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62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죽음, 중간 상태 그리고 부활 문제를 중심으로 재평가해 본 기독교의 종말론
제해종 ( Je Haejong )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2016] 제46권 135~174페이지(총40페이지)
본 연구는 죽음, 중간 상태 그리고 부활을 중심으로 한 기독교 종말론을 재평가하고 있다. 전통적 기독교는 인간이 죽는 후 천국이나 지옥으로 곧바로 간다고 믿어왔지만, 이것은 성서에 기초한 사상이 아니다. 이것은 사람이 죽을 때, 그의 몸은 죽어도 그의 영혼은 생존한다고 가르치는 헬라의 영혼불멸사상에 기초한 것이다. 하지만 성경에 따르면 영혼은 사망 후 생존할 수 있는 일종의 본질적 실체라기보다는 인간의 비물질적 국면이다. 인간의 육체와 영혼은 분리될 수 있는 실체들이 아니라 함께할 때만 기능할 수 있는 통일체이다. 한개인의 죽음은 그의 일부에만 임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 전체에 임하는 경험이다. 전인적 인간의 죽음에 대한 지식의 결여는 중간상태에 대한 온갖 종류의 오해를 양산한다. 사망 이후에도 영혼이 생존한다는 믿음은 가톨릭의 연옥설, 웨슬리의 독...
TAG 죽음, 중간 상태, 부활, 영혼불멸설, 영혼수면설, death, intermediate state, resurrection, immortality of the soul, soul sleep
예수의 직무 연구 ― 바리사이파 사람 시몬 집에서의 경우
강응섭 ( Kang Eung-seob )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2016] 제46권 101~133페이지(총33페이지)
`언어활동처럼 짜인 무의식`은 주체의 행동에 드러난다. 정신분석의 이런 주장에 근거하여, 예수의 직무를 다룬 성서 한 단락을 해석하였다. 필자가 선택한 단락은 누가복음 7장 36-50절이다. 바리사이파 사람 시몬의 집에 초대받은 예수와 그를 초대한 시몬 사이에서 발생한 예수의 사역을 정신분석의 관점으로 풀어보았다. 우리는 이 단락을 세 겹으로 이해했다: 단락 이전(텍스트 밖의 예수), 본 단락(텍스트 안의 예수), 단락 이후(텍스트 안팎의 예수) 바리사이파 사람 시몬이 어떤 감동에 의해 예수를 식사 자리에 초대했지만 그가 예수를 다룬 방식은 환대가 아니라 박대였다. 왜 그는 그런 행동을 한 것일까? 이것은 신약성서의 여러 단락에서 보여주듯이, 유대교와 예수의 갈등, 바리사이파와 예수의 갈등에서 비롯된다. 이런 갈등의 상황에도 불구하고, 시몬은 왜 예수...
TAG 인성, 종교성, 예수의 사역, 주의 능력-성령의 능력, 공적(公的) 직무-공적(共的) 직무, Personality, Religiosity, Ministry of Jesus, the power of the Spirit-the power of God, Official Affair-Public Affair
아동학대 시대의 어린이신학
박영식 ( Park Young-sik )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2016] 제46권 215~245페이지(총31페이지)
아동학대와 아동인권 유린의 시대에 직면하여 오늘날 기독교 신학이 어린이의 인권 보호와 신장을 위해 근원적으로 수행해야 할 작업은 무엇일까? 기독교 신학은 단순히 윤리적 지시나 강령만을 만들어 낼 것이 아니라, 근원적으로 어린이와 함께 할 수 있는 신학적 작업을 구성해야 하지 않을까? 이와 함께 어린이에 대한 근원적인 사고의 변혁을 위해 기독교 신학은 신학적 어린이론을 재고해야 하지 않을까? 본 논문은 이와 관련해서 독일 교육신학계에서 전개되고 있는 어린이신학을 소개함으로써 어린이를 신학에 수용하는 일이 어떻게 가능한지, 곧 어린이신학의 방법론을 살펴본 다음, 칼 라너가 제시한 어린이에 관한 신학적 본질규정을 통해 신학적 어린이론을 수용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의 관점을 염두에 둔 교의학적 작업을 소개함으로써 어린이신학의 향후 가능성을 전망하고자 한다...
TAG 어린이신학, 아동기신학, 어른들의 신학, 아동학대, 어린이 신학자, Theology of Children, Theologie der Kindheit, Theology of adults, Child abuse, Child as theologian
민중신학과 체계이론의 대화 : 체계이론의 관점에서 본 민중신학의 생명론 연구
전철 ( Chul Chun )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2016] 제46권 247~274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는 민중신학과 체계이론의 간학문적인 대화 가능성을 타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민중신학은 고난의 현장에서 독창적으로 구현된 한국적 신학이다. 민중신학과 체계이론의 만남은 두 가지 차원에서 모색될 수 있다. 첫 번째, 두 사유 모두 “현재성”의 문제에 대한 방법론적인 모색을 깊이 하였다는 점이다. 두 번째, 두 사유 모두 “생명”의 문제를 체계의 관점에서 접근하였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제기 속에서 본 연구는 다음의 네 가지 주제를 검토하였다. 첫째 민중신학과 체계이론이 보편(universality)와 개별(Individuality)의 관계를 어떻게 다루었는가. 둘째, 두 이론은 중심(center)과 주변(margin)의 관계를 어떻게 다루었는가. 셋째, 두 이론은 생명의 문제를 사회와 체계의 관점에서 어떻게 다루었는가. 넷째, 두 이론은 고난과 연...
TAG 민중신학, 체계이론, 생명, 시스템, 연대성, 사회, 니클라스 루만, Minjung Theology, System Theory, Life, System, Solidarity, Society, Niklas Luhmann
공적신학의 주요 초점과 과제
윤철호 ( Youn Chul Ho )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2016] 제46권 175~214페이지(총40페이지)
최근에 신학의 공공성과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공적신학이 한국교회와 신학계의 주된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공적신학에 대한 관심은 한국사회로부터 신뢰를 상실하고 침체에 빠져있는 한국교회의 위기상황 속에서 세상을 향한 교회의 공적, 사회적 책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증대를 반영한다. 한국교회가 사회로부터 불신을 당하게 된 주된 원인 가운데 하나는 교회가 사회와 소통하지 못하고 고립된 채 배타적인 태도를 가지고 자신만의 폐쇄적인 울타리 안에 안주하면서 이기적인 자기만족을 추구하는 집단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논문의 주제는 제목 그대로 공적신학의 주요 초점과 과제이다. 이 논문에서는 첫째, 공적신학의 정의에 대하여 소개하고, 둘째, 공적신학의 신학적 근거가 예수 그리스도가 선포하고 실천한 하나님나라와 보편적 하나님의 실재에 있음을 밝히...
TAG 공공성, 세계화, 다원주의, 소통적-변증적, 실천적-변혁적, public(ness), globalization, pluralism, communicative-apologetic, practical- transformative
칼 바르트 신학 속에 내재된 교회와 사회의 관계성에 대한 현대신학의 제(諸)이해: 존재론적 계층 구조로 읽기
오성욱 ( Oh Sung Wook )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2016] 제45권 7~46페이지(총40페이지)
본 논문은 북미 칼 바르트(Karl Barth) 신학 연구가들 사이에서회자되고 거명되는 ``바르트의 교회와 사회``에 대한 다양한 해석들중에서 대표적인 해석을 살펴보고, 각각의 해석들이 지니고 있는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필자는 "존재론적 계층 구조로 읽기"를 제안한다. 바르트가 이해한 교회와 사회에 대한 관계성은 다양한 해석의여지를 남겨 놓고 있다. 그래서 헐버그(Will Herberg)는 상응의 관계로, 마르크바르트(Friedrich-Wilhelm Marquardt)는 갈등과 대립의 관계로, 요다(John Howard Yoder)는 배타적인 무관심(평화 공존)의 관계로 그리고 벤더(Kimlyn J. Bender)는 비대칭적 기독론중심주의의관계로 바르트의 교회와 사회를 해석하고 있다. 상술한 학자들이 제출한 해석은 상당한 강점을 지...
TAG 존재론적 계층 구조, 교회와 사회, 칼 바르트, 기독론 중심주의, 교회론 중심주의, Ontological Hierarchy, Church and Society, Karl Barth, Christocentrism, Ecclesio-centrism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에 담긴 성화의 의미에 대한 고찰
이윤석 ( Lee Yoon-seok )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2016] 제45권 47~83페이지(총37페이지)
본 논문은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들이 성화에 대해 어떠한 내용을 진술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신앙고백서, 대요리문답, 소요리문답을 고찰하였으며, 그 주요한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의 성화는 성령에의해,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통하여, 중생자가 전인적으로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실제적이고 개인적으로 새로워지게 하는 하나님의 사역이다. 이 변화는 결정적 측면과 점진적 측면이 있으며, 이생에서는 완성되지 않으나, 내주하시는 성령의 은혜로 잔존하는 죄를이길 수 있다. 둘째, 성화 관련 이슈 중 네 가지를 검토하여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에서 성화의 주체는 하나님, 성화의 방식은 내주하시는 성령의 은혜의 주입, 성화의 모범은 하나님의 형상, 성화의 양상은 주로 점진적이란 결론을 얻었다. 셋째, 성화와 다른 두 가지 주제들...
TAG 성화, 하나님의 형상,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요리문답, sanctification, image of God,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Catechism
분단의 상황을 넘어선 그리스도의 현실, 칼 바르트 신학의 기여
이상은 ( Lee Sang-eun )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2016] 제45권 85~124페이지(총40페이지)
반세기가 넘는 분단의 현실 속에 통일의 미래를 지향하는 한국교회는 대립과 분열을 넘어선 화해의 신학을 지향하고 통일의 초석을 놓아야 할 요청을 받고 있다. 이러한 입장에서, 2차 세계대전이끝난 후 동-서 냉전이 진행되던 가운데 칼 바르트의 화해론적 신학은 우리의 신학적 현실에 중요한 지침을 준다. 냉전 초기 바르트의신학의 행로에 대한 많은 질문과 비판이 있었다. 그로부터 반공주의적 비판을 기대했던 많은 이들이 바르트의 중립적 행동에 비판을 가하기도 했으며, 바르트 스스로도 특정 진영논리에 휘말리기를 거부했다. 그러나 그의 신학은 이미 어떤 한 진영의 논리로 묶어둘 수 없는 성격을 담지하고 있었다. 바르트에게 있어서 중요한 것은 오히려인간의 어떠한 현실에 구애되지 않는 그리스도의 화해론적 현실이었다. 여기에서 우리는 바르트가 전개했던 그리스도의 화해론 현...
TAG 칼 바르트, 다름슈타트 선언, 바르멘 선언, 분단상황, 화해, Karl Barth, Darmstadt Declaration, Barmen Declaration, Situation of the divided nation, Reconciliation
페미니스트 비판과 해석학적 지평의 전환-엘리자베스 쉬슬러 피오렌자를 중심으로
진미리 ( Jin Miri )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2016] 제45권 125~169페이지(총45페이지)
이 논문은 엘리자베스 쉬슬러 피오렌자의 이론에 있어서 핵심을 이루는 페미니스트 비판과 해석학적 지평의 전환에 관해 그의 개념들을 설명하고, 전환에 있어 문제점을 발견하여 비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페미니스트 비판과 여성교회에서 여성의 에클레시아와 비판적 페미니스트 레토릭으로의 전환은 쉬슬러 피오렌자의 학문적 여정에 있어 전기와 후기를 나누는 기준점이 된다. 전기 개념인 페미니스트 비판은 가부장제를 해체하고, 페미니스트적으로 역사를 재해석 하는 것에 탁월하지만, 그의 자기 증명적인 근대적인속성 때문에 보편적이거나 결정론적인 방법으로 보이기 쉽다. 또한비판의 해석학적 지평인 여성교회는 민주적인 방법으로 해석의 결과가 산출되었다고 자신할 수 있을 정도로 성숙하게 발전하지 못한개념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쉬슬러 피오렌자는 여성의 에클레시아와 비판적 페미...
TAG 페미니스트 비판, 여성교회, 여성의 에클레시아, 비판적 페미니스트 레토릭, Feminist critique, Women-Church, the Ekklesia of Wo/men, the Critical Feminist Rhetoric
슈바이처 사상 다시 보기
정미현 ( Chung Meehyun )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2016] 제45권 171~216페이지(총46페이지)
슈바이처는 아프리카의 성자로 잘 알려져 있는 위인이지만, 그가 예수의 생애를 본격적으로 연구한 신학자라는 사실은 잘 알려져있지 않다. 본 논문은 그의 신학사상을 고난, 하나님의 나라, 선교, 생명 경외의 차원에서 검토하고, 그의 사상을 한국기독교의 상황에실제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몇가지 제언을 하는 것으로 마무리 되고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범위는 그의 설교집, 자서전, 그 외 단편적인 논문들을 위주로 하고 있다. 연구의 목표는 슈바이처가 의료 선교사의역할모델로만 파악 될 것이 아니라, 하나님 나라와 고난의 문제에대한 치열한 질문을 한 신학자였음을 부각시키며, 그의 윤리 사상의출현동기와 생명에 초점을 맞춘 그의 선교의식과 사상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며, 강조하고자 하는 것이다. "윤리적 신비주의"에 바탕을 둔 슈바이처의 사상은 한국 개신교의 보편적 논의에서...
TAG 생명의 경외, 종말론, 슈바이처, 윤리적 신비주의, 고난, 지속가능성, reverence for life, eschatology, Schweitzer, ethical mysticism, suffering, sustainability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