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환경철학회20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왕수인(王守仁)의 심학(心學)에서 식물(植物)과 광물(鑛物) 비유의 의의
최재목 ( Jae Mok Choi )  한국환경철학회, 환경철학 [2011] 제11권 67~111페이지(총45페이지)
흔히 왕수인(王守仁. 호는 陽明. 1472-1528)의 심학에서는 인간의 내면에 중점이 놓여 있어 생물에 대한 관심이 약화되어 있다고 생각하기 쉽다. 이런 이유로 국내외의 학계에서도 왕수인의 심학이 생물이나 식물에 대해 어떤 관점과 인식을 가지고 있었는지 별도로 논의한 적은 드물다. 그러나 실제로 왕수인의 저작을 통해서 보면 그는 식물, 광물과 같은 자연물에 대해서도 일정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또한 그것을 자신의 사상을 전개하는데 매우 긍정적으로 활용하고 있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왕수인의 주저『전습록(傳習錄)』을 중심으로 초목과 같은 식물, 그리고 금(金)과 같은 광물에 대한 그의 관점이 어떠했으며, 그리고 그것이 어떤 방향에서 인용되고 있었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구체적인 논의는 <식물을 매개로 한 사상 전개>, <초목 생...
TAG 왕수인, 심학, 양명학, , 나무, 식물, , 광물, 비유, a Wang Shouren, 王守仁, Sinxue, 心學, Yangmingxue, 陽明學, grass, trees, plants, gold, minerals, metaphors
현대 주거 공간으로서의 아파트의 인간학적 의미에 대한 연구
변순용 ( Sun Yong Byun )  한국환경철학회, 환경철학 [2011] 제11권 113~131페이지(총19페이지)
이 연구는 우선 집 그 안에 사는 사람의 품성이나 성향 내지 정서를 느끼게 해준다는 점에서 볼 때, 집이야말로 그 어떠한 건축물보다도 또한 사람이 만드는 그 어떤 물리적인 실체보다도 일상생활에서 사람의 감성이 담겨지고 표현되고 계발되어 승화시키는 그릇임을 전제한다. 이러한 전제하에 한국의 대표적인 주거 형태로 자리잡은 아파트의 의미를 전통적인 삶의 주거 구조와 비교하면서, 서구적인 아파트가 토착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변화에 주목하여, 아파트식 주거 구조에 공동체적 계기의 실현을 강조하였다. 한국의 주거문화는 생활 기능적 측면보다는 가족 구성원 중심을 강조한다. 여러 가족 구성원이 한 공간에서 모여 산다는 것은 구성원간의 서로 다른 욕망의 본질에 의해서 갈등, 분열과 긴장이 일어나게 마련이지만, 이러한 갈등구도는 가족 구성원간의 협력과 정(情)의 공간성에 근...
TAG 공간, 공간윤리, 집윤리, 주거공간, 아파트주거문화, space, house, the ethics of space, Living space, apartment, housing ethics
Report : COMEST Explores International Action in Environmental Ethics
송상용 ( Sang Yong Song )  한국환경철학회, 환경철학 [2011] 제11권 133~143페이지(총11페이지)
이 연구는 우선 집 그 안에 사는 사람의 품성이나 성향 내지 정서를 느끼게 해준다는 점에서 볼 때, 집이야말로 그 어떠한 건축물보다도 또한 사람이 만드는 그 어떤 물리적인 실체보다도 일상생활에서 사람의 감성이 담겨지고 표현되고 계발되어 승화시키는 그릇임을 전제한다. 이러한 전제하에 한국의 대표적인 주거 형태로 자리잡은 아파트의 의미를 전통적인 삶의 주거 구조와 비교하면서, 서구적인 아파트가 토착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변화에 주목하여, 아파트식 주거 구조에 공동체적 계기의 실현을 강조하였다. 한국의 주거문화는 생활 기능적 측면보다는 가족 구성원 중심을 강조한다. 여러 가족 구성원이 한 공간에서 모여 산다는 것은 구성원간의 서로 다른 욕망의 본질에 의해서 갈등, 분열과 긴장이 일어나게 마련이지만, 이러한 갈등구도는 가족 구성원간의 협력과 정(情)의 공간성에 근...
서평 : 생명체의 고통을 끌어안고 생태민주주의의 지평으로
고창택  한국환경철학회, 환경철학 [2011] 제11권 145~149페이지(총5페이지)
이 연구는 우선 집 그 안에 사는 사람의 품성이나 성향 내지 정서를 느끼게 해준다는 점에서 볼 때, 집이야말로 그 어떠한 건축물보다도 또한 사람이 만드는 그 어떤 물리적인 실체보다도 일상생활에서 사람의 감성이 담겨지고 표현되고 계발되어 승화시키는 그릇임을 전제한다. 이러한 전제하에 한국의 대표적인 주거 형태로 자리잡은 아파트의 의미를 전통적인 삶의 주거 구조와 비교하면서, 서구적인 아파트가 토착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변화에 주목하여, 아파트식 주거 구조에 공동체적 계기의 실현을 강조하였다. 한국의 주거문화는 생활 기능적 측면보다는 가족 구성원 중심을 강조한다. 여러 가족 구성원이 한 공간에서 모여 산다는 것은 구성원간의 서로 다른 욕망의 본질에 의해서 갈등, 분열과 긴장이 일어나게 마련이지만, 이러한 갈등구도는 가족 구성원간의 협력과 정(情)의 공간성에 근...
야생생물보전과 동아시아 공동체의 역할
오바라히데오  한국환경철학회, 환경철학 [2010] 제10권 1~20페이지(총20페이지)
일본과 한국과는 유사하면서도 지질, 지표의 다양성, 기류·해류 등의 자연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각 지역은 독자적인 특색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사슴이나 멧돼지가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대륙에 널리 분포한다는 사실까지 거론할 필요도 없으며, 지역별 다양성 속에는 동아시아라는 공통성이 도출된다. 본론에서는 일본과 한반도의 자연을 이해하는 방법의 하나로, 육상에서 이동하고 인간과의 관계가 깊은 육지 서식 포유류의 분포를 우선 기술했다. 일본 열도에서 한반도와 동종 혹은 가까운 관계(근연종)의 포유류들은 주로 홋카이도와 쓰시마에서 발견되고 있다. 반면 본토에서는 오히려 남부 중국과 대만과 동일한 계통의 포유류가 발견된다. 일본본토의 대표종은 일본원숭이(남방유래)이다. 또 속(屬)이 같은 일본영양과 대만영양도 그 사례이다. 쓰시마에 서식하는 삵괭이와 두더지는 한반도와의 ...
TAG 야생생물보전, 토지의 사회경제적 이용, 동아시아공동체, 종합인간학
4대강 사업: 반생태적 사유에 근원을 둔 사회적 퇴행의 동아시아 생태축 훼손
정민걸 ( Min Gull Jeung )  한국환경철학회, 환경철학 [2010] 제10권 21~43페이지(총23페이지)
4대강 사업이 생태계를 맹목적으로 파괴하고 더 나아가 민주적 절차를 무시하는 철학적 바탕을 반생태적 사유에서 찾을 수 있다. 생태계의 공존은 기본적으로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서로 타자를 인정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비록 자신의 생존을 위해 타자를 자원으로 이용하지만 근본적으로 생존에 위협이 되는 행태로까지 확대되지 못하는 모자람의 지혜를 바탕으로 무심의 공존을 한다. 이런 자연의 지혜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생태적 사유에 바탕을 둔 삶이 인간 사회의 형평성을 보장하는 공존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그런데 4대강 사업은 자연을 단순히 도구적 가치로만 여기는 반생태적 사유에 뿌리를 두고 진행되고 있다. 자연의 생태만을 무시하는 것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인간 사회 구성원의 타자성을 인정하지 않으며 거의 모든 법을 무시하고 민주적 절차를 따르지 않아 민주 사회의 실현에 ...
TAG 4대강 사업, 반민주적 퇴행, 생태적 사유, 모자람의 지혜, 무심의 공존, Four Major Rivers Project, Anti-Democratic Retrogression, Ecological Thought, Frugal Wisdom, Unintentional Coexistence
DMZ와 생태평화의 철학
한면희 ( Myun Hee Han )  한국환경철학회, 환경철학 [2010] 제10권 45~71페이지(총27페이지)
분단국가 한국의 DMZ(비무장지대)는 세계사적인 동서 냉전의 대립과 6.25전쟁의 산물로 탄생했다. 그런데 이곳은 한시적 평화를 뜻하는 정전협정 이후 60년에 가까운 세월의 경과 속에서 자연적으로 생태적 회복을 이룩하면서 멸종 위기에 처한 동식물을 비롯하여 많은 생물종을 거느리고 있다. 오늘날의 DMZ는 평화와 생태의 가치를 함께 구비하고 있는 셈이다. DMZ는 개발의 파고에서 벗어나 온전한 보전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필자는 생태평화의 철학적 기초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것에 따르면, 인간은 자유로운 존재이자 사회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이웃과 협력하여 사회적 평화를 이룩하고 그리고 인간의 문화가 자연에 구조적 폭력을 행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연의 생명부양 체계를 존중함으로써 사회가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TAG DMZ, 평화, 폭력, 생태평화, 철학, 인도주의, DMZ, peace, violence, ecological peace, philosophy, humanitarianism
환경정의와 평화 -핵문명의 신화를 생각한다
토다키요시  한국환경철학회, 환경철학 [2010] 제10권 73~101페이지(총29페이지)
분단국가 한국의 DMZ(비무장지대)는 세계사적인 동서 냉전의 대립과 6.25전쟁의 산물로 탄생했다. 그런데 이곳은 한시적 평화를 뜻하는 정전협정 이후 60년에 가까운 세월의 경과 속에서 자연적으로 생태적 회복을 이룩하면서 멸종 위기에 처한 동식물을 비롯하여 많은 생물종을 거느리고 있다. 오늘날의 DMZ는 평화와 생태의 가치를 함께 구비하고 있는 셈이다. DMZ는 개발의 파고에서 벗어나 온전한 보전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필자는 생태평화의 철학적 기초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것에 따르면, 인간은 자유로운 존재이자 사회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이웃과 협력하여 사회적 평화를 이룩하고 그리고 인간의 문화가 자연에 구조적 폭력을 행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연의 생명부양 체계를 존중함으로써 사회가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TAG 탈근대문명, 석유문명, , 평등, 폭력, 원자력신화, 脫近代文明, 石油文明, , 原子力, 自然エネルギ―, 平等, 暴力, 原爆神話, 原發神話
생태민주주의와 생태공동체적 사유
양해림 ( Hae Rim Yang )  한국환경철학회, 환경철학 [2010] 제10권 103~135페이지(총33페이지)
환경과 생태 민주주의(ecological democracy)는 자연과 인간의 소통체계를 회복하고자 하는데 있다. 그리고 이것이 근대의 제도내에에서 불가능한 것이라면, 생태적인 원리가 구체화된 대안제도들이 논의되고 실험하는 장(場)이 되어야 한다. 생태민주주의의 사회로 가기 위한 전략은 녹색 공공영역의 확산 및 활성화, 공공영역의 급진화가 필요하다. 생태민주주의의 기획은 민주주의의 가치를 살리면서 생태적 합리성을 높여 나갈 수 있는 근본적인 기획이라 할 수 있다. 생태적 합리성은 지구의 한계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하여 재구성된 것이다. 즉 한계의 인식은 자연과 인간의 관계, 자연의 존재방식, 그리고 인간의 인식능력 모두를 재평가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한계의 인식이란 지구생태계가 인간의 사회활동의 결과로 빚어진 오염을 정화하고 항상성...
TAG 생태민주주의, 생태적 합리성, 생태 공동체, 공동체, 소통, ecological democracy, ecological rationality, ecological community, community, communication
환경철학과 탈근대문명으로의 시각 - 농(農)을 기초로 한 에콜러지(ecology) 문명으로
오제키슈지  한국환경철학회, 환경철학 [2010] 제10권 137~169페이지(총33페이지)
환경과 생태 민주주의(ecological democracy)는 자연과 인간의 소통체계를 회복하고자 하는데 있다. 그리고 이것이 근대의 제도내에에서 불가능한 것이라면, 생태적인 원리가 구체화된 대안제도들이 논의되고 실험하는 장(場)이 되어야 한다. 생태민주주의의 사회로 가기 위한 전략은 녹색 공공영역의 확산 및 활성화, 공공영역의 급진화가 필요하다. 생태민주주의의 기획은 민주주의의 가치를 살리면서 생태적 합리성을 높여 나갈 수 있는 근본적인 기획이라 할 수 있다. 생태적 합리성은 지구의 한계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하여 재구성된 것이다. 즉 한계의 인식은 자연과 인간의 관계, 자연의 존재방식, 그리고 인간의 인식능력 모두를 재평가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한계의 인식이란 지구생태계가 인간의 사회활동의 결과로 빚어진 오염을 정화하고 항상성...
TAG <농(農)>의 복권, 근대문명 비판, 에콜러지 문명, 자연의 내재적 가치, 공생, 共生, 공공권, 公共圈, 공유재(혹은 공유지, Commons)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