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AND 간행물명 : 시민교육연구101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온라인에서 공유되는 역사 수업 자료 분석 연구-초등 5학년 사회과를 중심으로-
이바름 ( Lee Bareum ) , 정문성 ( Jeong Moonseong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16] 제48권 제4호, 145~171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는 온라인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초등학교 역사 수업자료를 목표, 내용, 방법 측면에서 조사 분석하여 초등 역사수업이 어떤 양상과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표집 대상은 온라인 교사 커뮤니티 인디스쿨의 사회과 5학년 역사수업자료 중 회원 추천 수 10회 이상 받은 것이다. 이는 실제 수업에 많이 사용되는 자료만 분석하기 위해서이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목표 면에서 보면 Bloom의 행동목표분류에서는 이해하기와 기억하기가 가장 많았으며, 역사적 사고력에서는 역사적 이해력과 연대기 자료의 활용이 가장 많았고 나머지 행동목표와 역사적 사고력은 거의 활용하지 않았다. 둘째, 내용 측면에서는 시기별로 조선, 고려, 신라발해 등 최근 역사 순으로 활용되었고, 분야별로는 정치(전쟁), 사회, ...
TAG 수업자료, 행동목표, 수업내용, 수업방법, 수업단계, 수업활동, 자료형태, 역사적 사고력, teaching materials, instructional objectives, learning method, learning stage, learning activity, materials type, historical thinking
사회과 텍스트 분석을 위한 비판적 담화 분석 방법의 이용 : 체계기능언어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이승연 ( Seung-yun Lee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16] 제48권 제4호, 173~224페이지(총52페이지)
이 연구는 사회과 연구에서 비판적 담화 분석(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을 소개 및 이용 방식의 제안에 목적을 둔 연구이다. 비판적 담화 분석은 프랑스 학자들에 의하여 제기된 포스트구조주의나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비판이론, 페미니즘, 비판인종이론 과 같은 다양한 비판적 관점을 가지고 텍스트를 분석한다. CDA의 이론적 모델 중 대표적인 것은 Fairclough의 담화 분석에 관한 세 가지 차원이다. 그러나 Fairclough가 제시한, 각 차원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연구 방법이 다소 오래된 터라 이 글에서는 체계기능적 언어학(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SFL)에 기반한 분석 방법을 소개한다. SFL은 대통령 연설문 등의 정치적 텍스트 분석이나 미디어 분석 등에서 널리 ...
TAG 담화분석, 비판적 담화분석, 체계기능적언어학, 다문화교육, Critical discourse analysis,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Multicultural education, Discourse analysis
수업비평의 발현과 전개 과정
이혁규 ( Hyugkyu Lee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16] 제48권 제4호, 225~270페이지(총46페이지)
본 연구는 수업비평의 발현과 전개 과정을 살펴보고 수업비평의 발전에 필요한 논의를 하는데 목적이 있다. 수업비평의 발현과 전개과정은 크게 수업비평의 태동(2002년~2005년), 수업비평의 실천 및 독자적 개념 모색(2005년~2008년), 수업비평의 실천 및 이론화의 확산(2009년~)의 세 단계로 나뉜다. 수업비평의 태동 단계(2002년~2005년)는 기존의 수업 관찰 및 연구 방법에 대한 대안으로 새로운 방법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수업비평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한 단계이다. 수업비평의 실천 및 독자적 개념 모색 단계(2005년~2008년)은 월간 『우리 교육』에 수업비평문이 연재되고, 수업비평 연재에 참여한 학자들이 수업비평에 대한 독자적인 개념화를 시도하기 시작한 단계이다. 수업비평의 실천 및 이론화의 확산 단계(2009...
TAG 수업비평, 메타비평, 수업비평의 역사, 수업비평의 생태계, Class Critique, Meta Class Critique, History of Class Critique, Ecosystem of Class Critique
수도권 고교생들의 양가적 성차별주의 실태조사
이미나 ( Mi Na Lee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16] 제48권 제4호, 109~143페이지(총35페이지)
이 연구는 고등학교 1,2학년 학생 578명을 대상으로 양가적 성차별주의, 특히 온정적 성차별주의의 실태와 그 본질적 성격을 검토하였다. 조사결과 응답자 전체는 평균적으로 온정적 성차별주의를 갖고 있었고, 그것이 실제로 그들 사이에서 성차별주의로 작동하고 있었다. 적대적 성차별주의가 전통적 성역할을 따르지 않는 여성에게 부정적 강화를 하는 반면, 온정적 성차별주의는 전통적 성역할을 수행하는 여성에게 긍정적 강화를 하고 있었다. 그런데도 응답자들은 온정적 성차별주의를 성차별주의가 아니라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더 나아가 온정적 성차별주의를 우호적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그들은 평균적으로 적대적 성차별주의는 배척하면서 온정적 성차별주의는 지지하는 애매한 평등주의자들이었다. 전체 응답자들을 성별로 나누어보면, 남녀별로 차이가 나는 대목이 있었다. 가장 인...
TAG 성차별주의, 양가적 성차별주의, 적대적 성차별주의, 온정적 성차별주의, ambivalent sexism, hostile sexism, benevolent sexism, paternalism, dominative paternalism, protective paternalism, gender differentiation, competitive gender differentiation, complementary gender differentiation, he
일상의 인권경험이 초등학생의 인권인식에 미치는 영향
구정화 ( Jeonghwa Koo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16] 제48권 제3호, 1~25페이지(총25페이지)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일상적 인권경험이 그들의 인권인식(인권판단력, 자신이 인권존중을 받는 정도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2014 한국아동ㆍ청소년 인권실태조사’자료 중에서 초등학생 자료만을 2차 자료로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인권판단력에 영향을 미치는 일상적 인권경험 중에서 영향력이 큰 변인은 학교나 가정에서 표현의 자유를 인정받는 경험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일상적 인권경험이 인권친화적인 경우나 인권 침해적인 경우 모두에서 인권판단력에 정적인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 자신이 인권존중을 받는 정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일상적 인권경험 중에서 영향력이 큰 변인은 가정에서 아동참여 인정으로 나타났다. ...
TAG 인권, 인권교육, 학생의 인권경험, 인권인식, 인권판단력, 인권존중, human rights, human rights education, students` everyday experiences related human rights, human rights awareness, ability for judgement of human rights, respect for human rights of students
1998년 고시 일본 소학교 사회과 학습지도요령 개정의 동향과 그 특색 고찰
서재천 ( Jae Cheon Suh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16] 제48권 제3호, 27~55페이지(총29페이지)
본 연구자는 이 논문에서 1998년에 고시된 일본 소학교 사회과 학습지도요령이 어떠한 사회적 배경 하에서 어떤 방향으로 개정되었는가를 고찰하였다. 1990년대의 일본 사회는 ‘잃어버린 10년’이라고 표현되는 대로 침체기이었으며, 사회 전반의 분위기는 보수화의 경향을 보인 시기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중앙교육심의회는 향후의 일본 교육의 방향으로 “여유교육”과 “살아가는 힘”을 제시하였다. 이에 교육과정심의회는 수업시수의 감축과 학습 내용의 엄선 및 내용의 축소를 제안하였다. 사회과 학습지도요령도 이러한 방향에서 개정되었는데, 그것을 요약하면, 첫째, 제3ㆍ4에서 지역학습을 탄력적으로 하며, 둘째, 전 학년에서 내용을 집약ㆍ통합하며, 셋째, 표현력을 강조하고, 넷째, 작업ㆍ체험적 문제해결학습을 강조하고, 다섯째, 일본인으로서의 자각을 강조하였다.
TAG 살아가는 힘, 여유 교육, 교육내용의 엄선, 지역학습의 탄력적 운영, 표현력, 작업적ㆍ체험적 문제해결학습, 일본인으로서의 자각, Strength to Live Through One`s Life, Released Education, Selection of Fundamental Knowledge, Flexible Management of Community/Region Leaning, Ability of Expression, Hands-on/Problem S
인문사회 영재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안보형 ( Boh-hyung Ah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16] 제48권 제3호, 57~95페이지(총39페이지)
한동안 영재교육은 소수의 엘리트만을 위한 것이라는 비판에 직면해왔다. 그러나 최근의 영재교육은 모든 학생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능력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3~2017년)’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영재교육 기회 확대’를 정책목표로 설정함으로써, 영재교육 분야의 다양화를 꾀하고 있다. 과학, 수학 중심의 영재교육이 사회, 인문 영역으로 확대된다는 것을 기본 입장으로, 이른바 ‘인문사회 영재교육’이 활발하게 시도되고는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더욱이 인문사회 영재로 선발된 학생이 어떠한 학생인지에 대한 연구는 찾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인문사회 영재로 선발된 학생들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타 분야 영재와는 다른 인문사회 영재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어떠한 학생이 인문사회 영재인가?’에 대한...
TAG 인문사회 영재, 시민성, 사회과교육, 인문사회 영재교육, 인문사회 영재교육원, 창의적 사고력, Big-C와 mini-c, 질적 사례연구, the gifted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citizenship, social studies education, gifted educatio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creative thinking, Big-C and mini
지역 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사회과 창의적 문제해결학습 사례 개발 - 초등 정치 단원을 중심으로 -
옥일남 ( Il-nam Ok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16] 제48권 제3호, 97~122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창의적 사고력을 갖춘 민주 시민을 양성하기 위하여 창의적 문제해결학습의 단계를 구안하고 이 단계에 따른 수업 사례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창의적 문제해결학습 과정들을 검토하여 초등학교 단계에 적합한 창의적문제해결학습 단계를 제시하였다. 적용한 단계로는 [문제의 도출 및 선정 → 문제의 파악 및 탐색 → 문제의 명확화 → 문제와 관련된 자료 찾기 → 문제의 원인 파악 →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탐색 → 문제해결책 모색 → 실천 방안 모색] 순이다. 단계의 적용을 위해 이 모형의 단계들을 초등 4학년 ‘함께 하는 주민 자치’ 중 ‘지역 문제의 해결’단원에 적용하였다. 이 단계의 적용 과정에서 문제의 원인과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아이디어를 산출하도록 하고, 각 아이디어를 평가하면서 정교화 하도록 ...
TAG 창의적 문제해결학습, 문제해결학습, 교수ㆍ학습 과정, 창의적 사고력, 사회과, creative problem solving learning, problem solving learning, teaching-learning process, creative thinking skill, Social Studies
초등 사회과 웹 기반 토론 수업에서의 시각 미디어 활용 효과 분석 -시사만화를 중심으로-
이윤정 ( Youn-jeong Lee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16] 제48권 제3호, 123~157페이지(총35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사회과 웹 기반 토론 수업에서 시각 미디어의 활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대전의 초등학교 5학년 학생 324명을 대상으로 시각 미디어를 활용한 토론 수업과 문자 텍스트를 활용한 토론 수업을 실시하여 자료 구성 방식에 따른 웹 기반 토론 수업 효과(토론 내용 이해도, 토론 만족도, 토론참여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시각 미디어를 활용한 웹 기반 토론 수업은 토론 내용 이해도와 토론 참여도 향상에 정적 영향을 주는 변인이었으나 토론 만족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초등 사회과 웹 기반 토론 수업에서는 웹 기반 학습 환경의 특성과 학생들의 인지 발달 상태를 고려한 시각 미디어 활용 전략이 문자 텍스트를 활용한 전략보다 토론 수업 효과를 향상시켜 준다는 것을...
TAG 초등 사회과, 웹 기반 토론, 시각 미디어, 토론 수업, Elementary social studies, Elementary students, Web-based discussion, Visual media, Discussion class
교육실습, 이상과 현실의 괴리 - 사회과 예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연구 -
이은해 ( Eun Hae Lee ) , 최윤정 ( Yoonjung Choi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16] 제48권 제3호, 159~184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는 사회과 교육실습의 목표와 실제 사이에 드러나는 이상과 현실의 괴리를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를 통해 현상학적으로 접근·탐구하고자 한다. 연구자들은 서울 소재 한 교원양성기관에서 2012-2014년에 교육실습을 경험한 사회과 예비교사 286명이 작성한 교육실습일지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과반수의 예비교사들이 사회과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법을 적용해보고자 기대하였으나, 90%이상은 학교 분위기나 현직 교사의 관행에 따라 강의 등 전통적 교수법을 고수하였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학급경영과 학생상담의 경험을 통해 교직 실습을 할 수 있었던 점을 장점으로 꼽았으나 수업과 학급운영에 대한 사전교육 미비와 불충분한 실습 기회 및 교육실습생으로서의 역할 갈등이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TAG 사회과교육, 교사교육, 교육실습, 교사전문성, Social studies education, Teacher education, Student teaching, Teacher Professionalism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