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환경철학회20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탁방 : 유럽의 ``산(山)``과 ``수(水)``를 둘러보고
최재목  한국환경철학회, 환경철학 [2012] 제13권 125~133페이지(총9페이지)
식물윤리학의 원리 -식물윤리학의 근거 정립을 위한 시론적 연구-
김남준 ( Nam Joon Kim )  한국환경철학회, 환경철학 [2011] 제12권 1~34페이지(총34페이지)
본고는 식물을 도덕적 논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는 ``윤리학적 근거``와 ``생물학적 근거``를 밝힘으로써 인간의 식물에 대한 도덕적 태도 및 행위 원리를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식물윤리학의 윤리학적 근거는 인간의 도덕성과 존엄성 실현을 목적으로 하는 ``약한 인간중심주의``와 자연 전체를 질서정연한 좋은 세상으로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삼으면서 인간의 공작용을 강조하는 ``전일주의``에 의해 정립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식물윤리학의 생물학적 근거는 개별 식물이 생물학적 종의 특성에 부합하는 정상적이고 생명력 넘치는 최적의 생명 활동의 상태로서 ``번성`` 개념에서 찾아질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고는 이러한 식물윤리학의 윤리학적 근거와 생물학적 근거를 토대로 식물윤리학의세 가지 원리로서 ``정의의 원리``, ``악행 금지의 원리``,...
TAG 식물, 식물윤리, 번성, 정의의 원리, 악행 금지의 원리, 선행의 원리, plant, ethics of plants, flourishing, principle of justice, principle of nonmaleficence, principle of benevolence
식물의 도덕적 지위에 관한 연구 -성장과 스트레스개념을 중심으로-
변순용 ( Sun Yong Byun )  한국환경철학회, 환경철학 [2011] 제12권 35~64페이지(총30페이지)
이 논문은 식물이나 식물에 대한 인간의 행동에서 "도덕유추적인 속성"들을 찾아보는 것이 가능할 것이라는 문제인식에서부터 출발하여, 식물윤리의 원칙들을 정초하기 위한 출발점을 식물의 성장능력에서 찾고자 한다. 가장 기본적인 사실은 식물의 삶 내지 삶의 실현이 인간의 영향에 의해 해쳐지거나 촉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식물에 대한 도덕적인 고려가 인간의 의무의 범위 내에 들어오기 어려운 대상이라는 것이 분명하지만, 식물의 도덕적 지위에 대한 것은 생태윤리적인 담론 안에서 어떤 방식으로든 고려될 수 있고 또 고려되어야 하는 물음이다. 식물의 도덕적 지위나 식물을 도덕적 고려의 대상에 포함해야 한다는 주장의 핵심적인 부분은 식물의 내재적 가치를 인정하느냐의 여부이다.
TAG 식물윤리, 생태윤리, 식물의 도덕적 능력, 성장, 식물스트레스, 존재적 책임, plant-ethic, ecological ethics, growth, stress, ontological responsibility
식물 윤리적 측면에서 본 원예치료 패러다임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곽혜란 ( Hye Ran Kwack ) , 장유진 ( Eu Jean Jang )  한국환경철학회, 환경철학 [2011] 제12권 65~90페이지(총26페이지)
원예치료와 관련된 패러다임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여 최근 생명체로서의 식물에 대한 인간의 도덕적 책임, 보호할 의무 등을 제시하고 있는 식물윤리분야 최신 연구이론과 이를 바탕으로한 이론 틀을 이미 제시하고 있는 숲·환경교육 패러다임을 연계하여 원예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중간생략). 이를 위한 근접 연구분야로 식물윤리의 연구이론과 행동원리-정의의 원리, 악행금지의 원리 들을 추출해 내어 식물을 대하는 인간의 개념적인 행위와 태도에 관한 정당한 방향을 수립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식물의 다양한 속성인 생장, 발달, 적응 및 노화와 같은 식물생활사를 원리로 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보완해야 할 발전적 측면의 패러다임으로 접목해야 함을 주장한다. 이와 더불어 인간-식물 관련 분야로 패러다임 분석틀...
TAG 원예치료, 식물 윤리, Horticultural therapy, Plants ethics
풍수와 환경문화(1) -형기론을 중심으로-
안건훈 ( Geon Hoon Ahn )  한국환경철학회, 환경철학 [2011] 제12권 91~113페이지(총23페이지)
풍수지리에서는 여러 요소들 가운데서도 산과 물이 주로 언급된다. 산이 건강한지 다시 말해 용(龍)이 활기 있게 살아 있는지, 물이 감싸면서 흐르는 지가 중요하다. 특히 물의 흐름이 중요시된다. 물의 경우는 감싸듯 들어오는 모습이 길게 보이고 나가는 모습이 보이지 않거나 작게 보이는 그런 곳이 좋다. 바람을 감추고 물을 얻는 것[藏風得水]이 풍수의 수법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풍수는 나라나 집을 경영하는데 필요한 국가경영의 학이기도 했다. 고려시대는 조선시대와 달리 승려들에 의한 형기론이 주류를 이루면서 산세나 물의 흐름을 중시하는 경향이 짙었다. 형기론은 과학성을 함축하는 경우도 있지만 필반(必伴)하지는 않는다. 형기풍수에는 과학적이라기보다는 상식이나 믿음에 보다 가까운 것이 많다.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경향성과 일치하는 경우도 있고, 그것에 근거하여 통...
TAG 환경문화, 풍수, 형기론, 명당, 합리성, environmental culture, pungsu(fengshui), hyoung ch`i theory, comfortable site, reasonableness
탄소무의식과 분열분석 -가타리의 분열분석적 메타모델화를 중심으로-
신승철 ( Seung Chul Shin )  한국환경철학회, 환경철학 [2011] 제12권 115~145페이지(총31페이지)
저탄소녹색성장이라는 위선적인 정부의 슬로건에도 불구하고, 자본주의가 만들어낸 스테레오타입화된 삶은 전혀 바뀌지 않고 있다. 탄소무의식은 탄소중독적 삶을 형성하는 무의식적 배치를 의미한다. ``아주 매끄럽게 달려가는 자동차, 빛깔 좋은 고기, 환한 불이 켜져 있는 아파트, 일회용으로 가득찬 상품들`` 이러한 이미지-영상들이 탄소무의식을 생산하며, 소비하게끔 하는 메커니즘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TV, 영화, 아파트, 자동차, 육식 등의 무의식적 배치를 펠릭스가타리의 분열분석적 지도제작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조망한다. 가타리의 분열분석의 방법론에 따라, TV가 고립되고 분리된 일상적 삶에 화음과 리듬을 부여하고 자본주의가 안전하고 평화롭다는 무의식을 주조하는 것, 영화가낯선 곳으로 튕겨져 나가는 탈영토화 효과를 가지면서도 상업영화에 있어서 탄소무의식적 ...
TAG 탄소무의식, 탄소발자국, 분열분석, 기계적 무의식, 주체성 생산, carbon-unconsciousness, Carbon footprint, schizo-analysis, machinic unconsciousness, the production of subjectivity
4대강과 숙의민주주의
김명식 ( Myung Sik Kim )  한국환경철학회, 환경철학 [2011] 제12권 148~182페이지(총35페이지)
이글은 4대강 논쟁을 분석하고 대안으로 숙의적 접근을 제안한다. 4대강 사업은 학계와 시민사회에 숱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이글은 이런 논란과정에 나온 여러 담론을 분석한다. 그래서 개발담론에 맞서 나온반대담론을 토건국가론, 생명담론, 인문문화담론, 생태담론으로 유형화한다. 그리고 경부운하와 한반도대운하, 나중에는 4대강 살리기로 변화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이런 변화가 있은 이유는 국민적 저항도 있었지만, 운하사업으로 인한 편익이 불확실하고 미미해 경제성을 확보하기 어려워 운하사업에서 치수사업으로의 전환이 필요했다고 분석한다. 그리고 이 논란과정에서 다루어져야 했지만 다뤄지지 않는 몇가지 논점을 제기한다. 그것은 물의 윤리, 통합적 수자원관리, 적응형 관리이다. 이것들은 각각 가치의 다양성, 다척도 통합관리의 필요성, 불확실성에 대한 대비라는 숙제를 던져준...
TAG 4대강, 한반도대운하, 경부운하, 물의 윤리, 통합적 수자원관리, 적응형관리, 비용편익분석, 숙의민주주의, 심의민주주의, Four Rivers, Grand Korean Waterway, Seoul-Busan Waterway, Water Ethics, Integrated Water Resource Management, Adaptive Management, Cost Benefit Analysis, Deliberative Democracy
중심주의의 해체와 한국불교의 생태윤리 실천
윤영해 ( Young Hae Yoon )  한국환경철학회, 환경철학 [2011] 제12권 183~206페이지(총24페이지)
오늘의 생태위기는 단순히 기술공학이나 혹은 정책전환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 더 본질적이고 근본적인 문제, 즉 사상과 가치관에 대한 전환 없이는 극복될 수 없는 문제이다. 세계의 중심으로서 실체적 자아를 갖는 인간을 상정한다는 점에서 모더니즘과 기독교의 세계관은 일치한다. 그러나 생태학적 위기의 극복이라는이 시대 최대 과제는 인간중심주의적 사고에 대한 대대적인 방향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이 논문은 생태위기의 뿌리로서 기독교와 모더니즘의 인간중심주의를 재확인하고, 이를 해체하는 전범(典範)으로서 불교의 무아(無我)사상과 연기법(緣起法)법을 고찰한다. 또한 실체적 자아개념의 해체를 바로인간중심주의의 해체로 보며, 나아가 모든 중심주의의의 해체로 원용될 가능성으로 본다. 이러한 불교의 생태윤리 이론이 역사의 현장에서 실제로 어떻게 얼마만큼 실천되고 있...
TAG 기독교, 모더니즘, 환경철학, 중심주의 해체, 인간중심주의, 무아, 연기, 중도, 한국불교, 생태윤리실천, 정토회, 에코붓다, 빈그릇운동, 동체대비, Christianity, Modernism, Environmental Philosophy, Deconstructing the Centric Way of Thinking, Anthropocentricism, non-self, Dependent Origination, Middle Way, Korean Budd
지구 살림살이를 위한 녹색성장 -녹색성장의 생명학적 토대 구축 시도
이기상 ( Ki Sang Lee )  한국환경철학회, 환경철학 [2011] 제11권 1~38페이지(총38페이지)
나는 이 논문에서 현대의 인류가 맞닥뜨리고 있는 최대의 위기인 기후변화에 대한 한국에서의 대응방식으로서 <녹색 성장>을 생명학적 관점 아래 살펴본다. 이념으로서의 녹색성장에 초점을 맞추어 입안자들이 제시하는 이념과 목표가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이념적 대안을 찾으려 시도한다. 녹색성장의 지평을 확대하여 거기에 맞갖은 이론을 모색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녹색``과 ``성장``이 더 큰 영역에서 만나게 되는 곳을 ``생명``, 즉 ``지구생명`` 또는 ``우주생명``으로 보고, 녹색성장이 제시하는 패러다임은 ``생명의 패러다임``이어야 옳다고 주장한다. 그리하여 이 패러다임에 맞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해야 하는데, 그것이 곧 ``생명학``이라고 제시한다. 지구생명의 차원에서 지구 살림살이를 걱정하는 생명경제는 지구에서 인간을 비롯한...
TAG 녹색성장, 생태학, 생명학, 지구경제, 생명성장, 생명진리, 생명문화, green growth, ecology, Life studies, earth economy, Life growth, Life truth, Life culture
녹색성장에 대한 경제철학적 성찰
김명식 ( Myung Sik Kim )  한국환경철학회, 환경철학 [2011] 제11권 39~66페이지(총28페이지)
이글의 목적은 녹색성장의 경제철학적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녹색성장은 고유가와 기후변화라는 이중의 위기에 대한 국가차원의 적극적인 대책이다. 녹색성장이 표방하는 ``녹색과 성장의 조화``는 바람직한 대안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기후변화에 대처해야 하지만, 동시에 우리사회에 존재하는 개발 욕구를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녹색성장의 구체적인 정책들은 이런 녹색과 성장의 조화라는 이념에 맞지 않는다. 그 대표적인 것이 원자력발전에 대한 집착과 4대강 사업이다. 이것은 녹색성장에 대한 철학적 반성이 부족함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우리는 시장과 고전경제학의 토대가 되는 선호공리주의의 한계를 살펴보아야 한다. 특히 경제성장과 국민의 행복지수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그리고 지구촌 시대에 맞게 우리의 행복도 다른 나라의 행복, 자연에 대한...
TAG 녹색성장, 4대강, 원자력, 기후변화, 선호공리주의, 성장주의, 행복지수, Green Growth, Four Rivers, Nuclear Energy, Climate Change, Preference Utilitarianism, Happiness Index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