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경남대학교 가라문화연구소15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이선관 시의 미학적 특성
배대화 ( Dae Hwa Bae )  경남대학교 가라문화연구소, 가라문화 [2012] 제24권 53~73페이지(총21페이지)
시인 이선관은 생애의 거의 대부분을 마산에서 보냈다. 특히 마산의 창동은 이선관 시세계의 원천을 이룬다. 그는 시 「마산 그 창동의 허새비」에서 겨울이면 불태워졌다가 봄이면 부활하는 허새비처럼 영원히 고향 마산의 파수꾼이 되고자 하였다. 후천성 뇌성마비 장애인이었던 이선관은 자신의 장애를 딛고 민주, 생명, 통일이라는 주제로 현실 참여의 시세계를 구축하였다. 이러한 현실 참여의 그의 시는 현실에 대한 날카로운 풍자 정신을 보여준다. 이러한 그의 풍자 정신의 시학적, 미학적 특성은 경쾌함, 쉬움, 기록성으로 요약할 수 있다. 경쾌함은 이선관 시의 풍자적 내용을 뒷받침하면서 매우 절묘한 형식미를 빚어낸다. 부조리한 세태를 풍자하는 자가 갖추어야 하는 최고의 자세는 바로 가벼움이고 경쾌함이다. 이선관의 경쾌함은 바로 풍자가 마땅히 갖추어야할 이러한 본질을 꿰뚫어...
TAG 이선관, 경쾌함, 쉬움, 기록성, 창동허새비, Seon Kwan Lee, Lightness, Easiness, The Documentary Nature, Chang-dong Scarecrow
진화시의 풍격 연구
변종현 ( Jong Hyun Byun )  경남대학교 가라문화연구소, 가라문화 [2012] 제24권 75~95페이지(총21페이지)
梅湖 陳화□는 고려 신종(1200년경) 때의 문인으로, <翰林別曲>에서 이규보와 함께 ``雙韻走筆``로 이름을 떨친 인물이다. 현존하는 그의 시는 59수에 불과하지만 선인들에 의해 시적인 성취도가 높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의 시에 대한 선인들의 평어는 ``淸警絶妙``·``淸雄華靡``,· ``淸新幻묘``·``淸麗``하다는 말로 요약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평어에 ``청(淸)``이라는 글자가 항상 붙어 다니는 것을 볼 때에, 진화의 시 내면세계의 분위기는 늘 맑고 투명한 이미지〔淸〕 를 가지고 있으면서 아름답고 고운〔華, 麗〕 색채를 띠고 있다고 논의되었다. 매호의 시 가운데 <春日和金秀才>에서는 봄날 어느 한 시점에 시적 주체는 정원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가만히 관찰하면서 봄날의 맑고 아름다운 광경을 잘 드러내었고, <春晩題山寺>...
TAG 풍격, 쌍운주필, 雙韻走筆, 청경, 淸警, 청화, 淸華, 청신, 淸新, 청려, 淸麗, 청려, 淸麗한 풍격, 風格, style and gusto, 風格, Cheongyeongjeolmyo, 청경절묘, 淸警絶妙, Cheongwoongwhami, 청웅화미, 淸雄華靡, Cheongsinwhanmyo, 청신환묘, 淸新幻묘, Cheongnyeo, 청려, 淸麗, Cheongreoy, 청려, 淸麗, style
지역사회 삶의 질로서의 생활만족도와 행정통합효과: 창원시 사례
감정기 ( Jeong Ki Kam ) , 강인순 ( In Soon Kang )  경남대학교 가라문화연구소, 가라문화 [2012] 제24권 97~123페이지(총27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에 행정통합을 이룬 경남 창원시를 사례로 하여, 지역사회 내 삶의 질의 일면을 지역주민의 삶의 다양한 생활영역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통해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응답자의 개별적 속성과 삶의 조건 및 행정통합에 대한 인식에 따라 그러한 만족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파악하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연구를 위해 창원시의 생활기반에 관한 통계자료와 함께,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1차 자료가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응답자의 연령, 학력, 소득 등과 같은 속성 외에, 거주 지역과 행정통합에 대한 인식이 삶의 질인 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끼쳤으며, 지역 간 생활기반의 격차 및 행정통합의 졸속적 추진이 이러한 상황과 무관하지 않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나아가 이런 연구 결과가 행정통합 추진절차상 유념할 점과 지역주민의 삶의 질 제고를 ...
TAG 삶의 질, 생활만족도, 행정통합, 창원시, quality of life, QOL, life satisfaction, administrative consolidation, Changwon city
산청지역어 "-어 가지고"계에 대하여
박근배 ( Keun Bae Park )  경남대학교 가라문화연구소, 가라문화 [2012] 제24권 125~142페이지(총18페이지)
이 글은 산청지역어에서 사용되는 ‘-어 가지고’계의 실현 양상과 사용 빈도에 대해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어의 특정 구문이 한 지역에서 실현되는 양상과 사용되는 빈도를 살펴본다면 이 구문에 대한 두 가지의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인데, 그것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다. 첫째는 ‘(-어) 가지고’계가 실현되는 자유변이형태들을 알 수 있다. 산청지역어를 대상으로 하여 살핀 결과는 ‘(-어) 가지고’, ‘(-어) 갖고’, ‘-어 가’로 대별되는 형태와 이 형태들의 자유 변이형태들을 볼 수 있었는데, 자유변이형태는 ‘(-어) 가지고’가 가장 다양하게 나타났고, ‘-어 가’가 가장 단조로운 형태로 나타났다. 둘째는 ‘(-어) 가지고’계의 사용 빈도를 통하여 현재 산청지역에서 어떠한 형태가 우세하게 사용되는지를 알 수 있다. 산청지역어에서는 ‘-어 가지고...
TAG 산청지역어, "-어 가지고" 계, 실현 양상, 사용 빈도, 자유변이형태, Sancheong regional dialect, "-eo gajigo", aspect of realization, frequency of usage, free variant
청동기시대 후기 남한지역 적색마연호의 지역별 전개양상 - 제작기법의 차이에 따른 지역성의 확립-
김미영 ( Mi Young Kim )  경남대학교 가라문화연구소, 가라문화 [2012] 제24권 143~155페이지(총13페이지)
남한지역의 청동기시대 적색마연토기는 호, 발, 대부발이나 대부호 등 다양한 기종이 출현하고 시기에 따라 일부 기종은 소멸하기도 하며, 저부나 구연부 등에서 형태의 변화를 일으키기도 한다. 특히 송국리문화가 한반도 남부에 정착하기 시작하는 청동기시대 후기가 되면 적색마연호는 일부 지역에서 강한 지역색을 드러내는 것이 확인된다. 즉 지역별로 그 지역 고유 형태의 적색마연호를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때 특정 지역별로 지역색을 나타내는 적색마연호를 구분짓는 기준에는 제작기술적인 요소가 가장 크게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여기서 제작기술적인 요소란 경부와 저부의 제작방법을 말한다. 적색마연호는 크게 경부별도접합과 경부일시제작 방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 기술적 속성은 적색마 연호의 형태를 반영한다. 전자의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토기는 경부내경적색마연호이...
TAG 적색마연호, 채문토기, 제작기법, 경부내경적색마연호, 경부외반적색마연호, 분포, 지역권, red burnished jars, manufacturing technique, Red burnished jars with Innerleaning Necks, Red burnished jars with out slanted necks, distribution, regions
고려말,조선전기 하동지역 왜구 방어체계 고찰
홍성우 ( Sung Woo Hong ) , 강영수 ( Young Su Kang )  경남대학교 가라문화연구소, 가라문화 [2012] 제24권 157~189페이지(총33페이지)
고려말~조선전기는 왜구(倭寇)의 침입이 극심한 시기였다. 이를 방어하고자 조선 개국 이후 읍성·산성·봉수 등을 축성(築城)하였다. 이러한 방어체계를 갖추면서 어떠한 방법으로 방어 했는지를 하동지역으로 한정하여 왜구의 침입루트 및 방어체계에 대하여 고찰해보았다. 먼저 침입루트를 해안-섬진강 루트와 해안-육지 루트로 나눈 뒤, 침입 루트상에 설치된 방어시설인 읍성·산성·봉수대의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문헌검토를 통해 하동지역은 다른지역에 비해 왜구의 침입 횟수가 적었고, 규모도 작았을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침구(侵寇)시기는 겨울과 봄에 집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침입 루트와 방어시설을 살펴본 결과 지형 및 주변 유적을 통해 왜구 침입시 4단계의 방어선을 설정해 보았다. 하동지역 방어선 설정과정에서 하동지역의 방어상 몇 가지 특징을 살필 수 있었다. ...
TAG 고려말, 조선전기, 하동, 방어체계, 왜구, 읍성, 산성, 봉수대, Late Koryo-early Chosun Dynasty, Hadong, defense system, the Japanese pirate, town walls, mountain fortress walls and beacons
서평 : 문헌 및 고고학적 연구성과의 집대성, 『가야, 그리고 사람들』
전진현  경남대학교 가라문화연구소, 가라문화 [2012] 제24권 191~202페이지(총12페이지)
고려말~조선전기는 왜구(倭寇)의 침입이 극심한 시기였다. 이를 방어하고자 조선 개국 이후 읍성·산성·봉수 등을 축성(築城)하였다. 이러한 방어체계를 갖추면서 어떠한 방법으로 방어 했는지를 하동지역으로 한정하여 왜구의 침입루트 및 방어체계에 대하여 고찰해보았다. 먼저 침입루트를 해안-섬진강 루트와 해안-육지 루트로 나눈 뒤, 침입 루트상에 설치된 방어시설인 읍성·산성·봉수대의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문헌검토를 통해 하동지역은 다른지역에 비해 왜구의 침입 횟수가 적었고, 규모도 작았을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침구(侵寇)시기는 겨울과 봄에 집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침입 루트와 방어시설을 살펴본 결과 지형 및 주변 유적을 통해 왜구 침입시 4단계의 방어선을 설정해 보았다. 하동지역 방어선 설정과정에서 하동지역의 방어상 몇 가지 특징을 살필 수 있었다. ...
특집 : 증거로서의 전통 -공공 문화자원관리의 이론적 기초- ; 증거로서의전통:“사실의 문화”를 향한 제언
이종흡  경남대학교 가라문화연구소, 가라문화 [2011] 제23권 3~22페이지(총20페이지)
고려말~조선전기는 왜구(倭寇)의 침입이 극심한 시기였다. 이를 방어하고자 조선 개국 이후 읍성·산성·봉수 등을 축성(築城)하였다. 이러한 방어체계를 갖추면서 어떠한 방법으로 방어 했는지를 하동지역으로 한정하여 왜구의 침입루트 및 방어체계에 대하여 고찰해보았다. 먼저 침입루트를 해안-섬진강 루트와 해안-육지 루트로 나눈 뒤, 침입 루트상에 설치된 방어시설인 읍성·산성·봉수대의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문헌검토를 통해 하동지역은 다른지역에 비해 왜구의 침입 횟수가 적었고, 규모도 작았을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침구(侵寇)시기는 겨울과 봄에 집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침입 루트와 방어시설을 살펴본 결과 지형 및 주변 유적을 통해 왜구 침입시 4단계의 방어선을 설정해 보았다. 하동지역 방어선 설정과정에서 하동지역의 방어상 몇 가지 특징을 살필 수 있었다. ...
특집 : 증거로서의 전통 -공공 문화자원관리의 이론적 기초- ; 증거로 본 민간인 집단학살문제 접근
이상길  경남대학교 가라문화연구소, 가라문화 [2011] 제23권 23~51페이지(총29페이지)
고려말~조선전기는 왜구(倭寇)의 침입이 극심한 시기였다. 이를 방어하고자 조선 개국 이후 읍성·산성·봉수 등을 축성(築城)하였다. 이러한 방어체계를 갖추면서 어떠한 방법으로 방어 했는지를 하동지역으로 한정하여 왜구의 침입루트 및 방어체계에 대하여 고찰해보았다. 먼저 침입루트를 해안-섬진강 루트와 해안-육지 루트로 나눈 뒤, 침입 루트상에 설치된 방어시설인 읍성·산성·봉수대의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문헌검토를 통해 하동지역은 다른지역에 비해 왜구의 침입 횟수가 적었고, 규모도 작았을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침구(侵寇)시기는 겨울과 봄에 집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침입 루트와 방어시설을 살펴본 결과 지형 및 주변 유적을 통해 왜구 침입시 4단계의 방어선을 설정해 보았다. 하동지역 방어선 설정과정에서 하동지역의 방어상 몇 가지 특징을 살필 수 있었다. ...
특집 : 증거로서의 전통 -공공 문화자원관리의 이론적 기초- ; 언론보도에서 사실 구성방식의 논리
김남석  경남대학교 가라문화연구소, 가라문화 [2011] 제23권 53~71페이지(총19페이지)
고려말~조선전기는 왜구(倭寇)의 침입이 극심한 시기였다. 이를 방어하고자 조선 개국 이후 읍성·산성·봉수 등을 축성(築城)하였다. 이러한 방어체계를 갖추면서 어떠한 방법으로 방어 했는지를 하동지역으로 한정하여 왜구의 침입루트 및 방어체계에 대하여 고찰해보았다. 먼저 침입루트를 해안-섬진강 루트와 해안-육지 루트로 나눈 뒤, 침입 루트상에 설치된 방어시설인 읍성·산성·봉수대의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문헌검토를 통해 하동지역은 다른지역에 비해 왜구의 침입 횟수가 적었고, 규모도 작았을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침구(侵寇)시기는 겨울과 봄에 집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침입 루트와 방어시설을 살펴본 결과 지형 및 주변 유적을 통해 왜구 침입시 4단계의 방어선을 설정해 보았다. 하동지역 방어선 설정과정에서 하동지역의 방어상 몇 가지 특징을 살필 수 있었다. ...
 1  2  3  4  5  6  7  8  9  10