한다는 점은 고려가요 교육에서도 중요하게 짚어야 할 부분이다.
김창원(2006)에서는 7차 문학 교과서를 검토하면서 제재 선정에 있어 문학적 가치와 교육적 가치의 긴장이 어떻게 접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인가를 모색한다. 여기서는 18종 교과서 대부분에 실려 있는「가시리」를 예로 들어 교과서 제재 수록에 작용한 기준을 추출하고 있는데, 그것은 시 텍스트로서의 가치(운율, 형식, 화자, 목소리), 문학사적 중요성, 한국 문학의 특질, 문학의 생활화 관련 가치이다 김창원, 「문학교육의 성격과 문학 교과서의 지향」, 『국어교육학연구』제 27집, 국어교육학회, 2006.
. 즉 교과서 집필진들이 제재를 선정할 때 이 네 가지를 주축으로 삼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저자는 문학적 가치가 상대적으로 강조되어 왔던 것을 비판하며 수요자(학습자)의 체험과 향유가 문학 교육에서 더욱 부각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논문을 통해 문학 제재 선정의 일반적 기준이 무엇인지를 확인할 수 있었던 점, 그리고 최근까지도 특히 고전 문학에 있어서는 학습자들의 흥미와 정서가 제대로 고려되지 않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던 점이 수확이다.
한편 조희정(2008)은 해방 이후 공교육에서의 고전 정전 조희정(2008:302)에서는 교과서에 반복 수록되면서 고전 제재들이 정전으로서의 지위를 획득하게 되는 것으로 전제하고 있다.
목록을 살펴보면서 그 기준을 추출하고 있는데, 무엇보다 우선적인 기준으로 작동한 것은 ‘한국문학사적 의의’로서 이것은 시가류의 경우 특정 갈래의 특징을 담지한 대표 텍스트를 선정하도록 유도하였다고 본다 조희정, 「고전 정전의 재검토」, 『문학교육학』제 25호, 한국문학교육학회, 2008.
. 고전 시가에서는 사대부 문인들의 텍스트가 반복 채택되었으며, 고려가요의 경우에는 전 시기에 걸쳐 상저가와 청산별곡만 실렸다는 점(심화 문학 과목 제외)도 기억해 둘 만하다. 5차 교육과정기 이후 새롭게 추가된 관점으로 언어 활동과의 연계가 있고, 7차 교과서에서는 생활사적 관점이 제재 선정의 기준으로 추가되었다고 한다. 저자는 정전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역시나 학습자 조건이 중요하게 부각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다만 이때의 학습자
참고문헌
교육인적자원부,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김창원, 「문학교육의 성격과 문학 교과서의 지향」, 『국어교육학연구』제 27집, 국어교육학회, 2006.
성기옥․김은미, 「고려속요의 문학교육적 제도 방안(고려속요에 나타난 해석의 다양성을 중심으로)」, 『교과교육학연구 3권 1호,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1999.
성기옥․손종흠, 『고전시가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6, 106-120면.
염은열, 「교육의 관점에서 본 고전시가 해석의 다양성-를 사례로」,『한국시가연구』제 24호, 한국시가학회, 2008.
유영희, 「교과서 문학 제재의 수용 양상 및 특성」, 『문학교육학』제 11호, 한국문학교육학회, 2003.
임주탁, 「 연구의 국어교육에의 활용 방안」, 『국어교과교육연구』5, 국어교과교육학회, 2003, 269면.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2』, 지식산업사, 2005(제4판), 127-130면.
조희정, 「고전 정전의 재검토」, 『문학교육학』제 25호, 한국문학교육학회, 2008.
최미정, 「고려속요의 세계관과 미의식-고행적 사랑의 미학적 가능성」, 『국문학 연구』제 5호, 국문학회,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